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한국가곡>
김효근 작사 작곡 눈 Bar. 이치훈
공한수 작사, 임긍수 곡 한강아리랑 Sop. 김민지
박두진 작사, 이흥렬 곡 꽃 구름 속에 Sop. 김지현
황여정 시, 이안삼 곡 물한리 만추 Ten. 이정원
오페라 “춘향전” 중 사랑가 Sop. 김지현 & Ten. 이정원
한성억 시, 최영섭 곡 그리운 금강산 Sop. 조선형
신홍철 시, 신동수 곡 산아 Bar. 고성현
양명문 시, 김동진 곡 신아리랑 Sop. 김영미
한경혜 작사, 김동규편곡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다같이
Intermission
<오페라 아리아 & 이중창>
Georges Bizet (1838-1875)
Ouverture
from Opera “Carmen” 뉴서울필하모니오케스트라
Giuseppe Verdi (1813-1901)
Tutto è deserto...Il balen del suo sorriso Bar. 이치훈
from Opera “Il Trovatore”
Johann Strauss II (1825-1899)
Klänge der Heimat ! (Czárdás) Sop. 김민지
from Opera “Die Fledermaus”
Giuseppe Verdi (1813-1901)
Tace la notte! Sop. 조선형, Ten. 이정원 Bar. 이치훈
from Opera “Il Trovatore”
Giacomo Puccini (1858-1924)
O mio babbino Caro Sop. 김지현
from Opera “Gianni Schicchi”
Pablo Sorozábal Mariezcurrena (1897-1988)
No puede ser Ten. 이정원
from zarzuela “La tabernera del Puerto”
Francesco Cilea (1866-1950)
Io son l'umile ancella Sop. 조선형
from Opera “Adriana lecouvrer”
Giuseppe Verdi (1813-1901)
Invano Alvaro... Fratello... Ten. 이정원, Bar. 고성현
from Opera “La Forza del Destino”
Giacomo Puccini (1858-1924)
Vissi darte Sop. 김영미
from Opera “Tosca”
Giuseppe Verdi (1813-1901)
Vanne!…Credo in un Dio crudel Bar. 고성현
from Opera “Otello”
[프로필]
소프라노 김영미
이탈리아 정통 벨칸토창법을 탄탄하게 구사하며 윤기 있는 목소리와 풍부한 음역으로 한국성악의 새 지평을 연 한국 소프라노 김영미는 이탈리아 산타체칠리아 국립음악원에 입학하여 학사 및 석사를 마쳤으며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1979년 베로나콩쿠르 1위, 푸치니콩쿠르 1위, 1980년 마리아 칼라스 국제콩쿠르 최종 6인으로 우승한데 이어 1981년에 루치아노 파바롯띠 콩쿠르에서 우승함으로 세계무대의 진출 기반을 다지게 된다. 파바롯띠와 미국 필라델피아 오페라단에서 오페라 사랑의 묘약의 주역으로 연주하였으며 난파음악상 수상, 보관문화훈장 수상(세계를 빛낸 한국 음악인),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국립오페라단 주최 라보엠을 비롯하여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 주요국가와 국내 주요 오페라단 작품의 주역 출연,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 솔리스트로 협연, 예술의전당 개관, 호암아트홀 개관, SBS개국 기념 초청 독창회들을 열었다.
2019년 대한민국 한류대상에서 순수 문화 공로대상을 받았으며 후배를 양성하는 가운데 많은 국내외 콩쿨 입상자들을 배출해냈고, 비엔나 WCN에서 주최하는 여름 마스터 클래스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매해 진행하고 있다. 현재 국립오페라단 아카데미를 지도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소프라노 조선형
“무대 위에서 따뜻하고 아름다운 빛이 나는 소프라노가 되고 싶다”는 조선형은 경희대 성악과,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독일로 넘어가 프랑크푸르트 음악대학 최고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스페인 빌바오 국제콩쿠르 1위, 이탈리아 파르마 국제콩쿠르 1위, 볼로냐 국제콩쿠르 1위 등 다수의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영 아티스트(Young Artist)’로 발탁되어 2011년 동 극장에서 Franco Leoni 오페라 <로라콜로(L’oracolo) >, 푸치니 오페라 <레 빌리(Le Villi) >로 유럽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프랑크푸르트 오페라하우스에서 <토스카(Tosca)>, <파르지팔(Parsifal) >,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 >, <돈 카를로(Don Carlo) >, <마술피리(Die Zauberflote) > 등의 콘서트 무대에 올랐고, 브라질 페드로Ⅱ 오페라하우스의 <팔리아치(Pagliacci) >, 독일 비스바덴 국립극장 <피가로의 결혼>, <나비부인>, <가면무도회> 등 수 십 편의 오페라 주역으로 활약했다.
불가리아 소피아 국립극장, 독일 프랑크푸르트 Alte Oper, 마인츠 대성당, 비스바덴 쿠어하우스(Kurhaus), 바덴바덴 페스트슈필하우스(Festspielhaus)를 비롯해,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뻬쫄리 뮤제움, 파도바(Padova) 야외무대, 이스라엘 베르셰바 국립극장 등에서 열린 콘서트에 솔리스트로 출연했다.
국내에서는 국립합창단 바흐 <요한수난곡(J.S. Bach, Johannes Passion BWV 245) > 솔리스트, 국립오페라단 <라 보엠(La Bohème) > 미미, 경남오페라단 <아이다(Aida )>의 주역으로 출연했다. 2018 이스라엘 예루살렘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동양인 최초로 <나비부인(Madame Butterfly ) > 주역인 초초상을 연기하며 풍성한 성량에 감성을 입히는 매력적인 소프라노라는 평을 받았다. 성남시향 신년음악회, 오페라 콘서트, 대구 콘서트하우스 송년음악회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Beethoven, Symphony No.9 Op.125 ‘Choral’) >, KNN방송 교향악단 < 2019 더 클래식 경남>, 부천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에서 솔리스트로 출연했으며, 2021년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 개막작과 대구오페라하우스 대구국제오페라페스티벌 <아이다>에서 아이다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조선형, 유럽의 주요 무대에서는 ‘Elisa Cho’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소프라노 김지현
소프라노 김지현은 상명대학교 성악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학교 (Arizona State University) 에서 성악 연주학 석사 및 박사(D.M.A.)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성악교수협회 콩쿨에 1위로 입상(2007)을 하였고, 제21회 음악저널 신인음악상(2010), 제3회 대한민국 오페라대상 서울경제신문대상(2010), 제4회 대한민국 오페라대상 페스티벌 여자주역상 (2011)등을 수상하였고 제1회 대한민국 음악대상 '올해의 성악가'(2016)로 선정되었으며, 최근 대한민국 오페라대상에서 여자주역상(2017)을 상하였다.
미국과 유럽에서 다수의 독창회 및 오라토리오와 오케스트라 협연을 하였으며 오페라<라트라비아타><토스카><라보엠><카르멘><돈파스콸레><휘가로의결혼><일트로바토레><사랑의묘약><돈죠반니><리골레토><팔리아치><코지판뚜떼><춘향전><도산안창호><운영><선비>등의 수많은 오페라 작품에서 주역 출연하였다.
뉴욕 카네기홀, 이태리 푸치니 페스티발, 체코 프라하 시립극장 및 스메타나홀 초청연주, 제1회 및 2회 대한민국 오페라 페스티벌과 중국 청도, 항주, 심천 대극장 등의 많은 오페라 초청공연을 하였다. 2014년 8월엔 세계적인 페스티벌인 이태리 푸치니 페스티발에서 춘향전을 공연하는 등 해외언론으로부터 “아시아를 대표하는 디바” 라는 평을 받고 있다.
KBS 열린음악회, 아침마당, 여유만만, 다큐공감 등의 방송 출연도 하며, 중국 베이징, 안휘, 대련, 강소성, 사천, 산동 등에서의 초청 공연 및 수십회의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였다.
현재 K-Classic의 선두주자로서 또, 한국을 대표하는 성악가 중 한명으로 전국 순회공연 등 수백여회의 콘서트로 왕성한 활동 중이며, 상명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소프라노 김민지
소프라노 김민지는 선화예술 중 고등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이태리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및 산타체칠리아 최고 연주자 과정(Biennio)을 만점 졸업하였다.
Mattia Battistini, Vissi d'arte, Rolando Nicolosi, Mario Lanza 등 다수의 국제 콩쿨에서 우승 및 입상하였고, 네덜란드 콘서트 헤보우, 러시아 마린스키 극장, 독일 막스 리트만 극장 등 다수 국가 음악회에 초청받아 연주하였다. 국립 오페라단 리골레토 등 여러 오페라단에서 사랑의 묘약, 마술피리, 라보엠, 심청 등 다수의 작품에서 주역으로 출연하였고, 러시아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국립 방송국 오케스트라, KBS 교향악단, 등 다수 국내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2018 대한민국 문화경영 대상 성악가 부문 수상 하였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외래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세종대학교 성악과 외래교수로 후학을 양성중이다.
테너 이정원
연세대학교 성악과 수석 졸업
이탈리아 파우스토 토레프란카 국립음악원 졸업
'98년 이탈리아 프랑코 코렐리 국제 성악콩쿠르 1위
'99년 벨기에 CHANT DE VERVIERS 국제 성악콩쿠르 1위
'00년 이탈리아 알카모 국제 성악콩쿠르 1위
'00년 이탈리아 마리아 칼라스 국제 성악콩쿠르 테너부문 1위
'00년 이탈리아 티토 스키파 국제 성악콩쿠르 1등 수상
제 2회 대한민국 오페라대상 남자주역상 수상(2010)
이탈리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2008 오페라 <맥베드> 한국인 테너 최초 주역 데뷔
이태리, 헝가리, 프랑스, 한국, 일본 등에서 페스티발 연주 및 오케스트라 협연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핀란드, 노르웨이 등 국내 외 주요 극장에서 수백회 오페라 주역 출연
유럽, 한국, 일본 등지에서 유명 오케스트라들과 협연 및 콘서트 출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객원교수, 두남재 ENT 대표이사
바리톤 고성현
세계 최정상의 드라마틱 바리톤 고성현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이태리 밀라노 G. Verdi 국립음악원, 오지모 아카데미, 밀라노 La Scala 오페라 아카데미아를 졸업했다.
이태리 푸치니국제콩쿠르 1위, 이태리 밀라노국제콩쿠르 1위, 이태리 나비부인국제콩쿠르 1위, 독일 슈투트가르트오페라극장국제콩쿠르 1위 등의 국제 무대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난파 음악상, 젊은 음악가상(문체부 장관상), 공연전통예술분야 문체부 장관상 등을 수상하며 문화적 공적을 인정받았고,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여 국민문화향상과 국가발전에의 공적을 인정받아 옥관문화훈장(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이태리를 중심으로 전 유럽과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세계 유명 극장에서 세계 최정상급의 연출가, 성악가들과 함께 많은 작품의 오페라에서 주역을 맡았으며, 현재도 세계무대를 누비며 거장들 속의 한국의 마에스트로로 자리 잡고 있다. 베를린 필하모닉홀 초청으로 G. Verdi 서거 100주년 기념 독창회 및 베를린 극장 초청 A.I.D.S 퇴치 자선 공연에 출연하였다. 이태리, 독일, 프랑스, 스페인, 벨기에, 이스라엘, 미국, 일본 등 세계 유명극장에서 500여회 이상 오페라 “리골레토”, “아이다”, “토스카”, “나부코”, “안드레아 셰니에”, “팔리아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등 주역으로 출연했다. 최근에는 음반 <시간에 기대어>, 싱글 앨범 <서시>, <기억은 겨울을 써 내려간다> 등을 발표하여,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우리 한국 음악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 그는 현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로서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바리톤 이치훈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Accademia Teatro alla Scala 졸업
Riccardo Muti Accademi in Gyunggi 수료
OSAKA International Competition, Mario Lanza, Pietro Mongini, Franco Federici, 국제콩쿨 우승
프랑스 Cap Ferret Festival 초청독창회,
이탈리아 라 스칼라극장에서 오페라 Rigoletto 세계적인 바리톤 Leo Nucci 커버를 시작으로, 라 스칼라극장 La Cenerentola per Bambini < Don Mangifoco 역>, Teatro duse 오페라 Rigoletto < Rigoletto 역>, 독일 Lausitz Festival 오페라 Falstaff< Ford 역>, 프랑스 Avignon극장 베르디갈라콘서트 등 유럽에서 왕성히 활동 중
뉴서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예술의 중심에서 대중과 호흡하는 오케스트라
(사)뉴서울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1991년 설립된 순수 민간교향악단으로 “대중 속에 사랑 받는 정통 오케스트라” 라는 취지 아래 성악가 출신 김혜란 교수, 첼리스트 출신 김봉 교수 그리고 60여명의 유능한 연주자들이 모여 처음 연주 활동을 시작하였고, 1997년 안당 단장의 제2창단으로 새롭게 시작되었다. 2022년 창단 31년이래 2,700여회 이상의 각종 정기연주회, 오페라공연 및 기획음악회를 개최하였으며, 그동안 200회 이상의 민간교향악단 사상 최고 많은 횟수의 정기연주회와 매년 80회 이상의 공연을 하는 국내 최고의 정통교향악단으로 성장하였다.
사회 유정현
- 드림라이프 클래식 대표
-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 인문학적 상상여행 강연 콘서트 진행
- 서울 모테트 합창단 홍보이사
- 극동방송 FM "유정현의 내 영혼의 클래식" 라디오 DJ (2006-2016.4)
- 다수의 하우스 콘서트 진행으로 찾아가는 음악회 및 사회자로 활동
- 유튜브 채널 <마이크 잡스 TV> 크리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