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 순서가 변경되었습니다.
(변경전)
Johann Sebastian Bach: Violin Concerto in E major, BWV 1042
Johann Sebastian Bach: Violin Concerto in A minor, BWV 1041Ludwig van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인터미션
Ludwig van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프로그램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 작품번호 1041
Violin Concerto in A minor, BWV 1041
I. Allegro
II. Andante
III. Allegro assai
김응수 Edwin E.S. Kim, Violin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바이올린 협주곡 E장조, 작품번호 1042
Violin Concerto in E major, BWV 1042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o assai
김응수 Edwin E.S. Kim, Violin
INTERMISSION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61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I. Allegro ma non troppo
II. Larghetto
III. Rondo: Allegro
안톤 소로코프 Anton Sorokow, Violin
콘라드 반 알펜 Conrad van Alphen, Conductor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77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77
I. Allegro non troppo
II. Adagio
III.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vivace
김응수 Edwin E.S. Kim, Violin
콘라드 반 알펜 Conrad van Alphen, Conductor
바이올린 | 김응수 (Edwin E. S. Kim)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는 깊이 있는 예술성과 탁월한 표현력으로 세계 무대에서 찬사를 받는 연주자입니다. 특히 유럽 무대에서 그의 존재감은 독보적이며, 동시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는 프라하 필하모닉, 프라하 라디오 심포니, 슬로바키아 필하모닉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쌓았고, 베를린 필하모니와 빈 콘체르트하우스 같은 유럽 주요 공연장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2024년 서울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서 수원시립교향악단과 함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며 그의 탁월한 해석은 극찬을 받았습니다. 2019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 엘가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하며 정교한 기교와 감성 표현으로 큰 호평을 받았고, 2014년에는 광주시립교향악단과 파가니니 협주곡을 연주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의 연주는 ARTE TV와 KBS 클래식 FM을 통해 꾸준히 방송되며, 대중과 평단 모두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체코 리토미슐 페스티벌에서 15번의 커튼콜을 기록하며 유럽 음악계에서도 독보적인 존재감을 입증한 그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오스트리아 레히 클래식 음악 페스티벌의 예술 감독으로 활동하며 매년 전석 매진을 기록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김응수는 티보르 바르가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로돌포 리피저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치네티 국제 실내악 콩쿠르 등 세계적인 콩쿠르에서의 입상을 통해 예술적 깊이와 기량을 널리 인정받았습니다. 각 콩쿠르에서 그는 뛰어난 기술적 완성도와 예술적 통찰력을 보여주며 예술가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습니다.
그는 또한 Sehnsucht (2017, 데카), Das Leben (2021, 유니버설 뮤직), Mein Wiener Herz (2022, 유니버설 뮤직) 등 다수의 음반을 통해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선보였으며, 차트 상위권에 오르고 평단의 극찬을 받았습니다.
현재 김응수는 300년의 바이올린 음악을 탐구하는 Dots and Lines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4년 카메라타 솔과 함께한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 연주는 깊이 있는 해석으로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는 현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Thomastik-Infeld의 공식 아티스트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바이올린 | 안톤 소로코프 (Anton Sorokow)
안톤 소로코프는 현재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 1악장이며, 비엔나 국립음대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10살 때 모스크바 중앙음악학교에 입학하여 예브게니아 추가예바 교수의 지도를 받았으며, 비엔나 국립음대에서 도라 슈바르츠베르크 교수의 지도 아래 학업을 이어가 2004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그는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했으며, 특히 1994년 체코에서 열린 베토벤 콩쿠르에서 1위와 특별상을, 1997년 비엔나 스테파니 홀 콩쿠르와 1999년 이탈리아 브레시아 로마노 로마니니 콩쿠르에서도 각각 1위를 차지했습니다.
안톤 소로코프의 음악 경력은 솔리스트와 악장으로서 더욱 빛났습니다. 그는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뉘른베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활동하며, 특히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뉘른베르크 필하모닉에서 1악장을 맡았습니다. 그가 음악가로서 크게 성장하는 데에는 스위스 베르비에에서 만난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아이작 스턴(Isaac Stern)의 영향이 컸습니다. 스턴의 음악적 조언과 지원은 그의 음악 세계를 깊이 있게 만들어주었습니다.
그는 베를린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모스크바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비롯해, 볼프강 자발리쉬(Wolfgang Sawallisch), 정명훈(Myung Whun Chung), 켄트 나가노(Kent Nagano), 프란츠 벨저-뫼스트(Franz Welser-Möst) 등 저명한 지휘자와의 협업을 통해 예술적 깊이를 더했습니다.
교육자로서도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그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비엔나 컨서바토리 사립대학에서 가르쳤으며, 2011년부터 비엔나 국립음대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2024년부터는 비엔나 국립음대 프리츠 크라이슬러 연구소(Fritz Kreisler Institute)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밀라노 비코카 대학교(University of Milan-Bicocca)의 객원 교수로도 활동하며, 아이젠슈타트 부활절 세미나와 불가리아 소조폴 마스터클래스를 공동 창립해 국제적인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안톤 소로코프는 현재 오스트리아 국립은행이 소장한 1741년 주세페 과르네리 델 제수(Giuseppe Guarneri del Gesù)의 "Ex Carrodus"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습니다.
지휘자 | 콘라드 반 알펜(Conrad van Alphen)
콘라드 반 알펜은 비전 있는 해석과 에너지 넘치는 지휘 스타일로 오케스트라와 관객들에게 사랑받는 세계적인 지휘자입니다. 그는 고전 음악부터 대규모 심포닉 레퍼토리까지 폭넓은 역량을 자랑하며,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슈투트가르트 필하모니, 베를린 심포니, 러시아 국립 오케스트라, 모스크바 필하모니, 브뤼셀 필하모닉, 보고타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업해 탁월한 경력을 쌓았습니다.
2000년, 그는 신포니아 로테르담을 창단해 상임 지휘자 겸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오케스트라는 고전주의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대의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로테르담의 드 도엘렌, 헤이그의 아마레, 암스테르담의 로열 콘세르트헤바우에서 성공적인 연주 시리즈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의 리더십 아래 신포니아 로테르담은 유럽, 남미, 중국, 러시아 등 전 세계를 순회하며 뛰어난 연주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는 미하일 플레트네프, 막심 벵게로프, 니콜라이 루간스키, 미샤 마이스키 등 세계적인 솔리스트들과 협연하며 협주곡 해석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 사포노프 국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를 역임하며 러시아와 유럽 주요 공연장에서 활동했으며, 러시아 국립 오케스트라와의 순회 공연을 통해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음반 활동에서도 Channel Classics, Telarc 등 주요 레이블을 통해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으며, Sinfonia Live와 유튜브를 통해 생생한 연주를 세계에 전하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태어난 그는 26세에 네덜란드로 이주해 네덜란드 라디오 심포니와 베토벤 아카데미에서 더블베이스 연주자로 활동하며 에리 클라스와 로베르토 벤지에게 지휘를 사사해 세계적인 지휘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카메라타 솔, Camerata SOL
2019년,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카메라타 솔은 음악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며 예술적 감각을 확장해가는 앙상블입니다. 단순히 연주를 넘어, 음악을 통해 시대와 감정을 연결하고, 그 안에 담긴 진정성과 다층적인 의미를 관객과 나누고자 합니다.
<시간으로부터의 회귀>(2021)에서는 바로크와 낭만 시대의 음악을 이어주며, 시대를 초월한 음악의 본질을 탐색했으며 (2023)에서는 비발디, 피아졸라, 리히터의 사계를 한 무대에서 풀어내며 신선하고 독창적인 해석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모차르트의 초대장>(2024)에서는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을 통해 그의 음악 속에 담긴 순수성과 생명력을 재발견했으며, 2025년
<김응수 & 카메라타 솔 <겹의 미학> 시리즈 1: B>에서는 바흐, 베토벤, 브람스를 통해 클래식 음악의 정수를 새롭게 해석할 예정입니다.
카메라타 솔은 음악이 가진 본질적인 아름다움에 집중하며, 각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새로운 발견과 깊이 있는 감동을 선사합니다. 이들의 연주는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 음악이 지닌 내면적 이야기와 그 속에 담긴 시대적, 예술적 맥락을 되새기는 여정이 됩니다.
관람석 총 2,505석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1,508석
2층 568석
3층 429석
김응수 & 카메라타 솔 <겹의 미학> 시리즈 1: B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