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이혜경 피아노 독주회

이혜경 피아노 독주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PROGRAM


M. Ravel (1875-1937)

'Menuet antique' 

'Jeux d'eau'

'Pavane pour une infante d'efunte'

'Sonatine'

  Ⅰ. Modéré

  Ⅱ. Mouvement de menuet

  Ⅲ. Animé



INTERMISSION



M. Ravel (1875-1937)

'Miroirs'

  Ⅰ. Noctuelles

  Ⅱ. Oiseaux tristes

  Ⅲ. Une barque sur l'océan

  Ⅳ. Alborada del gracioso

  Ⅴ. La valleé des cloches




Pianist 이혜경


피아니스트 이혜경은 1959년 원주에서 태어나 6세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교육대학 콩쿨, 이화-경향신문사 콩쿨에서 1등 입상 후, 1970년 서울 신포니에타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국립극장에서 데뷔하였고, 4년 후 한국 쥬네스 오케스트라 창단공연의 솔리스트로 선정되었다. 1975년 서울예술고등학교를 명예졸업 하면서 독일 엣센 폴크방 음대에 입학하며 DAAD 독일 정부장학생에 선발되었고, 이후 폴크방 음대 콩쿨과 독일음악대학 연합콩쿨에 입상하였다. 1979년 뮌헨음대로 전학하여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였고, 최고연주자과정 중 다수의 연주와 방송국 녹음을 하였으며, 1983년 포르투갈의 비안나 다 모타 국제콩쿨에서 바하상을 수상하였다.


1984년 중앙대학교 피아노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연주활동을 시작하여, 바하에서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보유하며, 풍부한 소리와 깊고 지적인 해석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음악펜클럽이 수여하는 ‘이달의 음악가 상’ 을 수상하였고, 음악동아 선정 ‘올해의 음악가 상’, 한국음악협회 선정 건반악기 부문 ‘한국 음악상’, 한국음악비평가협회로부터 ‘서울 음악상’을 수상하였다. 미국 루이지애나 국제콩쿨, 인도네시아 국제콩쿨 심사위원, 독일 자브뤼켄 음대 교환교수, 한국피아노학회 부회장직을 역임하였고, ‘Piano On’의 음악감독으로써 피아노앙상블 레파토리 및 창작곡의 개발과 대중화에도 전념하고 있다.


러시아의 Classical Records사에서 15종의 음반을 작업하였으며, 미국의 케네디센터, 링컨센터를 비롯하여 독일, 호주,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알제리 등지에서 연주하였다. KBS 교향악단, 서울, 수원, 인천, 광주, 대전, 대구, 부산, 제주시향, 코리안심포니, 바로크합주단, 서울 신포니에타, 아일랜드 Ulster 오케스트라, 일본 Osaka 뉴필하모니, 러시아 Ufa 국립교향악단, 루마니아 올태니아, 크라요바 오케스트라, 몰도바 방송교향악단 등과 협연하면서 지휘자 박탕 조르다니아, 베르나르드 귈러, 베리 워즈워드, 얀 파스칼 토르틀리에, 산드로 수투렐로 등과 호흡을 맞추었고, 플루티스트 패트릭 갈로와, 막상스 라리외, 트럼펫 스테픈 번즈, 바이올린 강동석, 뉴 부다페스트 현악사중주단, 콜로라도 현악사중주단, 쾰른 트리오 등과 실내악을 연주하였다. 




Ravel의 생애와 작품


시인 폴 파르그가 ‘비범한 공장의 마음을 겸비한 음악가’라 하였고, 스트라빈스키가‘스위스제 시계처럼 정밀하다’고 평하였던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1875-1937)은 스페인 국경에서 가까운 피레네 산맥의 시브르에서 엔진의 발명자로 명성있던 스위스 출신의 아버지와 스페인 바스크 지방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7세부터 피아노 렛슨을 받았고, 12세에 화성학을 배웠고, 14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였다. 


재학 시절 라벨은 가브리엘 포레에게 작곡을 배웠고, 말라르메와 에드가 앨런 포우의 문학에 심취하였다. 에릭 사티의 신비스럽고 풍자적인 화성과 샤브리에의 남국적인 활달한 기질에 영향을 받았으며, 스페인 출신의 피아니스트 리카르도 비녜스와 깊은 우정을 쌓기도 하였다.


1902년 드뷔시와의 만남 이후 라벨은 인상주의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게 되는데, 드뷔시의 음악이 심미관, 몽환적 색채감에 충실하였다면, 라벨의 언어는 세밀한 묘사, 명확한 선율과 질서 있는 리듬을 추구하며, 때로는 리스트와 흡사한 비르투오소적 기교를 보이기도 한다. 


1901-4년 로마대상에 도전하였으나 연속 고배를 마시자, 포레가 라벨을 옹호하였고 대문호인 로맹 롤랑까지 라벨의 재능에 대한 글을 발표하며 여론이 격화하자, 급기야는 파리 음악원의 교수 2-3명이 사퇴한 사건이 있었다. 


라벨의 초기 피아노작품은 신고전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고풍의 메뉴엣’은 1895년 작품으로, 세련된 형식미, 감각적인 7,9화음, 섬세한 대위법적 처리가 돋보인다. 중간에 트리오를 둔 ABA의 형식이다.


인상주의를 표방하는 ‘물의 희롱’을 1901년에 발표하자 음악계의 반응은 엇갈렸는데, 생상은 ‘너무 불협화적인 화음’이라 평한 반면, 피아니스트 코르토는 ‘물의 변화무쌍한 생동감, 바람에 흩날리는 물보라, 호수와 분수를 채우며 넘치는 물의 나태한 흐름’이라고 극찬하였다. 이 곡은 리스트의 작품 ‘에스터장의 분수’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다.


‘물의 희롱’과 함께 초연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는 1899년에 작곡되었고, 22세에 요절한 테레사 공주의 어린 시절을 연상하며 썼다고 한다. 파반느는 16-7세기에 유행하던 느린 2박자의 궁정무도곡으로, 우아한 절제미가 돋보이는 이 곡은 후일 라벨에 의해 오케스트라 곡으로 편곡되었다.


1905년 작품인 ‘소나티네’는 콩쿨의 참가곡으로 작곡되어 연주자와 청중으로부터 호평을 받자, 뒤랑 출판사와 라벨의 평생의 인연을 맺게한 작품이다. 1악장 ‘적당한 빠르기’는 고전적인 형식을 따르며, 2악장 ‘메뉴엣 풍으로’에서는 복고적인 화성이 돋보인다. 3악장 ‘생기있게’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16분음표는 미래적인 느낌마저 풍긴다.


1905년에 작곡된 ‘거울’의 유니크한 5개의 작품들은 전위화가, 작가, 음악가 등 라벨과 어울려 지내던 이른바 '폭도'들에게 각각 헌정되었다. ‘의인화된 직관’이 엿보이는 1곡 ‘밤나방’은 불을 향해 날아드는 나방의 무모함과 절박함을 묘사하는데, 코르토는 이를 ‘신비스런 활주, 멜로디의 왜곡, 변덕스런 불안함’이라 평하였다. 2곡 ‘슬픈 새들’은 퐁텐블로 숲의 산책에서 영감을 받아, 길 잃은 새의 울음소리와 숲의 적막함이 정교하게 대비된다. 3곡 ‘대양 위의 조각배’는 찬란한 햇살 속에 잔잔한 바다를 떠도는 조각배를 그리며, 때때로 바다 속으로부터 커다란 파도가 밀려온다. 4곡 '어릿광대의 아침노래'는 깨어나는 일상의 활력을 기타와 캐스터넷, 플라멩고 선율로 다채롭게 묘사한다. 5곡 ‘계곡의 종소리’는 아버지의 조국인 스위스에 대한 풍경을 담은듯, 하루를 정리하는 안식과 회상이 베어있다.

 


  - 이후

1932년 라벨은 교통사고를 당하였다. 처음에는 대단치 않아 보이던 이 사고는 뇌질환을 일으키게 되었고, 라벨은 스페인, 모로코 등지의 요양소를 찾았으나 끝내 회복되지 못한 채 수년간을 실어증에 시달리다가 1937년 12월 62세의 아까운 생을 마쳤다. 

 라벨의 관현악법은 투명하면서도 화려한 색채와 효과로 가득하다. 연금술사의 그것과도 같이 정밀한 라벨의 음악은 어디까지나 프랑스적 에스프리에 충만하였으며, 인상주의와 프랑스 고전주의의 정신을 구현하는데 충실하였다.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50% (5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30% (5매), 그린회원 3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노블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2매 (티켓 수령 시 문화누리카드 제시)
- 예술인패스카드 소지자 50% 1매 (본인명의 예술인패스카드 현장 제시)
- 대학생, 대학원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현장 제시)
- 초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중고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관람석 총 354석

  • 일반 판매석350석
  • 휠체어석4석

리사이틀홀명료한 음향을 자랑하는 리사이틀홀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사이틀홀 1층 좌석도 1층2열2번 1층2열9번 1층2열17번 1층6열2번 1층6열9번 1층6열17번 1층11열2번 1층11열9번 1층11열17번 1층오른쪽사이드10번 1층오른쪽사이드18번 1층오른쪽사이드22번 1층오른쪽사이드장애인석2번 1층왼쪽사이드2번 1층왼쪽사이드10번 1층왼쪽사이드16번 1층왼쪽사이드22번 2층뒷줄1열2번 2층뒷줄1열10번 2층뒷줄1열19번 2층뒷줄3열5번 2층뒷줄3열18번 2층오른쪽사이드2번 2층오른쪽사이드10번 2층오른쪽사이드16번 2층왼쪽사이드2번 2층왼쪽사이드10번 2층왼쪽사이드16번
  • 1층 262석

    • 일반석258석
    • 휠체어석4석
  • 2층 92석

    • 일반석92석

이혜경 피아노 독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7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7.05(토)
작품명 이혜경 피아노 독주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