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대한민국 공연예술제(우수공연예술제)


2023 KOCOA Music Festival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



오예민 (한국전자음악협회)

설수경 (ACL-Korea)

이윤경 (21세기악회)

남  진 (주창회)

임현경 (한국여성작곡가회)

김정길 (원로작곡가)

2023. 9. 6. 수 7:30 pm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주최 I (사)한국작곡가협회 / 주관 I 현대문화기획

후원 I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음악춘추 / 협찬 l 한국서양음악학회

예매처 I 예술의전당, 인터파크티켓, 예스24공연

공연문의 I 02 2266 1307 

전석 I 20,000원 (학생, 10인이상 단체 50%)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


  셔츠가 땀에 흠뻑 젖고 마음마저 녹아내리는 불볕더위가 기승입니다. 시원한 아메리카노 한 잔 없이는 음표 하나도 쓸 힘이 나지 않지만 소리를 향한 작곡가들의 탐구는 더위도 어찌할 수 없습니다. 곧 다가올 입추의 계절에 2023년 대한민국실내악작곡제전 두 번째 연주회가 열림을 알려드립니다.

2023년 대한민국실내악작곡제전에서 연주되는 작품들은 2022년도에 있었던 (사)한국작곡가협회의 다양한 산하단체 주최 연주회에서 주목을 받아 추천된 작품들입니다. 대한민국실내악작곡제전은 이렇게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작품들을 한 자리에 모아 감상하며 한국 창작음악의 현재를 조망할 수 있는 음악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주회 직전에 해당 음악회의 작품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시간을 갖는 작곡제전 세미나도 개최됩니다.

당일 작품을 발표할 작곡가와 음악학자가 작품을 해설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분석과 해설은 물론 작곡가에게 직접 질의응답하는 시간도 있습니다. 음악회와 세미나를 통해 우리 작곡계의 뜨거운 현재와 밝은 미래를 기대하며 한국 창작음악 작곡가들과 교감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프로그램]


오예민 (한국전자음악협회) Ironic Sounds for Snaredrum, Live Video and Electronics

설수경 (ACL-Korea) Coexistence for Solo Cello

이윤경 (21세기악회) Solitaire et Solidaire for Bass Clarinet, Violin & Cello

남 진 (주창회) 플루트와 25현 가야금을 위한 슬레이트 지붕 위의 오동나무꽃

임현경 (한국여성작곡가회)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이음

김정길 (원로작곡가) Fünf Stücke für Bläserquintett



[작곡가 프로필 및 작품해설]


오예민

오예민은 루아지애나 주립대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으며,  남조지아대학에서 뮤직테크놀로지 석사(M.M)을 받고, 하트포드대학과 경희대에서 작곡을 공부했다. 그의 논문 및 작품은 미국,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 대만, 호주, 독일 등 국제작품공모에서 30회 이상 당선되어 발표되었으며. 현재 한국전자음악협회에서 부회장이고,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Ironic Sounds(역설적인 소리들)” for Snaredrum, Live Video and Electronics.


이 작품은, 현대음악에서 보이는 모호성과 정형성에 대해 풍자를 하고자 하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풍자적인 작품을 쓰려고 했던 계기는, 새로운 음악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와 점점 정형화되어가는 음악 형태에서의 갈등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런 갈등을 음악적 표현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존재하는 악기와 존재하지 않는 악기들의 상호작용에서 모호성에 대한 풍자를 하려고 하였고, 다양한 연주 방법으로 정형성에 갇히지 않는 음악을 표현하려 하였다.



설수경

작곡가 설수경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작곡으로 학사학위를 받고, 동대학원에서 음악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작곡 석사를,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작곡 박사를 졸업하였고, 성신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다. 좀 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음악으로 소통하기 위한 바램으로 현재, 미국 UCLA Extension의 Film Scoring 과정을 이수중이다.


Coexistence for Solo Cello


이 곡은 대립되는 두 가치의 공존에 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질서와 무질서, 높고 낮음, 두꺼움과 얇음, 협화와 불협화, 반음계와 온음계, 확정성과 무확정성 등의 첼로에서 표현되는 대립되는 개념은 곡 시작부분에 등장했던 반복하는 a음에서부터 이어지는 선율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곡이 발전된다. 대립이란 서로의 다름이기도 하기도 하지만 공존했을 때, 사실 서로를 더욱 드러내게도 한다. 삶 가운데에서도 우리는 양립하는 다양한 가치들 안에서 중심을 잡으며 살아간다. 흑과 백의 색깔은 서로에 의해 더욱 명확히 드러나듯이, 양립하는 각각의 아름다움을 인정할 때, 우리는 그 안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잡으며 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작품에서 첼로는 양립한 가치들이 공존하는 삶 가운데 균형을 잡으며 살아가려 애쓰는 나 자신이다.



이윤경

연세대 음대, 맨해튼음대 대학원 및 베를린 음대에서 작곡을 공부하였다. 뉴욕, 예루살렘, 서울에서 5회의 개인발표회를 비롯하여 유럽의 Inventionen, Bodensee, Stadtklang, Berlin urban+aboriginal XVI, Mantra, Lutoslawski국제현대음악제 등과, 새마당, 여성영화제, 통영국제음악제, 세계여성음악제, 국립극장 판소리축제 등에서 작품발표하였다. Sound installation을 통한 음악의 공간적 작업을 하였고, 독일 PianoInsideOut 인사이드피아니스트로 연주와 음반활동하였으며, Sound sculpture연주 및 연극과 낭독공연을 하였다. 사단법인 한국여성작곡가회 부회장과 연세대 강사를 역임하였다.


Solitaire et Solidaire for Bass Clarinet, Violin & Cello

부제: 고독하지만 연대하는


코로나가 기승을 부리던 2021년 여름, 현실과 꼭닮은 소설 <페스트>를 읽으며, 알베르 카뮈의 삶에 대한 시각과 작품에 대한 한 작곡가의 카운터포인트로서 쓴 곡이다. 삶의 부조리함에 대한 깨어있는 인식과 지속적인 반항이 우리의 살아있음을 지지하고, 개인은 고독하지만 함께 연대해야한다는 궁극의 사랑과 실천이 재앙이 닥친 현실에 더욱 절감되는 부분이다. 평범하고 권태로운 알제리의 해안도시 오랑, 피를 토하며 죽어가는 쥐의 출현, 갑작스런 재앙에 도피, 순응, 또는 반항하는 인간들의 서로 다른 모습들, 카뮈의 표현 등이 음악적 소재로 도입되어 5부구성의 소설이 서사적 때론 내면적 인식의 반영으로 묘사되었다.



남진

 남진은 한남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후 작곡에 뜻이 있어 숙명여대 작곡학부를 졸업하였고,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석사과정에서 Ladislav Kubic으로부터 작곡을 지도받았다. 2011년 Robert Avalon 국제 작곡 콩쿠르에서 1위를 수상한 바 있고, 같은 해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신진작곡가 공모에 당선되었다. 2010년부터 주창회, 한국악회, DCMA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발표한 곡들과 초연곡을 모아 “꽃잎을 물들이는 소리”를 제목으로 하는 제 1회 작곡발표회(2019)를 가졌으며, K_Classic 뉴던, 듀오 A&U 등 대전지역연주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작곡하는 삶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플루트와 25현 가야금을 위한 “슬레이트 지붕위의 오동나무꽃”


흐트러지고 흐드러진 연보랏빛, 슬레이트 지붕위로 늘어진 오동나무꽃

비를 연신 쏟아내는 오후가 몇 차례 지나면, 꽃은 떨어지겠지만...

어둑어둑하고 축축한 오동잎 사이로 탐진 열매가 존재감을 드러낼 것이다

살아서 울림통이 되어준 오동나무덕분에, 날아든 곤충소리는 더욱 우렁차고

오동나무가 자생하는 방치된 공터는...

어찌할 수 없는 시간의 방향을, 세상의 방향을 물끄러미 사색하게 한다  


1악장

구름은 흘러가고 

꽃은 피고 지고


2악장

곤충의 울림통이 되어 준 오동나무


3악장

오동나무가 자생하는 공터

나뭇잎은 흔들리고



임현경

임현경은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동 대학원(박재열 사사)과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악대학(Mathias Spahlinger 사사)을 졸업하였다. 그녀는 독일 전국 음악대학 콩쿠르에서 작곡부분 1등상을 수상하였으며 독일 니더작센 주에서 후원하는 “슈라이얀 예술가의 집(Künstlerhof Schreyahn)”의 체류작곡가로 선정되었다.

<현대음악분석 I, II>(수문당)의 저자이기도 한 그녀는 성신여대, 한양대, 한예종에 출강중이며, 21세기악회와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여성작곡가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이음’


‘이음’은 여러 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이 곡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나는 의미 차이는 나지 않지만,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르게 들리는 동일한 음소의 음을 뜻하는 이음(異音)의 개념으로 같은 음이나 리듬 형태 등이 매개변수의 변화와 음악 진행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표현하고자 했다. 다른 하나는 ‘연결한다’의 의미로 이 곡에서는 하나의 음악 현상이 다른 음악 현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김정길


작곡가 김정길(1933~2012)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수학한 뒤 서울대 음대 교수와 한국작곡가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1988년 서울올림픽의 총괄 음악감독을 맡았다. 이종상 화백의 작품을 주제로 한 ‘원형상(源形象)’, 창작오페라 ‘백록담’ 등의 작품을 남겼고, 영화 ‘서편제’ ‘아제아제 바라아제’ 등의 음악을 작곡했다. ‘길소뜸’으로 대종상 영화음악상을 받았다.


Fünf Stücke für Bläserquintett




[연주자 프로필]


“Ironic Sounds(역설적인 소리들)” for Snaredrum, Live Video and Electronics.


스네어드럼 / 문지승

서울시립대학교 졸업

독일 퀼른 국립음대 석사(Master) 졸업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 최우수 졸업

한양대학교 특강

JS STUDIO 대표



Coexistence for Solo Cello


Cello/ 박재은

프랑스 리옹 빌레르반느 국립음악학교 첼로 학사,석사세종문화회관 청소년 오케스트라 전임강사, 경인대학교 강사 역임서울 페스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앙상블 레벨망 뮤지칼 음악감독서울 솔리스트 첼로 앙상블 단원



Solitaire et Solidaire for Bass Clarinet, Violin & Cello


Bass Clarinet 김 욱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 국립음악원 졸업

프랑스 U.F.A.M 국제콩쿨 실내악부문 1등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신여대 강사역임

명지대, 이화여대, 한양대, 단국대 작곡과 특강

현) 316앙상블 리더




플루트와 25현 가야금을 위한 “슬레이트 지붕위의 오동나무꽃”


플루트 허정인

충남대학교 및 동 대학원 졸업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FSU) 박사 졸업

11회 독주회 및 다수 연주

현) K-Classic 뉴던 대표, 휴아트 대표, 충남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가야금 유현문

중앙대학교 국악 관현악과 졸업 및 교육대학원 석사

2020, 2021년 차세대 Artistar 선정(대전문화재단)

2회 독주회 및 가야금 독주곡집 앨범 발매

현) 대전예고, 반석초, 화정초 출강,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외래 강습강사

   청흥가야금연주단 회장, 사) 한국국악협회 대전지부 이사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이음’


Viola 이희영

연세대학교 음대 학사, Juilliard 음대 석사, NY 주립대 박사 졸업

Emerson 현악4중주 Music Festival(NY), Flaine Music Festival, Kneisel Hall Music Festival, USB Verbier Festival 미주 Tour-영아티스트 초청 연주

현재 과천시립교향악단 수석, 서울신포니에타 수석, 라메르에릴 앙상블 맴버, 크로스 챔버 맴버, 에이블뮤직그룹 맴버, 헤이리 챔버 앙상블 맴버, 헤이리 모닝 클래식 진행, Quartet SOL 비올리스트, 협성대 객원교수


Cello 최지호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재학 중 도독

뒤셀도르프 국립음대 학사졸업, 루가노 콘서바토리 석사졸업

뒤셀도르프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졸업

한국음악협회콩쿨 대상 및 문화관광부장관상 수상 외 다수입상 

원광대학교 음악부 겸임교수, 국민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강사 

독일 뒤셀도르프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 역임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구 바로크합주단) 정단원, Quartet IDEA멤버, 원챔버앙상블 대표 및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


Contra Bass 서민수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독일 쾰른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Teater und Philharmonie Duisburg에서 객원단원 역임

Guerzenich Orchester Koelner Philharmoniker 단원 역임

현) 충남교향악단수석, KT쳄버수석, 다바스앙상블단원, 카메라타안티콰단원, 연세대, 충남대, 총신대 출강



Fünf Stücke für Bläserquintett


Oboe 이현옥 

독일 Freiburg 국립음대 Diplom (KA) 졸업

독일 Muenchen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Yehude Menuhin LMN 장학재단 Solo oboist 선정

예술의전당 기획 문화햇살콘서트 협연

통영국제음악제, 대관령음악제, 서울국제음악제 쏠로 및 앙상블 연주

현재 충남교향악단 수석, KME리더, 한국페스티발앙상블 단원, Marigaux 아티스트,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중,선화예고, 한양대 겸임교수, 연세대, 단국대출강


Bassoon 이민호 

연세대학교 졸업

베를린국립음대 'Hanns Eisler' Diplom

독일 Markneukirchen 콩쿠르, 스위스 Muri 콩쿠르 심사위원 역임

현재 수원시립교향악단 수석


Clarinet 김민욱 

예원학교,서울예고,한국예술종합학교,쾰른국립음대 석사,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Saverio Mercadante” 국제콩쿨 본선진출

독일 Bergischenorchestra 단원 역임 및 강남심포니, 청주시향 객원수석

모모앙상블, 앙상블아인스 단원, 대한민국연사박물관 공연단원


Flute 오병철 

서울예고, 프랑스 에꼴노르말, 파리국립음악원, 말메종국립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현재 과천시립교향악단 수석, Miyazawa 아티스트, KME 멤버, 한국패스티발앙상블 단원, ensemble eins 멤버, ensemble iiiiiiiii 멤버, 

국립안동대학교, 서울예고 , 예원, 삼육영재원 출강


Horn 김형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졸업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악대학교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현재)부천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2수석, 한국페스티벌앙상블,코리안 모던 앙상블, 코리안 혼 사운드 단원, 서울대학교,한양대학교,강원대학교 출강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50% (5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30% (5매), 그린회원 3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2매 (티켓 수령 시 문화누리카드 제시)
- 대학생, 대학원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현장 제시)
- 중고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초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관람석 총 354석

  • 일반 판매석350석
  • 휠체어석4석

리사이틀홀명료한 음향을 자랑하는 리사이틀홀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사이틀홀 1층 좌석도 1층2열2번 1층2열9번 1층2열17번 1층6열2번 1층6열9번 1층6열17번 1층11열2번 1층11열9번 1층11열17번 1층오른쪽사이드10번 1층오른쪽사이드18번 1층오른쪽사이드22번 1층오른쪽사이드장애인석2번 1층왼쪽사이드2번 1층왼쪽사이드10번 1층왼쪽사이드16번 1층왼쪽사이드22번 2층뒷줄1열2번 2층뒷줄1열10번 2층뒷줄1열19번 2층뒷줄3열5번 2층뒷줄3열18번 2층오른쪽사이드2번 2층오른쪽사이드10번 2층오른쪽사이드16번 2층왼쪽사이드2번 2층왼쪽사이드10번 2층왼쪽사이드16번
  • 1층 262석

    • 일반석258석
    • 휠체어석4석
  • 2층 92석

    • 일반석92석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07(수)
작품명 2023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III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