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공연의 예매티켓은 공연 당일 현장수령만 가능합니다.
※ 사전배송 및 모바일티켓 이용 불가
※ 예술의전당 프론트(서비스플라자)에서 사전 티켓 구매가 불가
■ 관람 연령 및 티켓 수령 안내
- 공연은 관람 가능 연령이 공연마다 상이합니다. 예매 전 관람 연령을 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티켓 수령 및 객석 입장 시 관람 연령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이 기재된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관람 연령 미숙지로 인한 공연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예매 취소, 환불, 변경은 일체 불가합니다.
- 공식 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간 직거래(양도/양수) 및 불법적인 경로로 판매·구입한 티켓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주최사 및 제작사, 예매처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티켓은 반드시 지정된 예매처를 통하여 구매해주시기 바랍니다.
■ 예매 티켓 수령 안내
- 예매 티켓 수령 및 현장 구매는 공연 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전 매표소가 혼잡할 수 있으니, 여유 있게 공연장에 도착하셔서 입장권을 수령해 주시기 바랍니다.
- 증빙이 필요한 할인 내역이 있으신 경우에는 해당 증빙서류를 꼭 지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발권한 티켓을 분실 또는 훼손한 경우 재발행/변경/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 공연 관람 안내
- 본 공연 시작 후에는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공연 도중 퇴장의 경우 재입장이 불가합니다.
- 커튼콜 촬영은 가능하나 그 이외에 사전 협의되지 않은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녹음은 금지됩니다.
- 공연장 내 음식물 섭취는 제한하고 있습니다.
■ 공연장 이용 안내
- 주차 및 교통 혼잡이 예상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차 및 교통난으로 인해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예매 취소/변경이 불가합니다.
본 예매 입장 규정 미확인으로 인한 예매 티켓의 취소, 변경, 환불은 불가합니다.
예매 전 반드시 위의 내용을 확인 및 숙지 부탁드립니다.
공연소개
아이들이 느끼는 아리랑은 무엇일까?
나에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모두의 마음속 고향을 생각하며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는 시간 여행이다. 이 작품은 한국인의 정서가 깊이 깃든 아리랑 가락을 바탕으로 밀양의 포근한 봄의 정취와 생동감 넘치는 감성을
표현했으며 관객들에게 옛 고향의 추억을 떠올림으로써 위안과 공감을 선사한다.
<강강술래>
정월
대보름날이나 8월 한가위에 주로 남부 지역에서 행하는 민속놀이로 사람들이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고
돌면서 노래하고 춤추는 식으로 진행된다. 2009년 9월 30일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이나 한가위에 여성들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고 돌면서 풍요를 기원하는 대표적인 여성 중심의 민속놀이로 연희되고 있다.
본
작품은 삶이 녹아있는 어휘와 반복되는 후렴, 리듬의 강약, 변화무쌍한
의성어와 몸동작으로 예술적 다양성과 재미가 함께 어우러진 작품으로 2017 제3회 모여라 국악 영재들 대상(민속무용 부문)을 수상하였다.
<밀양양반춤>
국가무형유산 밀양백중놀이의 여러 연희 중 하나로서 밀양 특유의 가락과 몸짓에서 우러나는 호쾌하고 자유스러운 허튼춤이다. 특히 영남 특유의 덧배기가락에 추어지는 덧배기춤은 그 호흡이 맛깔스러우면서도 역동적이며 남성적인 멋이 넘친다. 일자(一字)사위라도 양팔을 수직으로 벌려 펴지 않고 엇사위로 펴는 것과 왼발, 오른발 중 한쪽 발을 들고 추는 동작을 자주 볼 수 있다.
<점필재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 유산에 등재된 밀양아리랑과 밀양 부북면 제대리 한골마을에서 태어나 성리학적 정치질서 확립에 힘썼던 점필재 김종직 선생(1431년~1492년)의
선비정신을 접목한 신개념의 퓨전 작품이다.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것을 초나라 항우와 의제와의 관계를 빗대어 적은 <조의제문>을 소재로 역사적이고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작품은 희망의 세상을 갈망한 아리랑의 정신과 도의(道義)를 추구한 선비정신을 소리, 춤, 연극 등 다원예술로 융합하여 새로운 세상을 구현하려고 한 선조들의 정신을 전달하고자 하는 교육용 작품으로 2018 서울아리랑페스티벌에서 전체 대상을 수상하였다.
<각시풀>
본
작품은 아이들이 풀각시놀이를 하며 불렀던 민요 각시풀과 신랑 각시놀이를 접목한 작품으로 전통을 그대로 살리고 감성과 재미가 어우러진 퍼포먼스로 2016 제2회 모여라 국악 영재들 대상(민요부문)을 수상하였다.
<밀양검무>
밀양검무는 18세기(조선시대) 응천교방에서 전승된 밀양의 대표적인 전통춤으로 밀양 출신 기생 운심에 의해서 유명해진 검무이다. 두 명의 여성 무용수가 양 손에 장검을 들고 날렵한 춤사위로 공격과 방어를 하고 마지막에 칼을 던지며 마무리되는 무술적 요소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검무 계열의 춤은 평화를 기원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1988년 김은희가 복원하여 전승중이다.
<새터 아리랑>
새터
가을굿놀이는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일명 새터)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민속놀이로 가을걷이를 할 때 부른 공상타작, 뿍대기타작, 목메놀이, 오헤야 등 토속 소리와 벼 타작을 하는 협동 작업과정을 엮어 풍년을 구가(謳歌) 하면서 노는 놀이다.
본
작품은 새터 가을굿놀이에 재미와 이야기를 넣어 어린이 버전으로 새롭게 구성한 종합 퍼포먼스 작품으로 놀이를 통해 선조들의 농경문화를 접해보고 이해해
보고자 제작되었다.
2019년 KBS 국악한마당에
초청된 새터 아리랑은 지역 농경문화를 접목해 새로운 형태로 창작된 작품으로 방송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은 작품이다.
밀양아리랑
가락에 밀양의 전통 춤사위를 접목시킨 퓨전공연 작품으로, 밀양아리랑이 지게를 지고 목발로 장단을 맞추며
불리어졌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밀양아리랑 토속 소리와 밀양 전통춤인 범부춤, 양반춤, 그리고 모심기, 씨 뿌리기, 벼
베기, 타작하기, 목메돌리기 등 농사를 지을 때 하는 행위를
동작화하고 밀양 백중놀이 속 장면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며 여기에다 아리랑 손치기 놀이와 춤 등을 결합한 작품이다.
본
작품은 2015년 서울아리랑페스티벌 전국 아리랑 경연 대회 금상(몸짓
부문)을 수상하였다.
<아리랑 좋아>
- Outro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30% (4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20% (4매), 그린회원 2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4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노블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동반할인 30% (동일회차, 동일 등급 3인 이상 동반 예매시 적용)
- 청소년 할인 30% 1매 (만 25세 이하(2000.01.01.년 이후 출생자) /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예술인 할인 30% 1매 (티켓수령 시 공연예술인 증빙-리플렛, 명함, 프로그램북 등 제시(참여공연 프로그램, 브로셔, 명함, 서울아트마켓 참가자 비표 등)
- 외국인 할인(Foreigners Discount) 20% 2매 (티켓 수령 시 외국인등록증 또는 여권 제시 / *미지참시 현장 차액 지불(Eligible buyers are required to present valid forms of ID (Passport, Alien Registration Card, and Driver's License)
- 문화릴레이 할인 20% 2매 (1인 2매 / 2024년-2025년 공연 유료티켓 소지자 / 참여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극단, 국립극장,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정동극장,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경기아트센터, 서울예술단, 성남문화재단. 세종문화회관, 안산문화재단, 예술의전당,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용인문화재단, 국가유산진흥원)
- 경로우대 50% 1매 (65세 이상(1960년생 이전 출생자), 본인에 한함 / 티켓 수령 시 신분증 확인)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1매 (티켓 수령 시 본인명의의 문화누리카드 제시)
- 장애인 할인 50% 2매 (1~6급(중증/경증)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50%(본인 및 동반1인)
- 국가유공할인 50% 2매 (국가유공자증, 보훈보상대상자, 의상자,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10인이상단체 40% 10매 (10인 이상 구매 시 / 전화예매 및 현장구매 가능)
- 20인이상단체 45% 20매 (20인 이상 구매 시 / 전화예매 및 현장구매 가능 )
관람석 총 241석
221석 (일반석 217석 | 장애인석 4석)
20석 (시야제한석 20석)
예술의전당의 모든 공간에서 가장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가 가능한 공연장이다.자유소극장은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으며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300석까지 객석규모도 변형 가능하다. 프로시니엄, 아레나, 돌출, 비정형 등 다양한 형태로 무대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부무대의 높낮이도 조정이 가능한 블랙박스형 극장이다. 입체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세계를 선호하는 예술인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정면석) 166석
2층(정면석/측면석) 45석
3층(3층석) 30석
[2025 리:바운드 축제] 날 좀 보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