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듀오 모아티에
김은혜와 한문경의 타악듀오 모아티에(Moitié)는 프랑스어로 절반을 의미한다. 공연으로 만든 수익의 절반을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을 위해 기부함으로써 나누고 베푸는 삶을 실천하려 한다. 현존하는 작곡가의 새로운 작품을 소개하는 데에 열정을 가진 그들은 꾸준히 위촉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바하, 스크리아빈, 피아졸라, 림스키-코르사코프와 같은 고전 작곡가의 작품도 타악듀오 버전으로 편곡/연주하고 있다. 2010년 금호아트홀에서의 첫 공연을 시작으로 일신홀,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등 다양한 공연장에서 매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0’ 금호아트홀 아름다운 목요일 ‘클래시컬 프론티어’ 시리즈 연주 (금호아트홀)
11’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초청 “Percussion and Electronic Music” 콘서트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12’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Salon Concert” (윤보선대통령 고택)
12' 모아티에 프로젝트 #1 타악기와 전자음악을 위한 콘서트 [Bound:合] (일신홀)
13' 모아티에 프로젝트 #2 두명의 피아니스츠와 퍼커셔니스츠가 만나다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14' 모아티에 프로젝트 #3 오푸스 비르투오소 시리즈 "타악듀오 모아티에 콘서트 #3"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14' 야마하 아티스트 서비스 주최 뉴콘서트시리즈 '디스커버뮤직' (야마하아티스트서비스 콘서트살롱)
14' 제66회 아트엠 콘서트 '두드림' (유중아트센터 3층갤러리)
1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크리스마스 이브 콘서트
15' 금호아트홀 아름다운목요일 '러시안시리즈' (금호아트홀)
16’ 강동아트센터 한밤의 클래식 산책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
16’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금요공감 최소리, 나나포르모사의 Attraction!’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16’ 모아티에 프로젝트 #5 ‘탱鼓 [북:고]’ (일신홀)
17’ 모아티에 프로젝트 #6 ‘HEXAD - 6인의 작곡가’ (일신홀)
17’ 작곡가협회 ACL-Korea ‘2017 뉴뮤직 콘서트’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17’ 남산국악당 기획 원일X모아티에 ‘1 : 1 이중나선’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18’ 창악회 창립60주년 정기발표회 ‘New Beginning II’ (일신홀)
18’ 통영국제음악당 기획 ALL ABOUT PERCUSSION (통영국제음악당 블랙박스홀)
19’ 2019 일신 프리즘 시리즈 콘서트 3 타악듀오 모아티에 (일신홀)
19’ 제47회 The Pan Music Festival 타악듀오 모아티에와 전자음악 (페리지홀)
19’ 모아티에 프로젝트 #8 ‘진동의 질감’ Takemitsu 와 Crumb (금호아트홀 연세)
20’ 모아티에 프로젝트 #9 ‘color:vision’ 제주 오뮤직홀 마스터 시리즈 (제주 오뮤직홀)
21’ 모아티에 프로젝트 #10 ‘진화 : Evolution’ Viñao, Reich, 최우정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23’ 홍콩 Toolbox International Creative Academy Festival 초청 Lecture Concert (Youth Square, Hong Kong)
Percussion 김은혜
서울예고 재학 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하여 박광서를 사사하였으며 파리국립음악원(CNR de Paris)에서 Fredric Macarez, Eric Sammut를 사사하며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한 김은혜는 2010년 귀국 이후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레퍼토리를 소개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다. 만 4세에 마림바를 시작한 이래 솔리스트로서 또 앙상블의 멤버로서 탁월한 음악적 재능을 선보이던 그는 14세에 대한민국 타악기 콩쿠르 전체 대상, 일본 마림바 콩쿠르 입상, 월드 마림바 컴피티션 탈렌트상, 폴란드 현대음악 실내악 국제 콩쿠르 솔로부문 1위를 하였다. 또한 서울시향, 수원시향, 코리안 심포니, 충남시향, 광주시향 및 KNUA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금호아트홀 영아티스트 시리즈, 조선일보 신인음악회, 예술의전당 신년음악회, KBS 초청음악회, Perkumania International Percussion Festival in Paris와 2010 제1회 서울 국제 타악기 페스티벌에서 독주회를 가진 바 있다. 2005년 타이페이 퍼커션 컨벤션에 아시아 최고 여성 마림비스트로 초청되어 연주하였으며 이듬해 대만 마림바 콩쿠르에 심사위원으로 초청되었다. 타악기 전공자뿐만 아니라 작곡과 학생들을 위한 수업에도 열정을 갖고 있는 김은혜는 추계예술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작곡과 수업에서 타악기 수업을 진행한 바 있다. 현재 서울타악기앙상블, 타악듀오 모아티에, Ensemble TIMF의 멤버로 활동 중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Percussion 한문경
한문경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시절 박동욱을 사사,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Roland Kohloff, Joseph Pereira를 사사하며 학사졸업, 파리국립음악원(CRR de Paris)에서 Eric Sammut 사사로 마림바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다시 뉴욕으로 돌아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Daniel Druckman, Gordon Gottlieb을 사사하며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금호아트홀의 영재, 영아티스트, 라이징스타 콘서트 등 여러 차례 성공적인 연주회를 가진 그는 중학생 시절 서울시향과의 협연무대를 시작으로 이후 Tapiola Sinfonietta, Sinfonia Varsovia,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국립국악관현악단, 줄리어드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2016년 영국 Royal Philharmonic Orchestra와 Grzegorz Nowak의 지휘로 류재준의 마림바 협주곡을 녹음, 발매하였다. 12세에 제1회 일본 마림바 콩쿠르 1위를 수상하였으며, 이후 파리 마림바 콩쿠르 우승, 월드 마림바 컴피티션 영탈렌트상, 미국 MTNA 컴피티션 미 전역 1위 및 야마하 특별상, 폴란드 현대음악 실내악 국제콩쿠르에서 2위 및 최고해석상을 수상하였다. 파리 프레장스 페스티벌, 톈진 쳄버뮤직 페스티벌, 파리 Perkumania 페스티벌, 폴란드 퍼커션뮤직 페스티벌, 통영국제음악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평창국제음악제 등에 초청받아 연주하였다. 2008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올해의 주목할 예술가’로 선정된 한문경은 현재 타악듀오 모아티에, Ensemble TIMF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톈진 줄리어드 음악원(Tianjin Juilliard School)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객원연주자
Percussion 이유진
퍼커셔니스트 이유진은 9세에 타악기를 시작하여 이재복, 김계형, 김은혜를 사사하며 부산예술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였다. 15세에 Juilliard Summer Percussion Seminar에 참여하였으며, 한예종 재학 중 Ensemble TIMF의 객원 연주자로 활동하며 현대음악의 매력에 매료되었다. 이후 프랑스 리옹 고등국립음악원(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de la Musique et Danse de Lyon)에서 Jean Geoffroy, Henri-Charles Caget, Laurent Fraiche, Alexandre Esperet와 Minh-Tâm Nguyen을 사사하며 2ème Cycle Master 과정을 최고점으로 졸업하였으며 3ème Cycle Diplom d’Artist 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년 International Percussion Competition Luxembourg - Trio부문에서 3인조 타악앙상블 Trio Mati3re로 참가하여 관객특별상을 수상하였으며, 벨기에 대표 현대음악 그룹인 ICTUS Ensemble의 객원 연주자로 Antwerp Festival 초청 프로젝트 참여하여 다양한 작곡가와의 협업을 하였다. 또한 이유진은 Philharmonie de Paris에서 열린 Création Festival에 초청되는 등 유럽의 다양한 무대에서 오케스트라 및 실내악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Percussions de Strasbourg 연주단원 겸 아틀리에 강사로 활동 중이며, 개인 프로젝트 'RACINES'로 유럽을 중심으로 여러 무대에서 많은 관객을 만나고 있다.
*객원연주자
Percussion 공성연
2022년에 열린 제7회 슈투트가르트 세계 마림바 콩쿠르에서 1위 및 위촉곡 해석 특별상을 수상하며 세계무대에 이름을 알린 공성연은 일찍이 제3회 뉴욕 아티스트 국제 콩쿠르에서 1위, 노스웨스턴 국제 타악기 콩쿠르에서 2위 등 국내외 다수의 콩쿠르에서 상위 입상하였다. 콩쿠르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주 경력도 쌓은바 있는 그는 만 14세의 어린나이에 뉴욕 라이징 스타로 초청받아 링컨센터에서 독주회를 가지며 해외무대에 데뷔하였고, 같은 해인 2014년 금호영재콘서트시리즈 독주회를 통해 국내 무대에도 첫 데뷔무대를 선보인 바 있다. 성남시향, 부산시향, 국립경찰교향악단 등 유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호흡을 맞춘 그는 세계무대에서도 점차 활발하게 활동 무대를 넓혀가며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정상 퍼커션 앙상블 중 하나인 Percussion de Strasbourg에서 주관한 제1회 ULYSSES Percussion Ensemble 2022 프로젝트 아티스트로 선정되어 유럽 투어에 참여하였고, IRCAM 파리 페스티벌, Time of Music 페스티벌, 가우데아무스 페스티벌, 바르샤바 가을 페스티벌 등 앙상블 연주자로 초청받아 연주를 진행하였다. 박광서, 김은정, 김은혜를 사사하며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을 수료, 예원학교 졸업 후, 서울예고 재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하였으며, 학사 졸업 후 도독하여 현재 Marta Klimasara, Klaus Dreher를 사사하며 슈투트가르트 국립 예술대학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PROGRAM
유영주
궤와 호 Trajectory for Two Percussionists and Electronics* (11’)
- 김은혜, 한문경
Joel Kirk
Percussion Trio* (7’)
- 김은혜, 공성연, 한문경
William Trachsel
Opposing Currents* (12’)
- 한문경, 김은혜
Alessio Ferrante
LUCE. SUONO. MATERIA* (6’)
- 김은혜, 한문경, 이유진, 공성연
- INTERMISSION -
David Lang
The So-Called Laws of Nature, Part 2 (12’)
- 한문경, 김은혜, 이유진, 공성연
김혜원
Dust : Blossom (7’)
- 김은혜, 한문경
João Pedro Oliveira
Kinetic Energy (8’30”)
- 김은혜, 한문경
*2023 모아티에 작품공모전 선정작품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타악듀오 모아티에 열두 번째 프로젝트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