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소리의 스펙트럼: 대립과 다양성을 품다 이재문 작품발표회

이재문 작품발표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연주 순서 및 작품해설]


1부

1. 바리톤과 피아노를 위한 줄탁 (2007-08 rev.2023)

Jul-Tak for baritone and piano 

이 작품은 시인 김지하의 시 <줄탁>을 토대로 작곡되었다. ‘줄탁’은 중국 송나라 때 서적인 <벽암록>에 나오는 ‘줄탁동기’의 줄임 말이다. ‘줄’은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알껍질을 깨기 위해 쪼는 것을 가리킨다. 어미 닭은 밖에서 알을 쪼아 새끼를 도와주는데, ‘탁’은 어미 닭이 알을 쪼는 것을 뜻한다. 알껍질을 깨려는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려는 수행자 혹은 탐구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곡에서는 ‘줄’과 ‘탁’의 장면이 시적으로 묘사되었고, 이상세계를 향한 초월과 탐구의 의지를 작품에 담고자 하였다. (이재문)


2. 피아노를 위한 달빛 아래 환상 (2024)

Fantasy Under the Moonlight for piano

<달빛 아래 환상>은 현대음악 언어로 밤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그려낸 작품이다. 제목이 암시하듯, 달빛 아래에서 펼쳐지는 환상적인 이야기를 음표 하나하나에 담아냈다. 이 음악을 통해 청중이 각자 상상하는 ‘달빛 아래의 음악적 여정’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재문)


3. 현악사중주 4번 – 꿈의 단편 (2023)

String Quartet no.4 – Fragments of Dream 

이 곡은 나의 네 번째 현악사중주 작품으로 “꿈의 단편들(Fragments of Dream)”을 소제목으로 한다. 작품에는 다양한 꿈의 이미지가 묘사되는데 여기서 꿈은 차창룡 시인의 시 <윌리엄 허셜의 꿈 또는 나의 꿈>에서 영감을 얻어 형상화되었다. 시가 담고 있는 ‘머나먼 어느 별과 꿈’의 이미지를 소리를 통해 묘사하고자 하였고, 내가 직관적으로, 찰나에 느낀 시의 이미지를 파편적 구성으로 완성하였다. 이 곡은 크게는 세 개의 대조적인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 부분은 여러 단편들로 완성된다. 각양각색의 단편들이 마치 미술의 콜라주 형식으로 구조되었고 다양한 꿈의 이미지가 이어서 나타난다. (이재문)


4. 현악사중주 2번 – 천국과 지옥의 결혼 (2012/17)

String Quartet No. 2 -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 

이 곡은 영국의 시인이자 화가인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1757-1827)의 시집 (1790)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되었다. 그 제목처럼 이 곡에서는 두 개의 대조적 형상이 나타난다. 선율, 리듬, 화성, 음색은 ‘점과 선’, ‘흑과 백’ 등의 대조적인 심상으로 구조되었다. 또한 블레이크의 시집에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인 상반된 것들 사이의 ‘모호함’은 이 곡의 전개 방식에 있어 중요하다. 각 음악요소에 나타나는 대조적 개념의 경계는 곡이 진행하며 점차적으로 허물어지고 모호해진다. 이 작품에서는 다양한 현대기악주법이 사용되었고, 현악기의 다채로운 음색이 탐구되었다. (이재문)




2부

5. 앙상블을 위한 미술관 – 4개의 단편 (2009/2023-2024)

Art Gallery – Four Pieces for ensemble

I. “Renegade Delirium” 

II. “Beleza Pura” 

III. “Mark Rothko” 

IV. “The Fall of the Rebel Angels” 


I. “이탈자의 환상” (Renegade Delirium) 

이 음악은 현대미술가 줄리 메레투(Julie Mehretu, 1970~, 에티오피아, 미국)의 작품 (2002)에서 영감을 받아 완성되었다. 그녀의 도시공학 탐구에 기반한 추상적 스타일과 정치·사회적 주제는 이 곡의 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본 곡은 역동적인 표현과 다양한 구성 속에서 복잡성을 탐구한다. 또한 다채로운 색채와 극적 구성을 통해 힘과 긴장감이 교차하며 관객에게 에너지 넘치는 음향을 전달하는데, 이러한 특성은 현대 도시 및 정치·사회적 공간에서 벌어지는 힘의 역학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이재문)


II. “진정한 아름다움” (Beleza Pura)

현대미술가 베아트리츠 밀라제스(Beatriz Milhazes, 1960~, 브라질)의 작품 (2006)에 나타난 다채로운 색감과 기하학적 패턴 그리고 그로부터 발산되는 생동감에 영감을 받아 이 곡을 작곡하였다. 내 작품에서 사용된 다층적 구조와 현대적 음악언어는 음색의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긴장감을 형성하고 음악에 다채로운 색채를 부여함으로써 청중의 몰입을 유도한다. 특히 빠른 전개와 극적인 형식은 음악적 활력과 에너지를 드러낸다. 이 곡은 현대 사회의 다양성, 끊이지 않는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긴장감을 음악적으로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재문)


III.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현대미술 작가 마크 로스코(1903~, 라트비아, 미국)의 작품은 이 음악의 창작에 중요한 영감을 제공했다. 로스코의 작업이 단순한 구조 속에서 고요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처럼, 이 음악 또한 간결한 형식으로 깊이 있는 내면적 경험을 유도한다. 청중이 음악을 통해 자신만의 내면을 탐색하고 각자의 감정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재문)


IV. “타락천사의 추락” (The Fall of the Rebel Angels) 

이 작품은 피터 브뤼겔 더 엘더(Pieter Bruegel the Elder, 1525~1569, 네덜란드)의 (1562)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다. 이 그림은 선과 악의 격렬한 전투를 묘사하며 악의 존재들이 하늘에서 땅으로 추락하는 장면을 무질서한 구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곡에서는 이러한 장면을 다층적이고 현대적인 음악언어로 역동적으로 재현하며, 풍부한 형식적 요소를 통해 드라마틱한 긴장감을 형성한다. 이 곡은 다양성과 대조의 개념을 다각적으로 작곡에 반영하여 음악적 표현의 깊이를 확장하고 있다. (이재문)


[아티스트 프로필]


작곡가 이재문

작곡가 이재문은 중앙대학교에서 작곡전공 학사학위(BA)를 받았다. 이후 도영 장학금을 받아 노던왕립음악원에서 석사학위(MMus)와 왕립버밍엄음악원에서 디플로마(PgDip)를 최우수 졸업(distinction)으로 마쳤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는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이재문은 다양한 편성의 곡들로 여러 콩쿠르 및 음악제에서 작곡상을 받았다. 스페인 소피아 왕비 국제작곡상 동양인 최초 1위, 로마 발렌티노 부끼 작곡상 1위, 싱 윤 국제작곡콩쿠르 1위, 뉴욕 앙상블 Ipse 작곡콩쿠르 1위, 맨체스터 국제작곡상, 왕립음악대학 금메달, 파트리샤 컨리프 작곡상, 동아음악콩쿠르 1위없는 2위, 서울음악제 관현악, 실내악, 가곡 부문 작곡상 등을 수상했다.


이재문의 작품은 세계 여러 나라 음악제에서 다양한 연주단체에 의해 발표되었다.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주최 세계현대음악제, 올드버러 뮤직 페스티벌, 세계현대음악포럼, 브리튼-페어스 작곡가 프로그램, 런던 대영박물관 음악회 등에서 그의 작품이 연주되었다. 그의 음악은 런던 심포니(파누프닉 프로젝트), 스페인 방송국 오케스트라, 본머스 심포니, 카잘스 앙상블 등의 연주로 발표되었다. 이재문은 현대음악뿐만 아니라 런던과 바스에서 공연한 연극 의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Arko 창작관현악축제, 대구국제현대음악제, 화음프로젝트, 조선일보 신인음악회 등에서 강남심포니, 앙상블 소리, TIMF 등이 그의 작품을 연주했다. 


이재문의 창작 활동은 여러 기관의 후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영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으로 노팅엄에서 개인 작품발표회를 가졌고, 영국에서의 학업과 활동은 Zochonis, Waverley, Sir Richard Stapley, Helen Hamlyn Trust, William Barclay Squire Fund 등의 재단 후원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국제교류지원 예술가(2009, 2012, 2013, 2014, 2020년)로 선정되어 국외 활동을 지원받았으며,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세종문화회관 작곡발표회 및 ‘더 하우스 콘서트’ 주최 개인 작품발표회를 가졌다.


이재문은 2018년 귀국하여 앙상블 텐텐의 예술감독과 서울시향 '교과서 영상화 사업'의 음악을 맡는 등 한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음악학부장 및 작곡전공 부교수를 맡아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영국 노던왕립음악원의 Associate Artist Member이다.



네오퀄텟(NeoQuartet) 

네오퀄텟은 2012년 폴란드 단스크에서 창단되었으며, 카롤리나 피아트코브스카-노비카(제1바이올린), 파벨 카피카(제2바이올린), 미하우 마르키에비츠(비올라) 그리고 크시슈토프 파블로프스키(첼로)로 구성된 현대음악 전문 연주단체이다. 네오는 유럽에서 가장 흥미롭고 활발히 활동하는 현대음악 앙상블 중 하나로, 저명한 포메라니아 예술상(Pomeranian Artistic Award)을 수상하였다. 2017년부터 전자 미디 악기를 도입하여 현대적 음악 실험을 시도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그들의 첫 자작곡 앨범 를 발매하였다. 네오퀄텟은 2012년부터 전 세계 26개국에서 500회 이상의 공연을 펼쳤으며, 카네기 홀과 베이징 Forbidden City 콘서트홀 등 세계 여러 저명한 홀에서 연주한 바 있다. 폴란드 단스크에서는 창단이래 ‘NeoArte Synthesizer of Arts Festival’을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제1바이올린 카롤리나 피아트코브스카-노비카(Karolina Piatkowska-Nowicka)

- 현재 네오퀄텟 리더 및 폴란드 단스크 음악 아카데미 교수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국제 현대음악 콩쿠르 1위 및 피렌체 V. Gui 국제 실내악 콩쿠르 특별상 수상

- 폴란드 전국 바이올린 및 비올라 콩쿠르 입상, 단스크 실내악 콩쿠르 및 브로츠와프 실내악 콩쿠르 1위, 그라지나 바체비치 실내악 콩쿠르 및 바흐 콩쿠르 2위 입상

- 폴란드,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스웨덴, 에스토니아, 이탈리아, 중국, 싱가포르 등지에서 다수의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회 개최

- 폴란드 문화부, 로타리 클럽, 단스크 시장, 소포트 시장 장학금 수상


제2바이올린 파벨 카피카(Pawel Kapica) 

- 네오퀄텟 제2바이올린

- 바르샤바 쇼팽 음악 아카데미 졸업

- 타데우시 가지나, 세바스찬 하만 등을 사사

-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소포트 폴란드 실내악 오케스트라 악장 및 솔리스트로 활동

- 카네기홀 등 세계의 여러 저명한 공연장에서 다수의 공연 활동


비올라 미하우 마르키에비츠(Michal Markiewicz)

- 네오퀄텟 비올라

- 스위스 루체른 음악대학, 폴란드 단스크 스탄이슬라프 모니우슈코 음악 아카데미 졸업

- 크리스티나 유레츠카, 카렌 오프게노르트, 마리나 자슈빌리, 스테판 카마사, 이반 클란스키, 줄리아노 카르미뇰라, 세바스찬 하만 사사

- 폴란드 발트 필하모닉 단원 


첼로 크시슈토프 파블로프스키(Krzysztof Pawlowski)

- 네오퀄텟 첼로

- 스타니슬라프 모니우슈코 음악 아카데미 졸업

- 로만 수체키, 로만 야블론스키, 토마시 스트라흘, 스테판 포포프, 독일 바이올리니스트 세바스티안 하만 사사

- 폴란드 발틱 필하모닉 단원


바이올린 세바스티안 뮬러(Sebastian Müller)

- "Bundeswettbewerb Jugend Musiziert", "Ivan Sutton 실내악 콩쿠르", "Südwestdeutscher 실내악 콩쿠르"에서 수상 

- 카네기 홀을 비롯한 세계 주요 공연장에서 연주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브리튼 신포니아, 옥스퍼드 필하모닉, 요크셔 심포니, 아순시온 국립 오케스트라, 리즈 심포니, 독일 국립 현악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 및 독일 국립 현악 오케스트라 등 여러 오케스트라에서 수석 연주자 및 솔리스트로 활동

- 하노버 국립음대, 길드홀 음악연극학교, 왕립 버밍엄 음악원, 리즈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

- 현재 비엔나 국립음대, 런던 예후디 메뉴인 학교, 왕립 북부 음악대학에서 바이올린 전공 교수 및 스페인의 고등 음악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




바이올린 문지원

- 서울대학교 졸업, 독일 라이프치히 국립음대 티칭 어시스턴트, 디플롬, 마스터, 마이스터엑자멘 졸업

- 뮌헨필하모닉 챔버오케스트라, NBCM 라이프치히, 타우리다 심포니 오케스트라, 인천시립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협연

- BBC 프롬스, 잘츠부르크 페스트슈필, 뮤직아일랜드 페스티벌, 홀란드 뮤직 세션, 이태리 Sermoneta 뮤직 페스티벌, 스페인 Fiampse 뮤직 페스티벌, 독일 Wagner 축제, 홀란드 뮤직 세션, 슈만하우스, 멘델스존하우스 초청연주

- 게반트하우스오케스트라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단원 역임

- 앙상블텐텐 음악감독, 서울모던앙상블 멤버

- 현)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중•고 출강


비올라 유리슬

-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바이올린) 재학중 도독

- 베를린한스아이슬러음악대학 수석입학(바이올린) 수료  라이프치히음악대학 수석입학 학사, 석사, 최고연주자과정 (비올라) 졸업 

- 독일게반트하우스오케스트라, 독일 mdr 방송국오케스트라, 독일 막데부르크 오케스트라 단원, 게반트하우스 NBCM 고음악 단원, 예술의전당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수석, 경기필, 대관령국제음악제 객원 부수석 역임

- 현재 국민대 겸임교수, 선화예술고등학교 출강중,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고잉홈 정단원, 앙상블 텐텐 객원 단원, 앙상블토니카 단원


더블베이스 서영일 

- 베를린 한스아이슬러 음대 석사 졸업

-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아카데미 단원 역임

- 베를린 도이치 오퍼 계약단원 역임

- 동아콩쿨 1위, 체코 브르노 국제콩쿨 3위

- 대전시향, 부산시향, 성남시향, 광주시향, 한경필 객원수석 역임 

- 중앙대, 충남대 강사 역임

- 현) KCO단원, 숙명여대, 서울예고 강사


플루트 왕명호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사 

- 독일 트로씽엔 국립음대 석사 

- 가천대학교 관현악 지휘 석사  

- 아트실비아 실내악 오디션 대상 

- 서울 스프링실내악 실내악 초청 연주 

- 제주 국제 관악제 초청 연주 

-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상임단원 


오보에 강다해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 졸업

- 다수의 마스터클래스, 콩쿨 입상

- 2018 7회 Artsylvia Chamber Music Audition 우숭

- 2018 서울 스프링 실내악축제 참가(목관5중주)

- 2018 서울국제음악제 신진연주자 발굴오디션 합격(목관5중주)

- 2020-2021 일신문화재단 기획공연 오디션 합격

- 과천시립교향악단 수석 역임

- 예술의전당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

- 현) 수원시립교향악단 부수석, 블래져 목관 앙상블 단원


클라리넷 장종선

- 뮌헨 국립음대 학, 석사,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오스트리아 모짜르테움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수료

- 선화예술학교, 강원대학교 출강 

- légère 아티스트, 우에벨 아티스트


바순 윤석희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사 및 예술전문사 졸업

- 예술의전당 페스티발 오케스트라 및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역임

- 동아음악콩쿠르 입상

- Artsylvia Chamber Music Audition 대상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예술교육원 출강

- 현) 인천시립교향악단 부수석, 블래져 앙상블 단원, 인천여중, 세종대, 경희대 출강


트럼펫 양현호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졸업

- Hochschule für Musik Würzburg 석사 졸업

- 한양대학교,인천시립교향악단 협연

- Mainfrankem Theather Würzburg 객원수석 연주

- 예술의전당 다수 독주회

- 평창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

- 현재 인천시립교향악단 수석


호른 김병훈

- 연세대학교 학사 졸업

-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 석사 졸업

-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 독일 Norddeutsche Philharmonie Rostock 종신수석 역임

- 2018 제28회 음악저널 신인음악상 수상

- 현재 서울시립교향악단 단원,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피아노 박진우

- 예원, 서울예고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조기졸업

- 독일 데트몰트음대 KA과정 졸업, 독일 하노버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서울예고를 빛낸 음악인’상 수상, 중앙음악콩쿨1위, 난파콩쿨대상, Pietro Argento 

   국제콩쿨 대상

- KBS교향악단,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KCO 등과 협연

- 현, 중앙대학교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부교수


피아노 송영민

- 만 13세 도러,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영재 음악학교 졸업후 도독,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학석사 졸업, 라이프치히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대전시향, 전주시향, 인천시향, 강릉시향, 목포시향, 강남심포니, kt 심포니, 프라임필하모닉, 부산솔로이스츠 등과 협연

- 현재 최인아책방, 안산문화재단, 성동문화재단, 강북문화재단, 양산 쌍벽루아트홀, 부산 신세계 문화홀, 클래식고택 음악•예술 감독, 군포문화재단 마티네콘서트, 삼척문화예술회관 클래식 도서관 진행


바리톤 정승기

-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독일 칼스루에 음악대학 석사 졸업

- 동아 음악 콩쿠르 1위, 대한민국 인재상 대통령상

- 노르웨이 퀸소냐 국제 음악콩쿠르, 프랑스 툴루즈 국제콩쿠르, 스페인 빌바오 국제콩쿠르, 이탈리아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 콩쿠르등 우승

- 국립오페라단 및 정상급 유럽 오페라하우스에서 40여편의 오페라 500여회 주역 출연

- 독일 칼스루에 국립극장 전속주역가수 역임

- 현재 중앙대학교 음악학부 교수


지휘 정헌

-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악예술대학교 관현악지휘과 학사, 석사 졸업

- 서울시향, 대구시향, 대전시향, 부산시향, 인천시향, 경기필하모닉, 청주시향, 전주시향, 포항시향, 군포 프라임 필, 남서독일 필하모니 콘스탄츠, 이스라엘 챔버, 영국 북왕립음악원 오케스트라, 체코 흐라덱 크랄로베 필, 스페인 아라곤 왕립, 헝가리 사바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을 지휘

- 국립오페라단 <마술피리>, TIMF앙상블 <피노키오의 모험>,  <발레메카닉> 등 오페라 및 무용, 음악극을 지휘

- 목포시향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역임

- Schallfeld Ensemble, 앙상블 소리, Eins, TIMF, 서울모던, DCMF, AYAF 등 현대음악단체 객원지휘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50% (5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30% (5매), 그린회원 3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노블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예술인패스카드 소지자 30% 2매 (본인명의 예술인패스카드 현장 제시)
- 학생할인(초 · 중 ·고등학생) 50% 1매 ( 본인만/ 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제시 )
- 대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현장 제시, 대학원생 제외)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2매 (티켓 수령 시 본인명의의 문화누리카드 제시, 본인 및 동반 1인까지)

관람석 총 354석

  • 일반 판매석350석
  • 휠체어석4석

리사이틀홀명료한 음향을 자랑하는 리사이틀홀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사이틀홀 1층 좌석도 1층2열2번 1층2열9번 1층2열17번 1층6열2번 1층6열9번 1층6열17번 1층11열2번 1층11열9번 1층11열17번 1층오른쪽사이드10번 1층오른쪽사이드18번 1층오른쪽사이드22번 1층오른쪽사이드장애인석2번 1층왼쪽사이드2번 1층왼쪽사이드10번 1층왼쪽사이드16번 1층왼쪽사이드22번 2층뒷줄1열2번 2층뒷줄1열10번 2층뒷줄1열19번 2층뒷줄3열5번 2층뒷줄3열18번 2층오른쪽사이드2번 2층오른쪽사이드10번 2층오른쪽사이드16번 2층왼쪽사이드2번 2층왼쪽사이드10번 2층왼쪽사이드16번
  • 1층 262석

    • 일반석258석
    • 휠체어석4석
  • 2층 92석

    • 일반석92석

이재문 작품발표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21(수)
작품명 이재문 작품발표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