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작가>
 
-  한국
 강환섭, 강희룡, 고범도, 곽정우, 김건표, 김명자, 김무호, 김병권, 김양동, 김영기, 김영룡, 김영배, 김영삼, 김영선, 김희정, 리홍재, 문관효, 박상찬, 박영도, 박영진, 박정규, 박정숙, 박정식, 박종회, 선주선, 손동준, 손창락, 송동옥, 송종관, 송현수, 송현숙, 신은숙, 양상철, 여성구, 여원구, 이승우, 이영순, 이영철, 이주형, 이쾌동, 이흥홍, 임재우, 장정영, 전도진, 전명옥, 전병택, 전상모, 전윤성, 전정우, 정광주, 정도준, 정석흔, 정웅표, 정준식, 정태희, 정해천, 조수현, 조용연, 조종숙, 최돈상, 최민렬, 최은철, 한윤숙, 한태상, 황보근, 황석봉, 황성현 (67명)
 
 - 중국
 張海, 魏峰, 田樹萇, 張景岳, 王冬齡, 王鏞, 胡抗美, 崔志強, 王岳川, 曾來德, 丁嘉耕, 曾翔, 燕守谷, 李曉軍, 黃勝凡, 范國強, 蔡大禮, 朱培爾, 邵岩, 劉俊京, 胡秋萍, 魏傑, 鄭曉華, 王厚祥, 王丹, 洪厚甜, 劉楣紅, 李遠東, 魏廣君, 陳志超, 張公者, 葉欣, 李強, 劉月卯, 方放, 肖文飛, 龍開勝, 范振海, 楊濤, 王東聲, 徐濤, 李明, 葉明, 董瑋, 唐朝軼, 趙際芳, 景嵐, 梅躍輝, 羅宏, 楊科雲 (50명)
 
 - 일본
 黒田賢一, 星弘道, 新井光風, 牛窪梧十, 杭迫柏樹, 高木厚人, 樽本樹部, 永守蒼弯, 石飛博光, 小原道城, 辻元大雲, 仲川恭司, 中村伸夫, 船本芳雲, 吉川蕉仙 (15명)
 
 
 <한중일 국제서예진흥포럼>
 
 - 일시 : 2025년 11월 1일 (토) 13:00 - 16:00
 - 장소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제3전시실
 - 참석 : 무료(선착순 입장)
 - 포럼 내용
  1부: 한국
김병기(전북대학교 명예교수) – 「다시 ‘書如其人’論으로 현재의 한국서단을 진단한다」
장지훈(경기대학교 교수) – 「학교 서예교육의 현실과 활성화 방안」
이동국(경기도박물관장) – 「AI시대, 동아시아 서(書)의 미래」
 
 2부: 중국·일본
범진해 范振海 (중국 하북미술학원) – 「중국 성인 서예교육 현황」
야나기다 사야카 柳田さやか (시마네대학) – 「일본의 서예교육의 현황과 과제」
  가야하라 스스무 萱原晋 (일본서도신문)  – 「일본 성인 서예교육의 현황과 과제」
 
  3부 종합토론
  좌장 : 이주형 (대전대학교 교수)
 
 
 
 
본관 전체 4층 중 2·3층
총 3개 전시실
1988년 음악당과 함께 개관한 서울서예박물관은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서예 전문 전시장이다.
4층 규모의 건축물에 2개층 3개 전시실과 2개의 수장고를 자랑하고 있다. 한중일 서예사 관련 고문헌「근역서화사」등 우리나라 근현대 서화사 자료와 동아시아 현대 서예작품 1,3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예술의전당은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여 주최해 왔는데, 우리 서예사의 맥락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1988년 시작한 <한국서예사특별전>은 그중에서도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우리 서예가 중국의 그것과 구별되는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을 뿐 아니라 서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도 마련하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전시회를 통해 우리 서예와 서화를 관람객에게 전달해 왔다.
2002년 3월 ‘서예전문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
한중일 서예 국제교류전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
 신용카드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무통장(가상계좌입금)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신용카드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무통장(가상계좌입금)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홈페이지 예매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전화 예매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현장매표소
 현장매표소
	 서비스플라자
 서비스플라자
	 우편 배송 신청
 우편 배송 신청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티켓수령시 유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