찜하기

KBS교향악단 마스터즈시리즈(제664회 정기연주회)

  • 기간 2011-12-16(금)
  • 시간20: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가격S석 10만 / A석 8만 / B석 6만 / C석 4만 / D석 2만
  • 주최한국방송공사
  • 문의02-781-2243

KBS교향악단 마스터즈시리즈(제664회 정기연주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공연소개]

KBS교향악단은 2011년 말러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말러 교향곡 2번과 4번, 5번에 이어 교향곡 제8번 <천인교향곡>을 연주한다. 말러가 작곡한 모든 교향곡 중 최고로 평가받고 있는 교향곡 제8번은 클래식 음악사상 가장 거대한 음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작품은 8명의 독창자, 대편성 오케스트라, 대규모 합창단이 참여하는 말러의 대표적인 교향곡이며, <천인교향곡>으로 불린다. 대규모 출연진이 뿜어내는 장대한 사운드로 청중을 압도하는 말러 교향곡 8번은 KBS교향악단이 선사하는 2011년 말러 스페셜의 대미를 장식하는 대형 프로젝트로서 말러 서거 100주년인 2011년이 지나면 다시 듣기 힘든 레퍼토리다.  KBS교향악단은 과거 국립교향악단 시절인 1978년 8월13일에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정부수립 30주년 기념음악회에서 말러 교향곡 제8번을 홍연택 지휘로 한국 초연한 바 있다. 34년만에 다시 만나게 되는 KBS교향악단의 말러 교향곡 8번 연주에 대해 음악 애호가들의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연주회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성악가들로서 소프라노 조경화, 이지연, 한경미, 메조소프라노 이아경, 양송미, 테너 박현재, 바리톤 김동섭, 베이스 함석헌 등 8명의 솔리스트들이 출연한다. 또한 연합합창단으로 구성된 서울모테트합창단, 수원시립합창단, 안산시립합창단, 안양시립합창단, 의정부시립합창단, 고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 광명시립소년소녀합창단 등 300명 규모의 대형 합창단이 출연해 웅장한 사운드의 말러 8번을 들려줄 예정이다. KBS교향악단을 이끌고 있는 함신익이 만들어낼 장대하면서도 섬세한 해석의 말러 교향곡 제8번의 음악적 드라마를 즐길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프로그램]

G. Mahler - Symphony No. 8
말러 - 교향곡 제8번 <천인교향곡>   

 

[출연자]

지휘 : 함신익 (Shinik Hahm)
지휘자 함신익은 이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하고, 클래식 음악이 처해있는 위기를 해결할 탁월한 능력이 검증된 리더십을 발판으로 2010년 KBS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취임하였다. 그는 최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심포니, 중국 상하이 오페라하우스, 멕시코 국립오케스트라, 독일의 NWD와 프랑스의 유서 깊은 브장송, 아비뇽 오케스트라, 스위스 제네바 오케스트라 등과 연주하며 감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시즌 함신익은 EU(유럽연맹)가 후원하는 세계 40개국으로부터 모인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Philharmonia of the Nations의 지휘자로서 이들의 유럽 순회연주를 성공적으로 지휘하였다. 현지 언론은 “완벽에 가까운 연주”, “함신익의 지휘 아래 만들어진 기적적인 사운드”, “열정적이며 정교하고 섬세한 지휘” 등으로 극찬하였다. 함신익은 2010년 10월 열린 UN창설 65주년을 기념하는 UN의 날 콘서트와 케네디 센터 공연에서 청중들로부터 기립박수를 받는 등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함신익은 제4회 피델버그 국제지휘 대회에서 입상했으며 이스트만 음악학교로부터 월터 하겐 지휘상, 라이스대학에서 쉐퍼드 소사이어티 상을 수상했다. 1997년에는 미국 교향악단 협회로부터 가장 주목 받는 지휘자 그룹의 일원으로 선정되었으며, 199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

소프라노 : 조경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한 후, 이태리 오지모 아카데미아와 토리노국립음악원을 졸업한 소프라노 조경화는 동아콩쿠르 3위, 제1회 KBS 신인음악제 대상, 이태리 시에나국제콩쿠르 3위, 파르마 베르디 콩쿠르 3위, 파도바국제콩쿠르 1위,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란체스코비냐스국제콩쿠르 1위와 빌바오국제콩쿠르 1위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유럽의 주요 무대와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성남아트센터 등 다양한 오페라 무대에서 《라 보엠》, 《라 트라비아타》, 《마술피리》, 《투란도트》, 《오텔로》, 《가면무도회》 등의 주역으로 활약하였으며, 스페인 국영방송국 주최 음악회, 이태리 레죠극장 정기연주회 등에 출연하였고, 이태리 아미치델오페라리리카 독창회, 모로코 한국대사관 주최 독창회,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초청 독창회 등에 출연한 바 있다. 국내외에서 다수의 독창회와 오페라 갈라 콘서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장신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소프라노 : 이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후, 줄리어드 음대 대학원을 졸업한 이지연은 일찍이 동아콩쿠르 2위로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미국 퀸즈오페라콩쿠르 1위, 뉴저지주오페라 1위, 리치아 알바네제 주최 푸치니콩쿠르 1위, 카루소콩쿠르 금상, 베르시모콩쿠르 2위, 세르지오 프랑키 스칼라십 연속 4회 수상,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디션 동부지역 1위를 수상했다. 또한 아티스트 인터내셔널 1위 수상으로 카네기홀에서 독창회를 가진 바 있다. 플라시도 도밍고는 “이지연은 몽세라 카바이에를 연상시키는 탁월한 미성과 벨칸토 테크닉을 가졌다”라고 극찬했다. 스페인의 알리칸테에서 《라 트라비아타》의 주역으로 유럽무대에 진출했으며, 《나비부인》, 《라보엠》, 《투란도트》, 《리골레토》, 《안드레아 셰니에》, 《시몬 보카네그라》, 《라 트라비아타》, 《오텔로》 등 다수의 오페라에서 주역으로 출연한 바 있으며, 현재 경희대와 선화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소프라노 : 한경미
소프라노 한경미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 한스 아이슬러(Hanns Eisler)에서 오페라/리트(Operngesang)과를 수석 졸업하였다. 독일 라인스베르크 왕실 캄머오페라 주최 국제 콩쿠르에 입상하였으며, 모차르트 오페라 《돈 조반니》(돈나안나)와 글룩의 《이피게니》(이피게니)에서 주역으로 데뷔하였다. 이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오케스트라, 브란덴부르크 오케스트라, 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베를린 도이치오퍼 오케스트라,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교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장한나의 앱솔루트 클래식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등과 협연하였고, 세계적인 지휘자 크리스티안 틸레만, 유겐 하르트만, 허버트 바이셀 등과 함께 다수의 갈라콘서트와 오라토리오에서 솔리스트로 출연한 바 있다. 유럽, 미국 등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현재 일본 동경 후지와라 오페라단 정단원이자 주역가수로 활동 중이다.

메조 소프라노 : 이아경
한국인 최초 제34회 벨리니국제콩쿠르 단독 1위 및 마리오 델 모나코, 알카모, 비오티-발세지아, 벨루티 등 6개의 국제콩쿠르에서 모두 단독으로 1위를 한 메조 소프라노 이아경은 경희대 음대 전체 수석 졸업하고 동대학원 졸업 후, 이태리 오르페오 아카데미아와 비옷티 고등음악원을 졸업하였다. 1995년 약관에 국립오페라단에서 데뷔한 이후 수많은 프로덕션과 《운명의 힘》, 《돈 카를로》, 《아이다》, 《리골레토》, 《가면무도회》, 《일 트로바토레》 등 다수 오페라 공연의 주역 출연뿐 아니라 베를린앙상블, 상하이필,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부천시향 등과 말러 2번, 3번, 8번(천인)교향곡, 서울국제음악제 펜데레츠키 교향곡 한국 초연, 다니엘 바렌보임, 정명훈 등과의 베토벤 합창 교향곡 협연, 베르디 레퀴엠, 모차르트 레퀴엠, 메시아, 마태수난곡, 요한수난곡, b단조 미사곡, 엘리야 등 다양한 오라토리오의 협연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그녀는 현재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메조 소프라노 : 양송미
메조 소프라노 양송미는 부산예고와, 서울대 음대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대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동아음악콩쿠르와 스페인 비냐스콩쿠르에서 입상하였고, 2002년에는 한국인 메조 소프라노로서는 최초로 비엔나 슈타츠오퍼에 데뷔하여 《루치아 디 람메르무어》, 《카르멘》, 《시몬 보카네그라》, 《발퀴레》, 《라 트라비아타》 등을 공연하였으며, 2003/04년 시즌에 오스트리아의 그라츠 오페라와 《마술피리》, 《낙소스 섬의 아리아드네》,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등을 공연하였다. 2004년 한국에 귀국한 후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등의 초청으로 《베르테르》, 《노르마》, 《돈 카를로》 등에서 주역을 맡았으며, 특별히 2010년에는 국립오페라단의 국내초연 오페라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에서 주역으로 출연했다. 서울시향의 2009 신년음악회, 베토벤 9번, 광복 60주년 기념음악회 등에서 지휘자 정명훈과 함께 연주했으며,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부천필하모닉 등 국내 유수의 단체에서 초청받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현재 서울대, 국민대, 덕원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테너 : 박현재
테너 박현재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실기수석으로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이태리 페스카라 고등음악원과 프랑스 파리 크레테이 국립음악원을 전액장학금으로 졸업하였다. 중앙, 동아콩쿠르에서입상하고, 이태리 잔도나이, 알카모, 스페인 아라갈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스페인 가야레국제콩쿠르에서는 호세카레라스 최고 테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유럽의 주요 도시에서 《라보엠》, 《라 트라비아타》, 《가면무도회》 등의 작품으로 150여 회 이상의 공연을 하고, 2003년 귀국한 뒤 더 다양한 작품들에 주역으로 출연해오고 있다. 또한 국내외에서 《천인교향곡》, 베르디 《레퀴엠》, 모차르트 《레퀴엠》, 《카르미나 부라나》 등 수십 편의 미사곡과 오라토리오에 솔리스트로 출연하였고, 오페라 갈라콘서트, 독창회 등에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KBS교향악단, 서울시립, 코리안심포니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2011년에는 제24회 기독교문화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재 대한적십자사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서울대학교 성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바리톤 : 김동섭
서울대학교 음대 성악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DAAD 독일 정부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뮌헨음대 오페라 최고연주자과정과 독일가곡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쳤다. 토마스 햄슨과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에게 독일가곡을 사사하기도 했다. 중앙콩쿠르 1위, MBC대학가곡제 대상, 차이콥스키국제콩쿠르 3위, 뮌헨 ARD국제콩쿠르 1위, 바그너국제콩쿠르에서 입상한 바 있다. 2005년에는 빈 국립오페라단으로부터 “에버하르트 베히터”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바이언국립방송교향악단, 뮌헨심포니오케스트라, 스위스 취리히심포니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등과 협연한 바 있으며, 요한슈트라우스페스티벌, 칼오르프페스티벌, 통영국제음악제에서 독창회를 가졌고, 인스부르크극장에서는 겨울나그네 전곡 독창회를 가진 바 있다. 또한, 서울오페라페스티벌에서 윤이상의 《심청》에서 심봉사로 출연하기도 했다. 세계적인 메조 소프라노인 브리기테 파스밴더에 발탁되어 인스부르크 오페라극장에서 주역가수로 활동하였으며, 2013년까지 보탄역으로 독일 할레극장과 루트비히스하펜극장에서 《라인의 황금》을 시작으로 바그너 링 시리즈 전곡을 노래한다.

베이스 : 함석헌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후 독일 슈투트가르트 성악과 대학원을 수석으로 졸업한 베이스 함석헌은 이태리 메라노국제 콩쿠르, 스페인 쟈코모아라갈국제콩쿠르, 독일 쾰른국제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오페라극장에서 라벨의 오페라 《어린이와 마술(Das Kind und die Zauberdinge)》로 데뷔한 후 이태리 메라노극장, 독일 할레 오페라하우스, 독일 바트라우흐슈테트 오페라하우스에서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독일의 바덴바덴필하모닉, 쾰른필하모닉, 뮌헨필하모닉, 프라임필하모닉,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서울시향, 일본 NHK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으며, 다니엘 바렌보임이 이끄는 웨스턴 디반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토벤 교향곡 9번을 “DMG 평화 콘서트”에서 솔리스트로 연주하였다. 헨델 오페라페스티벌, 윤이상 통영국제음악제, KBS 열린음악회, MBC 가곡의 밤 등에 출연하였고, 홍콩 아트페스티벌에도 참가했다.

연합합창단 : 서울모테트합창단, 수원시립합창단, 안산시립합창단, 안양시립합창단,
의정부시립합창단, 고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 광명시립소년소녀합창단

 

 

 

- 골드,후원회원 10% - 블루회원 (예당우리V카드) 10% - 싹틔우미회원 40% (8세에서 19세의 회원가입한 청소년 / 티켓수령시 회원카드 지참 / 본인에 한함) - 단체할인: 10인단체 10% / 50인단체 20% / 100인단체 30% - 장애인(1급~3급) 및 국가유공자 동반1인까지 50%, 장애인(4급~6급) 본인만 50% (티켓수령시 본인이 직접 증빙카드 제시)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KBS교향악단 마스터즈시리즈(제664회 정기연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23(금)
작품명 KBS교향악단 마스터즈시리즈(제664회 정기연주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