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프린트 공유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 카카오톡 아이콘

  >  아카데미  >  아카데미 안내  >  인문

공유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
강좌 소개
마이픽시리즈 My Pick Series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의 동시대미술 작가, 하나의 흥미로운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강사님과 함께 탐구해 나가는 시리즈 특강입니다.
과정별 안내
[인문] 마이픽시리즈
예술의전당 인문아카데미
하나의 흥미로운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강사님과 함께 탐구해 나가는 시리즈 특강입니다.
마이 픽 시리즈[My Pick Series]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의 동시대미술 작가

강좌안내

수강기간: 2025년 12.10일(수)~12.27(토) 강좌별 상이
강 좌 수: 총 6회 (1회차씩 수강 가능)
강의시간: 10:30~12:30
수강비용: 1회차 50,000원
접수안내: 11.7(금) 오전 10시부터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전화접수(고령자에 한함)
할인안내
30% 얼리버드 할인 (11월 7일~11월 13일) ※중복할인 불가
5% 예술의전당 유료회원(골드, 블루)
10% 장애인, 국가유공자(선착순 접수 후 유선결제만 가능)
문의안내: 02-580-1615 9~17시(일, 월, 공휴일 휴무)

강좌현황
일정 12.10
요일 수
강좌명 <키치의 미학, 아이러니의 힘>최정화, 이불
수강료 50,000원
강사 김재희

일정 12.11
요일 목
강좌명 <설치와 조각의 확장> 최우람·권오상·이미래
수강료 50,000원
강사 한미애

일정 12.17
요일 수
강좌명 <여백에서 몸짓까지>이우환, 이건용
수강료 50,000원
강사 김재희

일정 12.18
요일 목
강좌명 <단색화의 전통과 한국 회화의 세계화> 하종현, 정상화, 이배
수강료 50,000원
강사 한미애

일정 12.20
요일 토
강좌명 <공간, 기억, 그리고 존재의 자리> 서도호, 양혜규, 김수자
수강료 50,000원
강사 이소영

일정 12.27
요일 토
강좌명 <감각의 확장, 경계의 재구성>애니카 이, 강서경, 제이디 차
수강료 50,000원
강사 이소영

※ 회차별로 강좌 개설하여 개별 예약결제 해야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수요강좌
강좌 : <키치의 미학, 아이러니의 힘>_최정화, 이불
강사 : 김재희미술해설가 아트재희센터 대표
일시 : 12.10 수요일 10:30~12:30
강의소개
젊은 시절, 같은 미술 그룹에서 활동하기도 했던 두 작가 ‘잡것과 날것들이 오롯이 살아 숨 쉬는 뮤지엄’을 연상케 하는 최정화(1961~)와 ‘직설보다 강력한 아이러니의 힘’을 지닌 이불(1964~)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대를 포착해 온 이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비교하며, 동시대 K-미술이 지닌 다층적인 매력을 함께 들여다봅니다.

강좌 : <여백에서 몸짓까지>_이우환, 이건용
강사 : 김재희 미술해설가 아트재희센터 대표
일시 : 12.17 수요일 10:30~12:30
강의소개
‘여백의 미학을 살린 공간 구성의 천재’로 불리는 이우환(1936~)과 그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아 ‘소통과 공유를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작업 방식’을 이어온 이건용(1947~)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통해 K-현대미술이 어떻게 사유의 확장과 감각의 교류를 실현해왔는지 깊이 들여다봅니다.

목요강좌
강좌 : <설치와 조각의 확장>_최우람, 권오상, 이미래
강사 : 한미애 현 호암미술관 도슨트
일시 : 12.11 목요일 10:30~12:30
강의소개
최우람은 기계와 생명의 결합으로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탐구하고, 권오상은 사진과 조각을 융합해 동시대적 시각 언어를 만들어냅니다. 이미래는 유기체와 기계, 신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감정과 폭력, 미학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세 작가의 작업을 통해 한국 동시대미술이 세계 미술계에 어떤 시각적 울림을 주었는지 살펴봅니다.

강좌 : <단색화의 전통과 한국 회화의 세계화>_하종현, 정상화, 이배
강사 : 한미애 현 호암미술관 도슨트
일시 : 12.18 목요일 10:30~12:30
강의소개
하종현은 캔버스 뒷면에서 물감을 밀어내는 독창적 기법으로 재료와 신체의 긴장을 표현하고, 정상화는 반복적 배접과 벗겨내기를 통해 수행성과 시간성을 드러냅니다. 이배는 숯이라는 한국적 재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물질성과 정신성을 탐구합니다. 세 작가의 작업을 통해 단색화의 전통을 확장하며, 한국 회화가 세계 미술 담론 속에서 새로운 위상을 확보해온 과정을 살펴봅니다.

토요강좌

강좌 : <공간, 기억, 그리고 존재의 자리>_서도호, 양혜규, 김수자
강사 : 이소영 소통하는 그림연구소 대표 아트컬렉터
일시 : 12.20 토요일 10:30~12:30
강의소개
“공간은 곧 기억이고, 구조는 곧 정체성이다” 서도호의 이동하는 집, 양혜규의 구조적 리듬, 김수자의 봉합된 여정 속에서 현대 조각과 설치가 개인의 정체성과 세계를 연결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봅니다. 이들은 물리적 공간을 넘어, ‘살아온 흔적과 관계의 기억’을 시각화하며, 공간이 곧 인간의 감정과 서사를 담는 또 하나의 몸임을 보여줍니다.

강좌 : <감각의 확장, 경계의 재구성>_애니카 이, 강서경, 제이디 차
강사 : 이소영 소통하는 그림연구소 대표 아트컬렉터
일시 : 12.27 토요일 10:30~12:30
강의소개
“전통의 재료와 현대의 감각, 생명과 기계, 현실과 가상” 서로 다른 세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세 작가의 예술 강서경은 수공예와 직물의 구조로 감각적 공간을 짓고, 애니카 이는 유기적 재료와 생명공학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제이디 차는 한국의 설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직조합니다. 세 작가의 작품을 통해서 동시대 미술이 인간, 기계, 자연, 전통의 경계를 어떻게 재정의하는지 살펴봅니다.
강사 안내
마이픽시리즈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의 동시대미술 작가>

□ 수요 강좌 : 김재희
<키치의 미학, 아이러니의 힘>최정화, 이불
<여백에서 몸짓까지>이우환, 이건용

· 미술해설가 아트재희센터 대표
·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미술학 석사
· 19년차 국립현대미술관 도슨트
· 2025년 서울시교육청 3개 도서관 미술인문학 1년 위촉 강사
· 2025년 프로젝트 K-문학이 미술을 만났을 때
· 2023년 감수 : MBC 선을 넘는 녀석들_더컬렉션,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 2022년 박물관미술관 주간 유튜브 캠페인 영상 출연
· 2019년~2021년 길위의 인문학 강의 다수
· 2018년 국회 <국회의사당 문화샛길 개막식 행사> 전시작품 해설>
·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 <해설로 보는 현대조각전>
· 문체부장관표창 미술도슨트 부문 (2013)
· 유튜브채널: ‘아트재희’ 운영
· 저서

2024년 『김달진, 한국미술아키비스트』 유홍준미술사학자 추천
2019년 『처음가는미술관 유혹하는한국미술가들』 세종도서선정
2016년 『나의 한국현대미술1』 협성재단 뉴북프로젝트 1회 최종당선

□ 목요 강좌 : 한미애
<설치와 조각의 확장>최우람, 권오상, 최정화
<단색화의 전통과 한국 회화의 세계화>하종현, 정상화, 이배

· 현) 호암미술관 도슨트
· 전) 리움미술관 도슨트 (2010~2022)
· 루이즈 부르주아, 서도호, 양혜규, 아니쉬 카푸어 등 주요 전시 참여
·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등 대학 및 기업 특강 다수
· 프랑스 베르사이유 미술대학(École des Beaux-Arts de Versailles) 수학
·프랑스 파리 라 빌레트 국립건축대학(École d’Architecture de Paris-La Villette) 학사·석사

□ 토요 강좌 : 이소영
<공간, 기억, 그리고 존재의 자리>서도호, 양혜규, 김수자
<감각의 확장, 경계의 재구성>애니카 이, 강서경, 제이디 차

· 한양대학교 다문화 교육-미술 박사과정 재학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석사 졸업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학과 석사논문
· <반응중심 이론에 따른 미술교육 연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학과 졸업
· 소통하는 그림연구소국제 현대미술교육 연구회 대표
· 현대미술 교육연구소 빅피쉬 아트리아트조이뮤지엄 대표
· 미술 에세이스트작가 - 전 서울시립미술관 도슨트
· 15년 차 아트컬렉터로 200여 점의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미술 관련 저술 활동뿐 아니라 강의 및 방송 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미술을 꾸준히 전달
· 저서
<그림은 위로다>, <미술에게 말을 걸다>, <칼 라르손>, <오늘도 행복을 그리는 이유>, <그랜마모지스>, <서랍에서 꺼낸 미술관>, <하루한장 인생그림> 등
아카데미
연락처 및 위치
  • 오페라하우스 컨퍼런스홀

    • ·

      인문 02-580-1614,1615,1457
      (화~토 오전 9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 음악당

    • ·

      음악영재 02-580-1452
      (화~토 오전 10시~오후 6시 / 일,월,공휴일 휴무)

  • 한가람미술관 옆

    • ·

      미술 02-580-1607
      (화~토 오전 9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 한가람디자인미술관

    • ·

      어린이 02-580-1613
      (화~토 오전 10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 서울서예박물관

    • ·

      서화 02-580-1658~9
      (화~토 오전 10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