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무지크서울의 제25회 정기연주회에서는 비올라 다 감바(Viola da Gamba)의 협주곡을 중심으로 한 특별한 무대를 선보입니다.
바로크 시대를 풍미했던 비올라 다 감바는 솔로 악기로, 또한 바소 콘티누오의 역할로 활약했던 다재다능한 악기입니다. 오늘날에는 흔히 첼로가 이를 대체하는 악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은 악기 고유의 섬세하고 풍부한 음색, 그리고 화려한 기교를 그들의 작품 속에 담아냈습니다.
비올라 다 감바의 황금기가 저물 무렵, 작곡가들은 콘체르토 양식을 통해 이 악기가 첼로 못지않은 미래를 이어가길 꿈꾸었습니다. 알테무지크서울은 이처럼 감바의 정수와 그 시대의 음악적 이상이 담긴 작품들을 현대의 무대 위에 되살려, 관객 여러분께 당시의 감동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 - 비올라 다 감바와 현악기를 위한 모음곡 D 장조
Philipp Telemann (1681-1767)Overture-Suite for Viola da Gamba, Strings & B.C. in D Major TWV 55:D6
요한 파이퍼 -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한 협주곡 A 장조
Johann Pfeiffer (1697-1761) Concerto in A major for Viola da gamba, Strings & B.C. in A Major
칼 프리드리히 아벨 –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한 무반주 모음곡 D 단조
Carl Friedrich Abel (1723-1787) Suite for Viola da Gamba in D minor
요한 고틀리프 그라운 -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한 협주곡 G 장조
Johann Gottlieb Graun (1703-1771) Concerto for Viola da Gamba and Strings & B.C. in G Major, GraunWV Av:XIII:36
알테무지크서울 (음악감독 : 강효정)
“옛 음악”이라는 뜻의 독일어인 “알테무지크”는 르네상스부터 바로크 시대의 음악을 뜻하며 “알테무지크 서울”은 옛 음악을 사랑하는 연주자들의 모임이다. 그 시대의 음악을 당대의 음악 언어로 되살림과 동시에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현재에 어우러질 수 있는 연주법과 작품을 연구하고 발굴하기 위해 2009년 창단되었다. 창단 이후 서울문화재단, 강원문화재단의 후원 연주회, 예술의전당 여름실내악축제, 춘천 국제古음악축제, 세종문화회관 천원의 행복 시리즈, 대구 수성아트피아 초청연주, 성남아트센터 송년음악회 등에서 뛰어난 연주력, 생동감 있고 유익한 해설이 함께 하는 음악회로 바로크 음악의 진수를 선보이고 있다.
2019년 창단 10주년을 맞으며 국내 최초로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전곡을 시대악기로 전하며 바로크 음악의 새로운 정의를 세웠고, 옛 음악의 언어와 연주 관습을 철저히 연구하는 동시에 현대적 해석을 잃지 않는 균형 잡힌 시각을 통해 새로운 진화를 꾀하였다.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는 현 시대에 옛 것과 새 것의 조화와 균형 안에서 청중과 함께 옛 음악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을 나누고자 한다.
2022년 (재)은평문화재단의 상주단체로 출발하여 음악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을 나누며, 은은하고 평화로운 음악이 흐르는, 문화로 충만한 도시를 만드는데 동행하고 있다
음악감독 & 비올라 다 감바 – 강효정
바로크 바이올린 – 김은식, 김상하
바로크 비올라 – 안지원
바로크 첼로 – 이유민
바로크 베이스 – 박연희
쳄발로 - 이승민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알테무지크서울 제25회 정기연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