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일 | 강의일정 | 회차 | 강사 | 강좌명 |
---|---|---|---|---|
[미술] 화요강좌 |
9.9~12.2 | 12 | 이진숙 | 그림, 시대를 말하다 #5 |
[오페라] 수요강좌 |
9.10~12.3 | 12 | 유정우 | 오페라 살롱 |
[음악] 목요강좌 |
9.11~12.4 | 12 | 최영옥 | 최영옥의 클래식 버킷 리스트 Ⅲ |
[문학] 금요강좌 |
9.12~12.12 | 12 | 김헌 | 오뒷세우스를 따라 그리스 신화 속으로 |
[미술] 토요 오전 강좌 |
9.13~12.13 | 12 | 이현 | 미술, 인문학 여행이 되다 : 로마편 |
[철학] 토요 오후 강좌 |
9.13~12.6 | 10 | 박찬국 | 니체 철학 감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9.9 | 인상주의의 도시, 파리 |
2주 | 9.16 | 극장, 카페에서 만난 사람들 |
3주 | 9.23 | 팜므 파탈과 제국주의 |
4주 | 9.30 | 벨 에포크와 데카당스 |
5주 | 10.14 | 프로이트와 비엔나의 예술 |
6주 | 10.21 | 아방가르드 예술과 1차 대전 |
7주 | 10.28 | 전쟁에 열광한 미술가들 |
8주 | 11.4 | 유럽의 무대에 등장한 러시아 |
9주 | 11.11 | 예카테리나 2세와 러시아의 영광 |
10주 | 11.18 | 러시아 농노해방과 이동파 미술 |
11주 | 11.25 | 톨스토이와 러시아 미술 |
12주 | 12.2 | 러시아 혁명기의 미술 - 추상미술과 유토피아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09.10 | 개강 특집 = 영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와 1710, 헨델의 런던 상륙 |
2주 | 09.17 | 헨델의 대 히트작, 울게 하소서 = <리날도> |
3주 | 09.24 | 뮤지컬이 아닌 사실주의 재즈 “오페라” = 겨슈윈 <포기와 베스> |
4주 | 10.01 | 모든 오페라의 기준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
5주 | 10.15 | 인간에 대한 놀라운 통찰 = 모차르트 <코지 판 투테> |
6주 | 10.22 | 요한 슈트라우스 탄생 200주년 기념 = 오페레타 <박쥐> |
7주 | 10.29 | 오페라 역사상 유일한 스웨덴 배경 작품 = 베르디 <가면무도회> |
8주 | 11.05 | 드보르자크 종합 예술의 집대성 = <루살카> |
9주 | 11.12 | 모차르트의 진짜 마지막 오페라는? = 1. <티토 황제의 자비> |
10주 | 11.19 | 모차르트의 진짜 마지막 오페라는? = 2. <마술 피리> |
11주 | 11.26 | <트리스탄>의 뿌리이자 출발점 = 바그너 <베젠동크 가곡> |
12주 | 12.3 | 국립 오페라 프리뷰 =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9.11 | 인간의 마음, 인간의 시선을 그리고자 했던 바로크 음악 선구자들 - 몬테베르디, 비발디와 텔레만 |
2주 | 9.18 | 클래식 음악의 기틀을 세운 바로크와 고전시대의 연결자 - 바흐와 헨델 |
3주 | 9.25 | 클래식 음악을 장르로 완성한 고전주의 빈 3인방 Ⅰ -하이든의 교향곡 |
4주 | 10.2 | 클래식 음악을 장르로 완성한 고전주의 빈 3인방 Ⅱ -모든 장르에서 꽃처럼 빛나는 모차르트의 음악들 |
5주 | 10.16 | 클래식 음악을 장르로 완성한 고전주의 빈 3인방 Ⅲ - 유일한 악성(樂聖) 베토벤, 영웅을 갈증했던 그가 세상에 보내는 메시지 |
6주 | 10.23 | 자유로움의 끝, 낭만시대를 연 거장들Ⅰ -’바흐’를 발견한 낭만파의 선구자 멘델스존과 슈만, 브람스, 베를리오즈 |
7주 | 10.30 | 자유로움의 끝, 낭만시대를 연 거장들 Ⅱ -리트의 완성자 슈베르트와 피아니즘의 라이벌 쇼팽과 리스트, 러시아 선율의 낭만 차이코프스키와 라흐마니노프 |
8주 | 11.6 | 낭만시대의 오페라 Ⅲ -아름다운 비극 멜로부터 극 사실주의 베리즈모까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오페라들 |
9주 | 11.13 | 메시지에서 보여지는 감각으로, 인상주의와 표현주의 - 드뷔시, 라벨, 쇤베르크 |
10주 | 11.20 | 변방에서 중심으로, 민족주의 음악의 대표들 - 드보르작, 스메타나, 그리그, 버르토크, 시벨리우스, 러시아 5인조 |
11주 | 11.27 | 근대음악으로 이어지는 선구자들 - 스트라빈스키, 말러, 스크리아빈, 거쉬인 |
12주 | 12.4 | 근대에서 현대까지 - 사티, 메시앙, 오르프, 존 케이지, 필립 글래스, 죄르지, 펜데레스키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9.12 | 트로이아 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
2주 | 9.19 | 오뒷세우스는 왜 전쟁에 참여하게 되는가? |
3주 | 9.26 | 그리스는 어떻게 전쟁에서 승리하는가? |
4주 | 10.17 |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 모자(母子), 오뒷세우스를 기다리다. |
5주 | 10.24 | 오뒷세우스는 왜 불멸의 삶을 버리고 필멸의 세계로 돌아가는가? |
6주 | 10.31 | 오뒷세우스의 회상(1): 트로이아를 떠나 외눈거인의 섬까지 |
7주 | 11.7 | 오뒷세우스의 회상(2): 바람의 나라에서 마녀 키르케의 섬까지 |
8주 | 11.14 | 오뒷세우스, 저승의 세계, 하데스로 내려가다. |
9주 | 11.21 | 오뒷세우스, 홀로 아름다운 여신의 섬으로 가다. |
10주 | 11.28 | 오뒷세우스, 고향 이타카에 도착하여 정체를 숨긴 까닭은? |
11주 | 12.5 | 오뒷세우스, 복수를 완수하다. |
12주 | 12.12 | 『오뒷세이아』 이후의 오뒷세우스의 비극적 최후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9.13 | 이탈리아 역사와 문화 개론 |
2주 | 9.20 | 로마제국의 유적과 기독교 문화 |
3주 | 10.11 | 바티칸과 로마의 성전들 |
4주 | 10.18 | 바티칸 미술관의 걸작들 I |
5주 | 10.25 | 바티칸 미술관의 걸작들 II |
6주 | 11.1 | 라파엘로 in 로마 |
7주 | 11.8 | 보르게세 컬렉션 |
8주 | 11.15 | 카라바죠 in 로마 |
9주 | 11.22 | 베르니니 in 로마 |
10주 | 11.29 | 로마의 르네상스, 바로크 건축들 |
11주 | 12.6 | 로마의 특별전들 |
12주 | 12.13 | 변화하는 로마, 현대미술관들 |
주차 | 날짜 | 주제 |
---|---|---|
1주 | 9.13 | 니체의 삶과 사상 1,2 첫 번째와 두 번째 주 강의에서는 니체의 삶과 사상에 대해 살펴보면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기 위한 니체 사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확보한다. |
2주 | 9.20 | |
3주 | 10.11 | 제1부 차라투스트라의 서설, 1, 2장 차라투스트라가 자신의 가르침을 세상에 전하려고 결심하게 된 배경과 ”신은 죽었다“는 말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 본다. |
4주 | 10.18 | 제1부 차라투스트라의 서설, 3, 4, 5장 초인과 말세인에 대한 니체의 사상에 대해 살펴 본다. |
5주 | 11.1 | 제1부 1장, 세 가지 변화에 대하여, 제3부 10장, 세 가지 악에 대하여 낙타의 정신, 사자의 정신, 아이의 정신과 자기극복에 대한 니체의 사상에 대해 살펴본다. |
6주 | 11.8 | 제1부 3장 배후세계론자에 대하여 지상의 세계 외에 천국이 존재한다는 사상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살펴본다. |
7주 | 11.15 | 제1부 4장 육체를 경멸하는 자들에 대하여 우리가 의식하는 자아와 이러한 자아의 이면에 있는 참된 자기에 대한 니체의 사상에 대해 살펴본다. |
8주 | 11.22 | 제1부 21장 자유로운 죽음에 대하여 어떻게 죽을 것인지에 대한 니체의 사상을 살펴본다. |
9주 | 11.29 | 제2부 7장 타란툴라에 대하여 사회주의를 비롯한 평등사상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살펴본다. |
10주 | 12.6 | 제3부 2장 환영과 수수께끼에 대하여 니체의 영원회귀사상에 대해 살펴본다. |
강좌명 | 강사명 | 아카데미명 / 학기명 | 기간 | 시간 | (접수중인인원/총인원) | 접수현황 |
---|
인문 02-580-1614,1615,1457
(화~토 오전 9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음악영재 02-580-1452
(화~토 오전 10시~오후 6시 / 일,월,공휴일 휴무)
미술 02-580-1607
(화~토 오전 9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어린이 02-580-1613
(화~토 오전 10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
서화 02-580-1658~9
(화~토 오전 10시~오후 5시 / 일,월,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