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소개]
괴테의 파우스트는 여러 작곡가를 통해 작품으로 탄생하였다. 그중에 가장 사랑받는 구노의 작품을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성악가들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공연을 선보이고자 한다. 관객과의 좀 더 가까운 소통을 위해 2시간 분량의 축소 버전으로 현대적인 연출과 감각의 시공을 초월한 욕망과 파멸, 구원의 메시지를 통해 팬데믹 시대를 돌아보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우리는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살아왔던 삶의 허무함을 느끼고 부딪히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작품을 통해서 경험하게 될 것이다.
[프로그램]
파우스트는 라틴어 `Faustus' 유래한 것으로 길조, 행운이란 뜻이다. 중세 구전으로 전해지는 전설로 1587년 요한 슈피스의 ”요한 파우스트 박사 이야기”가 나온 이후 괴테, 토마스 만, 베를리오즈, 리스트, 오스카 와일드, 샤를 구노, 리하르트 바그너, 구스타프 말러 등에 의해 다양한 예술의 소재가 되었다. 이들의 작품에서 `파우스트'라는 인물은 주로 연금술사나 점성술사로 자만심과 허영심 때문에 결국 파멸을 맞게 된다.
괴테의 `파우스트'는 단순한 기독교 윤리에 중점을 둔 중세의 `파우스트'에서 벗어나 복잡하고 드라마틱한 내용으로 엮은 희곡으로 기독교문학, 그리스 로마문학, 중세의 전설 등을 폭넓게 다룬 2부 서사시이다. 괴테는 `파우스트' 집필을 위해 60년이라는 세월을 보냈고, 생전에 이 작품에 집착하였지만 결국 사후에 발간됐다. `파우스트'는 인간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진정한 본질의 세계에 대한 질문을 다룬 소재로 독일문학의 가장 위대한 작품이다.
대 본 쥴 바르비에, 미쉘 까레
작 곡 1839-1859
초 연(디알로그 버젼) 1859년 3월 19일 파리 떼아트르 리릭극장
초 연(레치타티보 버전) 1869년 3월 3일 파리 오페라 가르니에 극장
1839년 구노가 로마의 메디치 빌라로 떠났을 때 그는 괴테의 작품을 가져갔고 이미 언젠가 작곡하게 될 오페라, 특히 발푸르기스의 밤을 생각하고 있었다. 오랫동안 준비하던 이 부분은 20년 후인 1859년 3월 19일 Théâtre-Lyrique 에서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그 후 그는 악보를 다시 작업하고 대화를 레시타티브로 변형하여 작곡하였는데, 1869년 오페라에서의 공연은 발푸르기스의 밤의 유명한 장면인 5막의 시작 부분에 발레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구노의 파우스트는 프랑스 오페라의 가장 큰 성공작이다. 1975년 Opéra de Paris 에서 무려 2,358회의 공연이 되었다.
인트로 파우스트의 서재
1막 세상 속으로
2막 마르그리뜨
3막 정죄와 죽음
4막 성화
평생 학문을 연구해온 파우스트 박사는 인생의 허무함을 느끼게 되고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젊음을 얻게 된다. 젊은이로 변한 파우스트는 마르그리뜨를 사랑하고 아이까지 낳게 되지만 결국은 그녀를 버리고 만다. 전쟁에서 돌아온 마르그리뜨의 오빠는 발랑땅은 파우스트를 찾아가 결투를 벌이지만 죽임을 당하고, 충격을 받은 마르그리뜨는 자신의 아기를 죽이고 감옥에 갇히게 된다. 파우스트는 마르그리뜨와 도망가려 하지만 그의 손에 오빠의 피가 묻은 것을 본 마르그리뜨는 파우스트를 저주하며 숨을 거두고 그녀의 영혼은 천사들의 합창 속에 하늘로 올라간다.
콘서트 오페라 구노의 파우스트에서 미디어 아트 영상로 무대를 구성하며 무기력함에 빠진 파우스트가 악마의 유혹에 넘어가면서 시작되는 파멸의 과정들, 그 안에서 무너지는 크리스천 공동체의 오염과 왜곡을 반영하는 심상적 이미지들을 던지며 관객들의 극적 몰입을 이끌고 결국 작품의 끝에서 파우스트에서 가지고 있는 철학적 질문 앞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장면 이미지들을 구상하고자 한다.
각 장면을 영상을 통한 작품 속 장소를 재현하여 시공간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각 장면에서 중요한 심상적 이미지들을 상징적인 오브제로 표현하거나 추상적인 형상과 움직임들로 시각화 할 예정이다.
프로덕션
제 작 메이지 프로덕션
지 휘 이든 (2021 프랑스 브장송국제지휘콩쿠르 한국인 최초 수상)
연 출 이범로 (2016 국립오페라단 로시니 "세빌리아의 이발사" 연출 문화관광부장관상 수상)
음악코치 조시온
영 상 비쥬얼케이 (미디어아트)
조연출 구자민
무 대 이진수
조 명 공홍표
의 상 박선미
분 장 임유경
[출연진]
파우스트 테너 박승주
(몬트리올콩쿠르우승,독일 쾰른오페라/포르투칼 리스본오페라 파우스트 출연)
메피스토펠레 베이스 고경일
(덴마크왕립오페라 종신 솔리스트, 프랑스 마르몽드국제콩쿠르 1위)
마르그리뜨 소프라노 장혜지
(서울시오페라단 파우스트 출연, 도밍고 오페랄리아콩쿠르 Zarzuela 부분 우승)
발렁땅 바리톤 김태일
(프랑스 파리오페라코미끄 솔리스트, 프랑스 마르몽드국제콩쿠르 프랑스 가곡상)
씨에벨 카운터테너 정시만
(미국 메트로폴리탄오페라 소속가수, 스페인 비냐스국제성악콩쿠르 최고 카운터테너상)
바그너 베이스 노민형
음 악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
합 창 메트오페라합창단
[프로필]
Conductor Deun LEE_지휘자 이든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국립 음악원 지휘과 석사 졸업
-뉴욕 메네스 음대 성악과 석사 및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국립 음악원 성악과 & 피아노과 졸업
-프랑스 브장송 국제 지휘 콩쿨, 한국인 최초 Mention Spéciale Ex-Æquo 수상
-그리스 아테네 국제 지휘 콩쿨 / 1 등
-이탈리아 L.Mancinelli 국제 오페라 지휘 콩쿨 / 1 등 및 제노바 극장상 수상
-헝가리 다뉴브 국제 지휘 콩쿨 / 1 등 및 오케스트라상 수상
-루마니아 BMI 부쿠레슈티 국제 지휘 콩쿨 / 1 등 및 오케스트라상 수상
-유럽 여러 오페라단, 오케스트라단과 함께 오페라 프로덕션 및 지휘 연주
-라 스칼라 극장 소속 Filarmonica della Scala 의 ‘Sound,Music!’ 시즌 멘델스존, 한여름밤의 꿈 부지휘자 활동
-현 이탈리아 Bell’Opera Festival (벨 오페라 페스티벌) 총예술감독
Director Beom Ro LEE_연출가 이범로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국립오페라단 아카데미 수료
-Corsi internazionali di perfezionamento di Regia di Orvieto Istituto musicale Vittadini 수료
-2000년 U. Giordano 5월의 마리아< Mese Mariano >로 연출 데뷔(소극장 오페라 페스티발 참가작품)
-< La Traviata >, < La Boheme >, < Faust >, < Don Giovann i>, < Cosi fan tutte >, <사랑의 묘약>, < Il Trovatore >, < Un ballo di maschera >, < Carmen >, <굴뚝 청소부 샘>, < Die Zauberflöte >, < Le Nozze di Figaro >, < Don Pasquale >, 오페레타 <박쥐>, 등 다수의 오페라 연출
-<복덕방 왕사장>, <조반노의 최후>, <박 과장의 결혼>, <결혼>, <내 잔이 넘치나이다>, 음악극 <김치>, 창작 오페라 <춘향>, 여수 엑스포 기념 창작 오페라 <귀항> 등 한국 창작 및 번안 작품 연출,
-국립오페라단 창작 오페라 갈라, Verdi 200주년 기념 갈라 등 다수의 공연 연출
-강릉 오페라단 살롱 콘서트 시리즈(2010 ~ ), 선교장 한국 가곡의 향기(2013 ~ ) 등 시리즈 연주 기획 및 해설.
-현 강릉 오페라단 예술감독, 예울 음악무대 회원, 한국 오페라 연출가 협회 운영위원
Music Coach Sion CHO_음악코치 조시온
-독일 만하임 국립음대 Collaborative Piano 석사과정(Master) 최우수 졸업
-독일 만하임 국립음대 가곡반주과, 성악 코치과 Diplom과정 최우수 졸업
-독일 바이마르 프란츠 리스트 국립음대 예술가곡 반주과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 최우수 졸업
-독일 하이델베르크 음악페스티벌 초대 및 연주
-만하임 국립음대 반주강사 및 오페라코치 강사 역임
-독일 및 국내에서 다수의 독주회, 독창회 및 앙상블 연주회에서 연주
-한국반주협회 정회원, 바로크 현대 음악연구회 기악회원, 독일가곡연구회 기악회원, 트리오 스칼라 피아니스트
-현재 서울대학교 반주강사 및 전문 연주자로 활동 중
Faust_파우스트 Tenor Mario Bahg_테너 박승주
-부산예술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만하임 국립음대 석사,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2018-2020 Metropolitan Lindemann Young Artist Program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영아티스트 솔리스트
-2019-2020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마스네 '마농', 푸치니 '마농레스코' 캐나다 몬트리올 오페라 도니제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출연
-캐나다 토론토,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노르웨이 베르겐 필하모니, 뮤직 에테르나 오케스트라 말러 대지의 노래, 베르디 레퀴엠 독창자 (지휘자 : Kent Nagano, Teodor Currentzis, Edward Gardner)
-독일 베를린 하이델베르크 브레멘 뷔어츠부르크 콘서트홀
-노르웨이 키르스텐 플라그스타드 페스티벌, 덴마크 방송교향악단, 러시아 볼쇼이오페라, -김해문화의전당, 서울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협연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 성악 콩쿠르 1위, 2017 노르웨이 퀸소냐 국제 성악 콩쿠르 1위 -이탈리아 알카모 국제 성악 콩쿠르 1위, 독일 데뷔 음악 국제 성악 콩쿠르 2위
-스웨덴 슈텐함마르 국제 성악 콩쿠르 2위
-서울시향 베토벤 합창 독창자 (2020,2021,2022)
-2021-2022 독일 쾰른 오페라, 포르투칼 리스본 오페라 극장 구노 ‘파우스트’ 주역 출연
-2022 네덜란드 방송교향악단 베르디 레퀴엠 솔리스트 (지휘자 : Karina Canellakis)
-현 메이지 프로덕션 전속 아티스트
Mephistopheles_메피스토펠레 Bass Kyun-il KO_베이스 고경일
-한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졸업
-프랑스 마르세유 국립 오페라 최고연주자 과정(CNIPAL) 졸업
-KBS 서울 신인 음악 콩쿠르1위, 동아 콩쿠르 3위
-이탈리아 Bussetto 베르디 국제콩쿠르 Finalist, 프랑스 마르몽드 국제콩쿠르 1위, 프랑스 마르세유 국제 콩쿠르 2위, 프랑스 비본느 국제 콩쿠르 2위
-프랑스 파리 마씨 오페라 극장,브장송 오페라극장, 뚤루즈 오페라극장, 마르세유 오페라극장, 프랑스 야외 오페라 전국 투어 ( Opera en plein air )
-독일 함부르크 국립오페라극장, 오스나브뤼크 오페라극장, 빌레필트 오페라극장, 브레멘 오페라극장, 올덴부르크 오페라극장, 하이델베르크 오페라극장, 데사우 오페라극장, 다름슈타트 오페라극장, 비스바덴 오페라극장등에서 주역 출연
-현 덴마크 코펜하겐 왕립 오페라 270년 역사상 최초의 동양인 전속 주역 솔리스트(종신단원), 메이지 프로덕션 전속 아티스트
Marguerite_마르그리뜨 Soprano Haeji CHANG_소프라노 장혜지
-서울대학교, 동대학원 졸업
-맨하탄 음대 석사, 뉴잉글랜드컨서바토리 아티스트디플롬 졸업
-도밍고 오페랄리아 콩쿨 Zarzuela 부분 우승, 동아콩쿨 1위, 이화경향콩쿨 1위
-볼티모어 심포니와 Honegger의 오라토리오 로 뉴욕 카네기홀 데뷔
-미국 뉴욕시티오페라, 엘에이오페라, 시애틀오페라, 산호세오페라, 미시간오페라, 포르트오페라, 세인트루이스오페라, 아스펜오페라 극장 등에서 주역으로 활동
-서울시 오페라단 창립 30주년 기념 오페라 파우스트 외 베르테르, 마술피리, 세빌리아의 이발사, 피가로의 결혼, 라보엠, 리골레토, 카르멘, 타이스 등 수십회의 국내외 오페라 주연
-볼티모어심포니, 세인트루이스심포니, NEC 필하모니아, 웨스트로스앤젤레스심포니, 피닉스심포니, 코리안심포니, 한경필하모닉, 인천시향 등과 수차례 협연
-현 서울대학교, 서울예고, 예원학교 출강
Valentin_발렁땅 Baritone Taeill KIM_바리톤 김태일
-파리국립음악원 전문연주자과정 졸업(D.E.M) 및 최고연주자과정 졸업(Concertiste)
-마르세유 CNIPAL(국립성악인센터) 전액장학생 졸업
-Leopold Bellan 국제 콩쿨 대상, Vivonne 국제 콩쿨 1위
-Marmande 국제콩쿨 프랑스 가곡부문 2위, Canari 국제콩쿨 2위 등 다수 콩쿨 입상
-프랑스 마르세유,아비뇽,릴 오페라 극장, 파리 오페라 코미크 등에서 '사랑의 묘약', '라보엠', '헨젤 과 그레텔', ‘박쥐‘ 등 수많은 오페라 주역으로 활동
-헨델 '메시아', 브람스 ‘독일 레퀴엠’,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 포레 ‘레퀴엠’, 하이든 ‘Stabat Mater’ 등 다수의 오라토리오 바리톤 솔로
-Toulon 오페라 오케스트라, L'Opera national de Lorraine 오케스트라와 협연
-Volcadiva 국제 성악 페스티벌 3년 연속 초청 독창회
-강남대학교, 경북대학교 강사역임
-현 추계예술대학교, 수원대학교 출강
Siebel_씨에벨 Counter-tenor Siman CHUNG_카운터테너 정시만
-미국 뉴욕 매네스 음악대학교 학사 졸업 후, 전문 연주자 과정, 석사과정을 전액 장학생 졸업
-독일 알렉산더 지라르디 국제 성악 콩쿨에서 최고 영아티스트상
-스페인 프란치스코 비냐스 국제 성악 콩쿨 입상및 최고 카운터테너상
-뉴욕 게르다 리스너 국제 성악콩쿨 1등, 미국 설리반 재단 주최 성악 콩쿨 우승
-미국 뉴욕 오페라 인덱스 국제 성악콩쿨 우승
-한국 국립오페라단,미국 오페라 콜럼버스, 보스턴 리릭 오페라, 캐나다 밴프 오페라, 홍콩 챔버 오페라 주역으로 데뷔
-2017년부터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소속 성악가로 활동 중
-KBS교향악단 초청 협연, 독일 뮌헨 방송국 오케스트라 협연, UN사 초청공연, 뉴욕 Voices of Ascension 과 협연,
-줄리어드 바로크음악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링컨센터 공연, 뉴욕 세실리아 코러스 초청으로 핸델 메시아 알토 솔로로 뉴욕 카네기홀에 데뷔
-Opera America에서 2017년 촉망받는 성악가로 선정되어 뉴욕에서 독주회
-현 미국 유명 매니지먼트사인 Ken Benson 아티스트 소속, 메이지 프로덕션 전속 아티스트
Wagner_바그너 Bass Minhyung Roh_베이스 노민형
-제48회 중앙음악콩쿠르 성악 남자 부문 2위 수상
-2022년 제40회 BELVEDERE SINGING COMPETITION 본선 진출
-2019 성동문화재단 오페라 '리골레토' 스파라푸칠레역 출연
Prime Philharmonic Orchestra_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
1997년 2월 창단된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국내외 정상급 지휘자를 영입하고 우수한 기량과 열의를 갖춘 연주자들로 단원을 구성하여 교향악은 물론 오페라, 발레 등 극장음악 전문 오케스트라로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매년 5회 이상의 정기연주회와 국내외 주요 오페라 및 발레공연, 문화예술회관의 기획공연 등을 포함하여 연 100회 이상의 공연을 소화해내고 있다. 2000년 군포문화예술회관의 상주단체로 선정되어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2009년부터 시행된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사업의 롤 모델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금까지 121 의 정기연주회를 비롯한 2,200여회의 공연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색채를 구현하는 매력적인 오케스트라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국내 교향악단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MET Opera Chorus_메트 오페라 합창단
메트 오페라합창단은 2013년에 창단하여 우리나라 오페라 합창계의 전문성과 예술성을 추구하고자 뛰어난 기량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프로 성악가들로 구성하였다. 창단 이레 매년 30회 이상 크고 작은 오페라 공연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제8회 대한민국 오페라대상’ 에서 예술상(합창부분)을 수상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카르멘>, <라 트라비아타>, <라보엠>, <마술피리>, <탄호이저>, <호프만의 이야기>, <안드레아 쉐니에르>, <안나 볼레나>, <가면무도회>,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마농 레스코> 등이 있으며, <베토벤 합창 교향곡>, <카르미나 브라나>, <모차르트 대관식미사>, <비발디 글로리아>등의 교향곡과, 오라토리오 작품에도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