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icle XIII. Homo Ludens 이현주 플루트 독주회
PROGRAM
2013년부터 시작된 기획독주회 Chronicle Series를 통하여 “새로움에 대한 배움과 익숙함에 대한 즐거움”이란 모토아래 음악사적 유의미한 주제 및 다양한 시대의 작곡가들의 작품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연구 및 소개해 오고 있다
음악사의 흐름 속에 중대한 철학적 가치를 지닌 ‘유희, 인간 본연의 모습을 통한 정신적 창조활동’에 대한 미학을 담은 작품들을 소개하고자 ‘호모루덴스(Homo Ludens)’라는 주제로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공연에는 이성현의 술래잡기, Ewazen의 모자이크 등 K-Classic 및 현존 작곡가의 작품 속에서 연주기교, 화성적 모순, 작곡기법 등의 장치를 통해 플루트라는 악기로 구현되는 “다양한 차원의 유희”의 산물을 관객과 함께 발견하는 감상체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특별히 올해 크로니클 시리즈에서는 뉴욕타임즈가 극찬한 세계적인 바수니스트 피터 콜케이와 퍼커셔니스트 정지혜가 게스트 연주자로서 함께 한다.
이성현 / Cache-Cache I for Flute, (off-stage Basson) and Piano
Gareth Farr / Kembang Suling for Flute and Marimba
Eric Ewazen / Mosaics for Flute, Basson and Marimba
Charles Lefebvre / Ballade for Flute, Basson and Piano
Giuseppe Verdi / Fantasy from Thema “La Traviata” for Flute and Piano
Lukas Foss / Three American Pieces for Flute and Piano
PROFILE
Flute / 이현주
찬란한 음색, 화려한 기교와 품격 있는 매너로 독보적인 무대를 선사하고 있는 플루티스트 이현주는 예원학교 졸업, 서울예고 1학년 재학 중 도독하여 하이델베르그-만하임 대학을 최연소 합격, Vordiplom과정을 수학한 후 독일 뮌헨 국립음대에서 학사학위 Bachelor of Music과 Meisterklassen 과정을 마쳤다. 이후 도미하여 미국 맨하탄 음대 석사학위 Master of Music,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에서는 전액장학생으로 Artist Diploma과정을 졸업한 후,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 Doctor of Musical Arts를 취득하였다.
예원학교 재학중, 서울시향과 협연으로 성공적인 데뷔를 한 그녀는 이후 KBS교향악단, 춘천시향, 군산시향 등과의 협연과 독주회무대 등을 통해 10대 시절부터 국내 다양한 무대에서 실력을 인정받아 (사)한국음악협회가 수여한 '장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독일 뮌헨, 일본 코베, 스위스 제네바 콩쿨과 함께 세계4대 플루트 콩쿨 중 하나인 프랑스 장-피에르 랑팔 국제콩쿨 Jean-Pierre Rampal Competition에서 가장 미래가 촉망되는 연주자에게 수여되는 Prix du meilleur espoir 입상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음악계로부터 유망한 신진연주가로서 주목을 받으며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나갔다. 또한 Jeunesses Musicales 월드 오케스트라와 Yehudi Menuhin 장학재단 소속연주자로서 아시아, 독일, 미국 등 국제순회연주 및 CD음반 제작 참여와 통해 영민한 비전을 제시하는 연주자로서의 역량을 인정받았다.
바로크음악에서부터 현대음악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서울시향, KBS교향악단, KCO, 세종솔로이스츠 힉엣눙크, 서울국제음악제, 서울스프링페스티발, KT체임버홀등 국내 주요 초청기획연주 등에서 호평받은 바 있다. 미국 Norfolk Chamber Music Festival, 캐나다 Orford Music Festival, 서울국제음악제, 아시아플루트 연맹, 일본 플루트 컨벤션, 중국 션젠 대극장 음악제 등과 미국 워싱턴 음대, 중국 베이징 음악원, 선양 음악원, 베트남 호치민 음악원 등 해외 유수의 음악교육기관 및 문화페스티벌에서 독주회, 마스터클래스 및 포럼 등에 초청되어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며 아티스트로서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플루티스트 이현주는 2013년부터 시작된 기획독주회 Chronicle Series를 통하여 “새로움에 대한 배움과 익숙함에 대한 즐거움”이란 모토아래 음악사적 유의미한 주제 및 다양한 시대의 작곡가들의 작품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연구 및 소개해 오고 있다. 또한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일상속 음악용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노벨문학상' 등을 주제로 한 서양음악사강의를 Kmooc, KOCW 대학공개강의서비스를 통해 진행 중이다. 현재, 국립군산대학교 음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Bassoon / 피터 콜케이 Peter Kolkay
- Eastman School of Music 석사, Yale University 박사
- 워싱턴 포스트 “superb” , 뉴욕타임즈 “stunningly virtuosic” 아티스트
- 미국 에버리 피셔 커리어 그랜트 수상 Avery Fisher Career Grant
- 미국 그래미어워드 수상 작곡가 Joan Tower를 비롯한 Mark-Anthony Turnage, Tania León, and Michael Torke등 현대 작곡가 작품 위촉및 녹음
- IRIS Orchestra, St. Paul Chamber Orchestra, Music@Menlo, Bridgehampton summer festivals, Emerald City, Camerata Pacifica, and Mostly Music series등 다수의 앙상블및 페스티발 초청연주
- 현) Vanderbilt University, Blair School of Music 교수, 미국 뉴욕 링컨센터 아티스트 Artist of the Chamber Music Society of Lincoln Center
Percussion / 정지혜
- 예원학교, 서울예고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입학 후 1년 뒤 도미
- 존스홉킨스대학교 피바디 음악원 학사 및 석사,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석사, 커티스 음악원, 라이스 음대, 베이징 중앙음악원, 노프스키 음악원 석사 졸업
- 2006년 린츠 국제 마림바 콩쿨, 2007년 예일 고든 콘체르토 콩쿨 1등
- 케빈 푸츠, 엠마 오할로란, 안니카 스콜로프스키, 보라 윤, 몰리 헤론, 크리스토퍼 테오파니디스,
알레한드로 비냐오, 루카스 리게티, 폴 란스키, 제이슨 트뢰팅, 존 세리 등의 작품 의뢰 및 초연
- 10년 이상 Camerata Pacifica에서 주요 타악기 연주자로 활동
- Bright Sheng, David Bruce, Lera Auerbach, Huang Ruo의 작품 데뷔
- 아일랜드 Westport Festival of Chamber Music, 포르투갈 Tomarimbando Festival, 남아프리카 New Music Indaba, 홍콩 The Prominity of Creative, 그랜드 테톤 뮤직페스티벌, 독일 Schleswig-Holstein Festival, 이탈리아 Cortona Sessions for New Music, 네덜란드 Grachtenfestival, 핀란드 헬싱키 Ligeti Symposium 등 독주회
- 현) TN 내슈빌 밴더빌트 대학교 블레어 음악대학 타악기 부교수
Piano / 박미정
- 예원학교 졸업, 서울예고 재학 중 도헝
- 헝가리 부다페스트 리스트 국립음대 최우수 졸업(Artist Diplom, Teaching Diplom)
-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 최고 연주자 과정 최우수 졸업
- 헝가리 부다페스트 Liszt 국제 콩쿠르, 폴란드 브로클라우 Liszt 국제 피아노 콩쿠르, 헝가리 Pécs Liszt Ferenc 국제 피아노 콩쿠르, Grieg 국제 콩쿠르 1위등 수많은 국제 콩쿠르 입상
-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 강사 역임
- 이화여대 초빙 교수 역임
- 현) 이화여대, 추계예대, 숙명여대, 예원, 서울예고 출강 및 창작문화단체 Zenesz 대표
관람석 총 354석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262석
2층 92석
이현주 플루트 독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