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
드뷔시 – 바이올린 소나타 g단조, L.
140
Claude
Debussy – Violin Sonata in G minor, L. 140
그리그 –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c단조, Op. 45
Edvard
Grieg – Violin Sonata No. 3 in C minor, Op. 45
Intermission
시벨리우스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 Op. 80
Jean
Sibelius – Sonatine for Violin and Piano, Op. 80
슈트라우스 – 바이올린 소나타 E♭장조,
Op. 18
Richard
Strauss – Violin Sonata in E-flat major, Op. 18
 [프로필]
 
 에스더 유, 바이올린
<스트라드>는 에스더 유를 “이 시대 솔로 바이올리니스트의 모범”이라고 평했고, <뉴욕 타임스>는 열광적인 청중의 반응을 전하면서 마치 “파가니니 연주회 같았다”며 극찬했다. 이러한 반응은 전 세계 무대에서 이어지고 있다. 깊이 있는 표현력과 신선한 해석, 그리고 숨 막히도록 눈부신 기교가 결합된 연주로 그녀는 세계 주요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4/25 시즌 에스더 유는 뮌헨 필하모닉, 볼티모어 심포니 오케스트라, 캘거리 필하모닉, 네덜란드 라디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하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차이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첫 협연을 펼쳤다. 또한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와의 투어를 가졌으며, 위그모어홀과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바우의 앙코르 무대에도 올랐다. 시애틀 심포니와 홍콩 필하모닉과의 협연에서는 레이몬드 유 바이올린 협주곡을 각각 미국과 아시아 초연으로 선보였으며, 이 작품은 두 오케스트라와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공동으로 위촉한 작품으로 세계 초연도 그녀가 맡아 연주했다.
에스더는 뉴욕 필하모닉,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도이치 라디오 필하모니, 로열 리버풀 필하모닉, 스페인 RTVE 심포니 오케스트라, 멜버른 심포니,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등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와 협연했으며, 링컨 센터, 로열 앨버트 홀, 서울 예술의전당, 아스펜 음악제, 프라하 스프링 페스티벌, BBC 프롬스 등 세계 유수의 무대에서 연주했다. 그녀는 구스타보 두다멜, 에사-페카 살로넨,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얍 판 츠베덴, 투간 소키예프, 바실리 페트렌코, 산투-마티아스 루발리, 달리아 스타세프스카, 정명훈, 리나 카넬라키스 등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또한 실내악 연주자로서도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 장 주오, 나렉 하크나자리안과 함께 결성한 Z.E.N. 트리오의 일원으로 북미, 유럽, 아시아, 호주를 투어 무대를 가졌다.
레코딩 활동에도 눈에 띄는 성과를 쌓아온 그녀는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시벨리우스, 차이콥스키, 글라주노프의 협주곡을 수록한 여러 앨범과 함께 Z.E.N. 트리오로 두 장의 앨범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브루흐와 바버를 수록한 앨범을 선보였으며, 롱 유가 지휘한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녹음을 마친 새 앨범이 이번 시즌에 출시될 계획이다. 브람스와 드보르자크의 트리오를 담은 데뷔 앨범에 이어 <Burning Through the Cold>라는 타이틀로 쇼스타코비치, 바바자니안, 라흐마니노프, 하차투리안의 작품을 수록한 앨범을 선보인 그녀는 영화 ‘체실 비치에서’ 사운드트랙에 메인 아티스트로 참여했으며,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채드 로슨의 앨범 <breathe>에 게스트 아티스트로 참여했다. 두 앨범 모두 데카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다.
에스더는 2010년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콩쿠르에 최연소로 입상했고, 2년 후인 2012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도 역대 최연소로 입상했다. 2014년 BBC 라디오 3의 차세대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으며, 2018년에는 <클래식 FM>의 30세 이하 톱 30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명한 첫 상주 아티스트로 활동한 그녀는 2020년 뉴욕 WQXR 방송국이 주관한 2020년에 주목해야 할 스무 명의 전세계 아티스트 중 하나로 피아니스트 비킹쿠르 올라프손, 조성진 등과 함께 선정됐다.
서로 다른 세 문화권의 뿌리가 각자의 완벽한 모습으로 그녀 안에서 공존한다. 에스더 유의 출생과 성장, 교육과 경험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 미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고 벨기에, 독일, 영국에서 교육받은 그녀는 가족이 간직하고 있는 한국의 문화적 유산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이어가고 있다. 세 대륙에 걸친 뿌리에서 얻은 자양분이 그녀를 다재다능하며 유례없이 넓은 표현력을 지닌 연주자로 성장시켰다. 더불어 에스더 유는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 명확하면서도 재능 있는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신문과 매거진, 팟캐스트, 유튜브, 각종 방송 출연을 통해 음악, 연주자의 삶 등 다양한 주제들을 깊이 있고 흥미롭게 전하고 있다. 2025년부터 그녀는 한국계 최초 영국 왕립음악대학 현악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박재홍, 피아노
2021년 페루초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4개의 특별상과 함께 우승을 거머쥔 피아니스트 박재홍은 가장 주목받는 젊은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로 명성을 쌓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김대진 교수를 사사한 그는 일찍이 클리블랜드 국제 영 아티스트 콩쿠르와 지나 바카우어 국제 영 아티스트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루빈스타인 국제 콩쿠르, 에틀링겐 국제 청소년 콩쿠르, 힐튼 헤드 국제 콩쿠르 등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상위 입상하였다.
박재홍은 빈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슈타츠필하모니 뉘른베르크,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유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이탈리아 이 포메리지 무지칼리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토스카니니,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유럽연합 유스 오케스트라를 포함한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또한 정명훈, 지아안드레아 노세다, 크리스티안 예르비, 마르쿠스 슈텐츠, 피에타리 잉키넨, 요엘 레비, 텅취 촹, 오메르 메이어 웰버, 제임스 페덱 등 세계 정상의 지휘자들과 호흡을 맞추며 음악적 폭을 넓혀가고 있다.
그라페네크 페스티벌, 볼차노 페스티벌, 토리노 링고토 무지카 페스티벌, 볼로냐 무지카 인시에메 페스티벌과 통영국제음악제 등 유수의 페스티벌에서 연주한 그는 런던 위그모어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도쿄 산토리홀 등 세계 유수의 공연장에서도 연주를 선보이며 차세대 젊은 거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2024년 솔로 앨범 <스크랴빈, 라흐마니노프>가 데카 레이블에서 발매되어 “작품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섬세한 해석과 파워풀함을 겸비한 연주”라는 호평을 받았고,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비롯한 국내 주요 공연장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2025/26 시즌에는 3월 아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데뷔와 라 폴 주르네 도쿄, 히차커 페스티벌, 미켈란젤리 페스티벌 등 다양한 페스티벌 무대에 올랐으며,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협연과 미주 투어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발매가 예정되어 있다.
현재 그는 베를린 바렌보임-사이드 아카데미에서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 경의 사사를 받고 있다.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에스더 유 & 박재홍 듀오 리사이틀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
 신용카드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무통장(가상계좌입금)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신용카드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무통장(가상계좌입금)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홈페이지 예매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전화 예매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현장매표소
 현장매표소
	 서비스플라자
 서비스플라자
	 우편 배송 신청
 우편 배송 신청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티켓수령시 유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