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도약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제 76회 봄 정기발표회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제 76회 봄 정기발표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PROGRAM]



김사랑 / 두 대의 25현 가야금, 첼로, 타악기를 위한 "아지랑이"

가야금1-김철진, 가야금2-추현탁, 첼로-최주연, 타악기-우리


김주혜 / 세 명의 타악 연주자를 위한 "물수제비"

우리, 이세영, 안다해


류경선 / 비올라와 타악기를 위한 <비상(飛上)을 꿈꾸며>

비올라-유리슬, 타악기-우리


박영란 / "Time Walk" for Percussion Ensemble

아우어 퍼쿠션


심유주 / 별을 향한 두드림

거문고-박은혜, 타악-우리


정연옥 / 첼로와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비상(마법-같은 도약)"

첼로-최주연, 피아노-이은지, 타악-김수진




[작곡가 프로필]



작곡 / 김사랑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및 석사 졸업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작곡과 박사 (DMA) 졸업

∙ 2018년 통영국제음악제 Asian Composers Showcase 입선

∙ 2018년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부문 당선

∙ 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작곡 / 김주혜

∙ 이화여자대학교 작곡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Western Illinois University 졸업

∙ WIU 오케스트라 콩쿨 우승 (작곡부문)

∙ 국민대, 인제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강사 역임

∙ 강원대, 동아대, 목원대, 이화여자대학교 출강


 

작곡 / 류경선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작곡전공 학사ㆍ석사ㆍ박사 졸업 (B.M., M.M., D.M.A.)

∙ 고려대ㆍ국민대ㆍ명지대ㆍ서울시립대ㆍ숙명여대ㆍ연세대ㆍ장신대ㆍ추계예대ㆍ예원학교ㆍ서울예고 강사 및 연세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 현)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사)한국작곡가협회 이사, 창악회 감사, ISCMㆍACLㆍ21세기악회

동서악회ㆍ베리타스뮤지케ㆍ신음악회ㆍ소리목ㆍ여성작곡가회ㆍ운지회 회원



작곡 / 박영란

∙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학사, 석사, 박사

∙ 2001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작곡콩쿨 우승

∙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2015 국가브랜드공모전" 음악부문 최우수상 수상

∙ 시사투데이 선정 "2016 자랑스러운 한국인" 문화인 대상 수상

∙ 2021 (사)한국음악협회 "한국음악상" 공로상 수상

∙ 현) 수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사)한국여성작곡가회 고문, (사)한국작곡가협회 이사, 지리산국제환경예술제(JIIAF) 음악감독



작곡 / 심유주

∙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미국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작곡 석사(MM), 박사(DMA)졸업

∙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작곡 박사(PhD)수료

∙ 중앙대 강의전담교수, 충남대, 숙명여대, 명지대, 백석대, 칼빈대 강사 역임

∙ 현) 중앙대 예술학부 음악학부 출강



작곡 / 정연옥

∙ 숙명여대 및 동 대학원, FOLKWANG HOCHSCHULE IN ESSEN IN GERMANY(독일 에센국립음악대학교) 졸업

∙ 독일 바이마르 음악학부(강남대) 등에서 논문 지도, 현대음악 음향 강좌 일 초대 강의 행사 外를 전문 일함, 등

∙ 세계음악제-2007 ISCM 홍콩 신음악 세계음악제 입선됨. 2003 ACL(아세아-일본 대회) 쳄버 작품 입선됨. 2007 ACL 뉴질랜드 대회 범-국제 초대 연사로 초청 됨. 그리고 미국 ARIZONA 주립 대학원, 미국 CMS, 독일 에센국립음악대학교, 뉴질랜드 빅토리아 대학교, 등지에서 그녀의 작품이 강연, 연구(신음악 작품-음향체 분석) 등 됨

∙ 그리고 여러 나라에서(EX: 유럽(오스트리아 외), 라틴 아메리카 외) 동시에 “거시적-NEW-현대음악-동시대를 거느르는 책임 연구일 등을 전문-수행함(EX: 현대음악 신 PAINTING 예술-등..)

∙ 미국 국제연맹 ACM작곡가협회, 독일, 등 여러 곳에서 오늘의 중견 작곡가, 국제 (신) 여성 음악인, 국제 초빙 작곡가, 등으로 선정됨(전문 인터뷰-초청-방송됨, 외)

∙ 대표 음향-작곡 기법 중 하나임, 즉 임.

∙ 그리고 홍콩-RTHK, 그리고 QUARTET ONE, 및 한국, 독일, 미국, 등에서 신 음악(EX: 1. 오케스트라로 작곡된 뉴 신 작품, 그리고 2. 합창곡, 3. 무용 음악 작품, 그리고 4. 가곡, 5. 쳄버 뮤직, 6. 국악 곡, 등)이 방송되었고 위촉, 등 되었음. (작곡가 화차-정연옥, COMPOSER- 鄭連沃-)




[연주자 프로필]


가야금 김철진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및 박사 수료

∙ 제32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대통령상

∙ 현) 목원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출강



가야금 추현탁

∙ 서울대학교 졸업 및 동대학원 수료

∙ 제39전국 난계 국악 경연대회 대학부 종합대상.

∙ 제 31회 동아 국악 콩쿠르 일반부 금상

∙ 제26회 kbs국악대경연 대상

∙ 국립 전통예술고등학교 강사

∙ 전통음악집단 '샛' 동인



비올라 유리슬

∙ 라이프치히 음악대학 학사, 석사, 박사 졸업

∙ 게반트하우스아카데미,mdr,막데부륵테아터 단원역임, 군포프라임필 ,성남시향, 목포시향 객원수석 역임

∙ 현) 코리안 챔버오케트라 단원



거문고 박은혜

∙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이수자

∙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음악학 (PH.D)박사

∙ 제40회 전국국악대제전 종합 최우수상

∙ 2012 제1회 박은혜 개인 독주회 ‘현금가람’

∙ 2013 호주 Queensland Korea Orchestra Concert 협연

∙ 2014 제2회 박은혜 미국 독주회 ‘Geomungo Story’

∙ 2017 제3회 박은혜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독주회

∙ 2023 제4회 박은혜 태국 독주회 (주태국한국문화원)

∙ 전) 가톨릭대학교 음악학부 출강

∙ 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전통예술학부 외래교수



피아노 이은지

∙ 예원학교 졸업, 서울예술고등학교 재학 중 도불

∙ 파리국립고등음악원(CNSM de Paris) 학사, 석사 과정 및 실내악과정 만장일치 입학 및 졸업

∙ 이화여대 박사과정 졸업

∙ 서울시향, 군산시향, 서초필하모니오케스트라 협연, 금호영아티스트

∙ 현) 이화여대 출강,  현대음악전문앙상블 위로, 서울모던앙상블, 앙상블 유니송, 서초필하모니오케스트라 피아니스트


 

첼로 최주연

∙ 예원학교, 서울예고 졸업, 파리국립고등음악원 (CNSMDP) 학, 석사 연주 및 논문 최우수 성적 졸업

∙ 함부르크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최연소 입학 및 심사위원 만장일치 최우수 졸업

∙ 스트라드콩쿨, 한미콩쿨, 서울청소년 실내악 콩쿨, 음악춘추콩쿨, 음악저널콩쿨, 한국일보콩쿨, elise meyer competition, 함부르크 페스티발 오케스트라 협연자 오디션 등에서 우승 및 입상, 프랑스 mélomanes côte sud prize 수상

∙ 함부르크페스티발 오케스트라, 프랑스 부르타뉴심포니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양평필하모닉오케스트라, 충청필하모닉오케스트라, 한일연합오케스트라 등 협연

∙ 무슈하이든 페스티발, 카잘스 페스티발, KF한국국제교류재단(예술의 전당) ,부산음악제, 파리 한인문화원, Opera de Rennes, 독일 Laeitzhalle, 프랑스 Conservatoire de la roche-sur-yon, Les Invalides, 파리 노트르담 성당 등 국내외 초청 및 연주

∙ 유럽 음반사 DUX 레이블 'Cello Sonatas' 음반 발매 및 KBS Classic FM 음반 소개

∙ 수원시립교향악단 종신 부수석, 부산 국제 아카데미 교수 역임, 한세대 강사,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대전시립교향악단 객원수석 역임

∙ 현) 예원학교, 서울예고 출강, 프라임필오케스트라, 아르츠심포니오케스트라 객원수석



OUR PERCUSSION/ 아우어 퍼쿠션 

  아우어 퍼쿠션에게 있어 타악기는 다양성이다. 이들은 이런 다양성을 바탕으로, 음악적 이해, 상상력, 그리고 젊은 연주자만의 열정을 더해 다각적으로 실험을 시도하고 있다.

  모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타악기를 전공하였고, 졸업 후 솔리스트 활동과 실내악 및 교향악단의 객원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클래식과 현대음악, 대중음악, 심지어 재즈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런 넓은 활동 반경에서 이들은 반주의 역할을 넘어 독주 악기로서 타악기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됐다.

  타악기는 사실 그 정의가 어렵다. 기존의 피아노는 건반 악기지만, 뚜껑을 열고 피아노 줄을 말렛으로 치는 순간부터는 타악기가 된다. 누군가에게는 이런 경계의 모호함이 불편하겠지만, 아우어퍼쿠션은 타악기만의 이런 면모를 부각하여, 관객과 공유하고 공감을 끌어낸다.


음악감독 및 리더 / 우리

∙ 예원학교, 서울예고,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 대한민국 타악기 콩쿠르 최우수상, 음악저널, 스포츠투데이, 경원대, 연세대 콩쿠르 1등

∙ 서울시향, 한경필하모닉, 경기필하모닉, 평택시향, 국립경찰교향악단 마림바 솔로 협연

∙ 금호 영재 콘서트, 국민일보 신인음악회 선정

∙ 신혁진 창작실내악모음집(2019) [야간비행 Night Flight] Dryad 마림바 솔로 녹음

∙ 현) 아우어 퍼쿠션 음악감독 및 리더,  WE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


이세영

∙ 예원학교, 서울예고,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 경원대, 연세대, 음악저널 콩쿠르 1등

∙ 금호 영아티스트 콘서트, 2007 음악교육신문사 우수 음악 영재 페스티벌 선정 

∙ 군산시향, 구리시향 마림바 솔로 협연

∙ 이세영 마림바 솔로 앨범 발매

∙ 현) 아우어 퍼쿠션 멤버, WE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


김수진

∙ 선화예고,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 Universal Marimba Competition & Festival Belgium 2017 Finalist 

∙ 음악저널, 가천대, 사천타악축제 콩쿠르 입상

∙ 용인시립 청소년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

∙ KBS교향악단, 연세신포니에타, 안양윈드오케스트라 등 객원

∙ 현) 아우어 퍼쿠션 멤버


안다해

∙ 서울예고,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Universal Marimba Competition & Festival Belgium 2017 Finalist 

∙ 충북 음협 콩쿠르 마림바 부문 대상, 서울대 콩쿠르 1등

∙ 동양일보, 음악교육신문사, 우현 콩쿨 입상

∙ 충청 필하모닉, 유라시안 필하모닉 마림바 솔로 협연

∙ 현) 아우어 퍼쿠션 멤버, WE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




[PROGRAM NOTE]


 


작곡 / 김사랑


이 작품은 1946년 작 윤곤강의 시 <아지랑이>에서 영감을 받은 곡이다. 겨울 내내 꽁꽁 얼어붙었던 시적 화자의 마음이 따스한 봄날의 아지랑이와 더불어 환희 속에 역동적으로 살아나고 있음을 노래한 시다. 밝고 경쾌한 시적 분위기를 따라 타악기의 리듬적 경쾌함과 두 대의 25현 가야금의 시김새를 통해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봄날의 새롭게 도약하는 생동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미니멀리즘적인 성향이 돋보이는 반복과 변주의 텍스쳐 속에서 첼로는 드론과 같이 긴 지속음을 통해 백드롭을 장식한다. 시대적, 개인적 절망과 불안을 암울한 시풍으로 노래했던 윤곤강의 시적 세계와는 달리 매우 밝은 분위기를 가진 이 작품을 표현하고자 밝음과 어두움의 정서를 여러 층의 텍스쳐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곡 / 김주혜


세 명의 타악 연주자를 위한 "물수제비(stone skipping)"는 수면 위에 얇은 돌을 던져 여러 번 튀기면서 물결 모양을 만드는 모습을 음악적으로 풀이한 곡이다. 빠른 속도일수록 더 멀리, 여러 번 수면 위를 튀면서 날아가는 물수제비처럼, 음악의 속도와 동기적 음형 단편의 반복과 발전 방법은 서로 연관이 있다. 회전하는 돌이 수면 위에서 만들어내는 물결은 각 악기 사이의 모방 기법과 음형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곡의 긴장감을 이끌어낸다.


 


작곡 / 류경선


현악기들 중에서 화려함이나 두드러지는 특징이 비교적 덜 한 악기 '비올라'.

열심히 살아온 듯 하여도 드러남이 덜한 한명의 작곡가로서도 일궈낸 것 하나 없이 인생의 중반에 접어든 나이로도, 그 모든 면에서 새로운 전환과 변화를 전제로 한 비상을 꿈꾸고 있는 작곡가 자신을 투영한 듯 하다. 혼자만의 노력은 당연하겠지만 이 외에도 '타이밍'과 주변의 도움이 작곡가의 이런 열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처럼, 유율・무율의 다양한 음색의 여러 타악기들이 비상을 꿈꾸는 '비올라'의 열정과 노력에 날개를 달아주어 새로운 비상(飛上)을 꿈꾸는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표현하기를 바라며 작곡한다.




작곡 / 박영란


"Time Walk"는 코로나19로 인해 평범한 일상이 바뀌는 대 혼란 속에서 전 세계사람들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표현한 곡이다. 첫 부분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감염, 고립된 상황을 묘사하고, 두 번째 느린 부분은 코로나19로 죽음에 이른 영혼을 위한 진혼곡, 그리고 마지막 부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밝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의 소원을 그리고 있다. 이 곡을 코로나19 희생자들에게 바친다.




작곡 / 심유주


<별을 향한 두드림>은 1인의 타악주자와 거문고를 위한 작품이다. 누구에게나 꿈이 있다. 꿈은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곡은 꿈을 향한 희망을 담고 있다. 이 곡의 제목에서의 '별'은 우리의 꿈을 나타내며 꿈을 향한 여러가지 형태의 몸짓들을 음악으로 표현하려고 한다. 우리나라 음악의 장단(별달거리 장단 등)이 거문고의 타악적인 선율과 함께 점점 고조된다. -마치 별, 즉 꿈을 향하여 비상하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장단을 서양 타악기로, 서양음악의 음재료들을 우리나라 악기 거문고로 재해석하여 작곡할 계획이다.




작곡 / 정연옥


"비상(SOAR) 그리고 전진적 도약(LEAP)에 관한 미학적인 접근 일로 신 음악이 진행됩니다."

비상(SOAR)과 도약(LEAP)의 내용 사항은 이 작품에서 열두 음(12음)을 전개하게 됨으로

이 작품에 대한 표현력, 등을 이루는데 사용이 됩니다.

이 작품 내에서 비상(SOAR)이라는 것은 정상적이거나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선율에 집중하여 새로움이 있게 연관된 과정 등으로 있게 됩니다.

이 작품에서 밀도(DENSITY)는 때로는 직. 간접적으로 비상(SOAR)과 도약(LEAP)에 의해 생성 되어진 마법적인, 시적인 음악의 전개를 간혹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 악곡 내에서 몇몇 음높이 진행들은 비상(SOAR)과 도약(LEAP)과 접근된 새로운(NEW)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것들은 첼로 현의 개방현에, 피아노의 흰 건반에, 타악기의 음향에 마치 MAGIC(마법, 마술) 같은 일을 선사합니다. 그리고 간혹 변형된 ARCH 구조와 투영성적인 음향 기술이 이 작품에 제한된 일로 전위 있게 펼쳐집니다.

간혹 STRING과 피아노 울림은 점차적으로 "MESH"적인 자연스러운 도약성 울림을 청중들에게 협화적으로 줍니다.

그리고 이 작품 내에서는 독특한 방법으로 전개되는 클러스터들이 마치 수사학으로 펼쳐져 잇는 많은 이들에게 사랑 받고 있는 마법과 같이 반복되는 집합 음향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일 예로 이것들은 때로는 매우 섬세하고 때때로 도약적인 악센트로 구성이 된 타악기의 연주에서 가끔 병행화 되어있습니다.)

국악에서의 가야금 선율적인 구성체를 이 작품 속의 낭만적인 시간에 점진적으로 늦추는 방법(EX: 시간의 비례들)에 의해 비상하는 음색이 리더적으로 등 새로이 본 악곡의 선율 내에 고요히~신 등장됩니다. 그리고 점차로 비상(SOAR)과 도약(LEAP)에 관한 명백한 징후들은

전례와 같이 이 작품 내에서 동기적인 그리고 다양한 협화적인 연결체를 수평적으로 조직 일 합니다.

또한 이 일은 마치 푸르른 드높은 비상(SOAR)과 도약(LEAP)을 통합하는 연결고리의 접근성적(接近)인 일이 됩니다.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50% (5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30% (5매), 그린회원 3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노블회원 본인 5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중고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초등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또는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대학생 할인 50% 1매 (본인만/학생증 현장 제시, 대학원생 제외)
- 예술인패스카드 소지자 30% 1매 (본인명의 예술인패스카드 현장 제시)

관람석 총 354석

  • 일반 판매석350석
  • 휠체어석4석

리사이틀홀명료한 음향을 자랑하는 리사이틀홀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사이틀홀 1층 좌석도 1층2열2번 1층2열9번 1층2열17번 1층6열2번 1층6열9번 1층6열17번 1층11열2번 1층11열9번 1층11열17번 1층오른쪽사이드10번 1층오른쪽사이드18번 1층오른쪽사이드22번 1층오른쪽사이드장애인석2번 1층왼쪽사이드2번 1층왼쪽사이드10번 1층왼쪽사이드16번 1층왼쪽사이드22번 2층뒷줄1열2번 2층뒷줄1열10번 2층뒷줄1열19번 2층뒷줄3열5번 2층뒷줄3열18번 2층오른쪽사이드2번 2층오른쪽사이드10번 2층오른쪽사이드16번 2층왼쪽사이드2번 2층왼쪽사이드10번 2층왼쪽사이드16번
  • 1층 262석

    • 일반석258석
    • 휠체어석4석
  • 2층 92석

    • 일반석92석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제 76회 봄 정기발표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01(목)
작품명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제 76회 봄 정기발표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