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2일 14시부터 관람가능합니다.
최 유 현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자수장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문화연구소 석좌교수 역임
자수문화연구소 중수원 원장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자수장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문화연구소 석좌교수 역임
자수문화연구소 중수원 원장
최유현은 우리 전통 자수 문화에 바탕을 두되 그 기반 위에
21세기의 새로운 자수 문화를 열어나가기 위해 열과 성을 다하고 있다.
또한 자수문화연구소 중수원에서 끊임없는 작품 활동을 하는 가운데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에서 석좌교수로 재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대표작으로는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연화장세계도〉를 비롯하여
〈팔상도〉, 〈삼세불〉, 〈팔금강〉,〈오계수호도〉 등의 불화 자수와
〈십이지신상〉,〈효제도팔곡병풍〉 등을 비롯한 전통 자수 300여 점이 있다.
------
우리 자수의 내일은 어떤 모습일까.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 했다.
자수장인의 오늘 모습에서 내일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그것은 수행하는 자세, 바로 ‘심선신침(心線神針)’의 세계다.
‘마음으로 선을 이어 신의 경지에 도달한다.’
이 얼마나 훌륭한 말인가.
심선 즉 마음의 선.
선가의 화두처럼 느껴지는 고수(高手)의 경지 같다.
하기야 신의 경지에 이르고 싶은데, 어찌 하수(下手)의 언저리에서 맴돌 수 있을까.
최유현 자수장은 고행 끝에 자신만의 ‘자수 왕국’을 건국했다고 믿어진다.
자수장은 <연화장(蓮華藏)세계도> 작품으로 제13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그 작품은 예천 용문사 소장의 불화로 모두 111종의 원들이 모여 있는 즉 돌고 도는 세계를 도해한 것이다.
일종의 만다라 형식의 불화이다.
작가는 이 불화를 10년 공 들여 자수 작품으로 완성했다.
곧 선승의 수행처럼 오랜 기간의 고행 기간과 섬세한 기술, 그리고 작가정신, 이러한 성심을 모아 대작을 완성했다.
바로 심선신침의 경지로 가는 길목에서의 한 징표가 아닐까 한다.
윤 범모_미술평론가,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흉배, 공주 (胸背, 公主)
흉배, 당상관무관 (胸背, 堂上官武官)
흉배, 정삼품문관 (胸背, 正三品文官)
흉배, 공작보 (胸背, 孔雀補)
흉배, 당상관문관 (胸背, 堂上官文官)
흉배, 당하관무관 (胸背, 堂下官武官)
춘경 (春景)
연화도 (蓮花圖)
원앙연화도 (鴛鴦蓮花圖)
화조도 (花鳥圖)
청둥오리
고궁설경 (古宮雪景)
가을감나무
도자기
화조도 (花鳥圖)
매
초설 (初雪)
초설 (初雪)
현무도 (玄武圖)
주작도 (朱雀圖)
청룡도 (靑龍圖)
장생도 (長生圖)
책가도 (冊架圖)
어룡도 (魚龍圖)
황룡도 (黃龍圖)
봉황도 (鳳凰圖)
본관 전체 3층 총 6개 전시실
1990년에 문을 연 한가람미술관은 조형예술 전시를 위한 최적의 공간이다.
2003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최신의 설비로 재탄생 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에 6개의 전시장과 수장고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채광에 가까운 광천정 시스템으로 편안한 관람 분위기를 조성한다. 매년 50여 건이 넘는 전시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고대문명을 소개하는 전시회부터 현대 미술까지 아우르고 있다. 예술의전당이 기획하여 주최한 주요 전시는
<반 아파르트헤이트전>, <유럽공동체신진작가전>, <칸딘스키와 아방가르드전>, <고대 이집트 문명전>,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전>, <램브란트판화전>, <밀레와 바르비종파 거장전>, <오르세미술관 한국특별전>,
<프랑스 국립 베르사이유 특별전>,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쿠사마 야요이전>, <페르난도 보테로전>, <니키 드 생팔전> 등이 있다.
심선신침 최유현 자수전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