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따뜻한 친구, 피아니스트 황보 영을 추모하며 최재원 바이올린 독주회
※ 본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입니다.
티켓 수령 및 객석 입장 시 관람 연령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 확인이 가능한 증빙서류(의료보험증, 여권, 주민등록등본 등) 확인을 요청 드릴 수 있습니다.
※ 관람 등급 및 연령에 부합하지 않는 관객은 티켓 유무, 보호자 동반 여부와 상관없이 객석 입장이 제한되며, 이로 인한 공연 당일 예매 취소,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재원 바이올린 독주회
Jae Won Choi Violin Recital
우리들의 따뜻한 친구, 피아니스트 황보 영을 추모하며
2025. 9. 10 (수)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주최 / 지클레프
주관 / 업타운캠머러스
입장권 / 일반석 2만원(학생할인 50%, 대학생까지)
티켓예매 / 예술의전당, NOL 티켓, YES24
공연문의 / 지클레프 02-515-5123
Profile
Violinist 최재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모두 실기 수석 입학, 졸업한 바이올리니스트 최재원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석사,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원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고,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에서 윤경희 교수를 지도교수로 ‘Astor Piazzolla(편곡 Desyatnikov)의 Las Cuatro Estaciones Portenas 연구’에 대한 논문과 함께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대학원에서 박인욱의 사사로 관현악지휘 전공으로 석사를 졸업하였다.
일찍이 만 10살의 나이에 서울시향(지휘/박은성)과 오디션을 통해 협연 데뷔 연주를 열고 KBS FM Young Artist Concert Series에 소개되었던 최재원은 원주시향(지휘/임헌정), 수원시향(지휘/금난새), 부천시향(지휘/시드니 허스), 강남심포니(지휘/서현석), 강릉시향,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구, 서울 바로크 합주단), 서울대학교 스트링 오케스트라(지휘/김지훈), 서울대학교 동문 오케스트라(지휘/정치용), Juilliard Symphony Orchestra, KBS 교향악단(지휘/최승한), 세종 솔로이스츠, 서울 로얄 심포니 오케스트라(지휘/이종기), 뉴욕 코리안 심포니(지휘/신경흠), 서울 아카데미 심포니(지휘/임원식), 뉴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지휘/김 봉), 쏠리스트 앙상블(지휘/신경욱), 예원 오케스트라(지휘/임원식), 서울예고 오케스트라(지휘/유봉헌), 서울예고 특별연주회(지휘/유영재), 금천 교향악단(지휘/최혁재), 중국 대련 심포니 오케스트라, 세종 챔버 앙상블(지휘/박인욱), 세종대 교수오케스트라(지휘/박인욱), 세종대 스트링 오케스트라(지휘/문진탁), 목포시향(지휘/정헌)등과 협연하였다.
또한, 도로시 딜레이, 자카르 브론, 펠릭스 아요, 이고르 오짐, 제임스 버즈웰, 아이작 스턴, 김영욱 등에게 마스터 클래스를 받은 그녀는 월간 음악 콩쿨 1위, 이화경향 콩쿨 1위, 한국일보 콩쿨 대상, 세계일보 콩쿨 대상, 중앙일보 콩쿨 3위, 서울대학교 음악 콩쿨 1위, 동아일보 콩쿨 3위, KBS 신인 음악 콩쿨 은상 등과 같이 국내의 유수 콩쿨을 석권하였으며 예원의 ‘연호예술상’, ‘학교를 빛낸 이’와 서울예고의 ‘음악상’을 수상하였고, 실내악에도 관심이 많아 청소년 실내악 콩쿨 대상을 시작으로 금호 청소년 아티스트 시리즈 오디션, LG 아트센터 개관 기념 오디션, 일본 미야자키 뮤직 페스티벌 오디션, 미국 뉴욕 카네기홀 아이작 스턴 챔버뮤직 워크샵 등에서 우승하며 보자르 트리오, 줄리어드 스트링 콰르텟, 아이작 스턴, 마이클 트리, 마사오 가와사키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을 사사하였다.
유학 시절 동안 세종 솔로이스츠의 단원으로 조슈아 벨, 초량 린, 길 샤함, 지안 왕, 리차드 용재 오닐, 프랑크 황, 폴 황 등과 함께 영국의 위그모어 홀, 중국, 프랑스, 미국 전국 등지에서 연주한 그녀는 줄리어드 재학 당시, 로버트 맥도날드, 이작 펄만에게 실내악 사사를 받고 줄리어드 갈라 콘서트와 동 대학 플룻 교수인 캐롤 윈센스와 Saidenberg Faculty Recital Series 콘서트에서 학생 아티스트로 초청되어 다양한 실내악 연주를 하였으며, 그 연주가 NPR 방송으로 전파를 타기도 했었다.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에서는 아니 카바피안, 카츄히데 이소무라, 보리스 벌만, 클라우드 프랑크에게 실내악 사사를 받았으며 뉴욕 카네기홀, 링컨센터, 워싱턴 디씨의 케네디 센터 등지에서 연주하였다.
2010년 귀국한 후에도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녀는 그 해에 한국 국제 교류 재단에서 주최하는 특별 음악회, 세종 체임버홀의 쳄버 페스티벌에서 피아니스트 플라메나 망고바, 비올리스트 홍웨이 황, 첼리스트 백나영과 다양한 실내악을 연주하였으며, 서울 국제 음악제에서 피아니스트 박종화, 바이올리니스트 제랄드 뿔레, 클라리네티스트 미셸 레티엑, 그리고 첼리스트 리-웨이와 함께 연주하였다. 강릉시민을 위한 연주회에 초청되어 자매인 첼리스트 최정은, 피아니스트 민경식과 피아노 트리오를 연주하였고 소규모 실내악 앙상블인 ‘나눔’, ‘업타운 컴머레스’, 그리고 ‘로제리 스트링 트리오’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왕성한 연주 활동과 교육 활동을 하고 있으며, Bowdoin Music Festival, 금호 아티스트 독주회, Aspen Music Festival, 일본의 ‘미야자키 음악제’ 10주년을 맞이하여 초청 독주를 가졌다. 또한 대관령 국제 음악제에서 Rising Star Series와 2008년 뉴욕 Samsung Experience Hall에서 Spring Concert Series, 2011년 일신홀 초청 독주회, 2013년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의 독주회에서 피아니스트 유영욱과 호흡을 맞추었다. 2014년에는 피아니스트 박은식과 독주회를 가졌으며, 2016년에는 피아니스트 지석영과 피아노 바이올린 듀오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하여 이천 아트홀과 설악문화센터,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등에서 독주회, 2017년에는 영국에서 활동 중인 그레이스 여와 독주회, 2018년에는 '나디아 블랑제'라는 테마로 조혜정과 독주회, 2019년에는 그리그의 바이올린 전곡 소나타 시리즈, [그래서, 그리그], 그리고 매해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황보영과 독주회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 밖에도 예술의전당, 세종 체임버홀, 금호아트홀, 유중아트센터, 세라믹팔레스홀, 고양아람누리, 마리아 칼라스홀, 제주대학교 아라뮤즈홀, 제주 NLCS 뮤직 페스티벌, 인천 엘림 아트센터, 영산양재홀, 박창수의 하우스 콘서트, 삼성 서초 사옥, KT챔버홀, 장천아트홀, 평촌아트홀, 영국대사관, 미국대사관, 한미 친선음악회, 최인아 책방, 닥터만 금요 음악회, 프라움악기박물관, 송강음악회, 대구 사이버 대학교 주최의 ‘인문학을 만나다’, 영국의 St. Martin in the fields의 오디션에 발탁되어 초청연주를 가지는 등 다양한 실내악 연주와 독주회, 해설 음악회, 제주도 건반협회의 캠프와 마스터 클래스, 대구 사이버 대학교의 인문학 강연 중 음악 부문을 맡아 여러 가지 활동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1년부터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루마니아, 벨기에, 이태리, 러시아, 브라질, 중국, 폴란드 등지에서도 연주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0년과 2011년에는 세종 솔로이스츠의 청소년 실내악 교육 일환으로 만들어진 ‘비발디 앙상블’에서 리더를 맡으며 앙상블을 지도하고 연주하였다. 그 밖에도 2016년~17년에는 지휘자 임헌정과 세종 체임버홀에서 만든 프로젝트 오케스트라인 세종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초청되었고, 부천시향, 충남시향, 과천시향, 인천시향, 포항시향, 강남심포니, 이화필하모니, 춘천시향, 양주시향, 원주시향의 객원 악장으로도 활동한 그녀는 후학 양성을 위해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서경대학교 특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한 후, 현재는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며 코리아챔버오케스트라(KCO) 단원, 사회적 예술가 포럼인 SEM(socially engaged musicians) Network의 일원으로 활동 중이고 업타운 캠머러스 아카데미부를 개설하여 한국 전통문화보존에 대한 교육과 기부를 시작하여 사회참여적 음악가로서의 활로를 개척해 나가고 있다.
또한, 서울예술고등학교 관현악오케스라 부지휘자로 활동하였고 현재 세종대학교 교수오케스트라 지휘자이다.
Pianist 강자연
피아니스트 강자연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미국 피바디 음대에서 석사학위를, 이후 영국 길드홀 음악원에서 반주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마쳤다. 길드홀 재학 시 위그모어-길드홀 연주 시리즈에 소개되었고,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pre-concert에서 다수 연주했다. City of London Festival, Oxford Lieder Festival의 초청을 받아 연주했고, 프랑스 니스 국제 음악축제 반주자 및 런던 National Opera Studio의 Repetiteur를 역임했다. Douglas-Broersma-Kang Piano Trio로 바비칸 센터에서 데뷔하였고, International Musicians Seminar in Prucia Cove의 초청을 받아 연주했다. 2019년 미국 몬테치토 음악 축제에 반주과 Faculty로 참여하여 바이올리니스트 초량린과 연주했다. 2022 서울국제콩쿠르의 공식반주자로 활동했고, 2025 독일 Markneukirchen 국제콩쿠르의 공식반주자로 참여 예정이다. 숙명여대 반주과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해설 김인하
·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 음악대학 학사 졸업, 독일 뒤셀도르프 국립음대 디플롬 졸업
· 영국 북부왕립음악원 포스트디플롬 졸업, 미국 인디애나 음대 석사, 연주자과정 졸업
· IU Dean’s Merit Scholarship, 야노스 스타커 파운데이션 Eva Heinitz 실기우수 장학생
· 선전 교향악단 단원, 선전 필하모닉 수석 역임
· 현재 : 연세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대 영재교육원, 서울교대 평생교육원 출강, 솔리스앙상블대표, 앙상블클랑, 앙상블가우디움 멤버
Program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21 in e minor, KV. 304
I. Allegro
II. Tempo di Menuetto
Antonín Dvořák (1841-1904)
4 Romantic Pieces for Violin and Piano, Op. 75
I. Allegro moderato
II. Allegro maestoso
III. Allegro appassionato
IV. Larghetto
Intermission
Richard Strauss (1864-1949)
4 Lieder, Op. 27, TrV 170: 중 IV. Morgen! for Violin and Piano (arr. Jenó Hubay von Szalatnya)
Edvard Grieg (1843-1907)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2 in G Major, Op. 13
I. Lento doloroso - Allegro vivace
II. Allegretto tranquillo
III. Allegro animato
관람석 총 354석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262석
2층 92석
최재원 바이올린 독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