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소개]
The Korean Society of women composers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창립 40주년
존립, 그리고 비전
[작품발표]
박순영 홍수진* 강은경 박수정 오명희 강종희 진정숙
*젊은여성작곡가 공모 당선자
2021. 11. 10. 수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주최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주관 현대문화기획
예매처 예술의전당, 인터파크티켓, 예스24공연
전석 20,000원 (학생할인 50%)
문의 02-2266-1307
[프로그램]
박순영 무반주 첼로를 위한 ‘위로 (Consolation)’
Vc. 박혜은
홍수진 (젊은작곡가 작품공모 당선) 플룻, 클라리넷과 첼로를 위한 ‘선들은 무수한 시간을 방황한다.’
Cond. 이건수 / Fl. 오병철 / Cl. 양송희 / Vc. 박혜은
강은경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파사칼리아 (Passacaglia)’
Pf. 손지혜
INTERMISSION
박수정 플룻, 피아노와 국악타악기를 위한 ‘호생원과 별주부’
Fl. 오병철 / Pf. 손지혜 / 국악타악기 정부교
오명희 성악, 오디오와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연민’
Sop. 이윤지 / Vn. 김희은 / Vc. 박혜은 / Pf. 손지혜
강종희 피아노 포핸즈를 위한 ‘다섯?(Five?)’
Pf. 이지혜, 손지혜
진정숙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지는 꽃을 어이리’
Va. 이상민 / Pf. 박로한
[프로필]
[작곡가 프로필/ 작품해설]
작곡 / 박순영
-이화여대 물리학과, 한양대 작곡과 및 동대학원 뉴미디어음악전공(M.M.),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미디어아트(M.A.) 전공 졸업
-안산거리극축제,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국제컴퓨터음악컨퍼런스 작품발표
-서울시청 시민청,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작품 전시
-신음악회, 한국여성작곡가회, 한국전자음악협회 회원
무반주 첼로를 위한 ‘위로 (Consolation)’
한 자아 내면의 울림은 파장을 만들고 변화를 꾀하며 역동한다. 위로가 필요하다.
2018년 플루트와 클라리넷의 듀오로 작곡한 <위로>를 이번 코로나에 무반주 첼로 독주곡으로 개작 초연한다.
작곡 / 홍수진 (젊은작곡가 작품공모 당선자)
- 독일 드레스덴 "Musikschule am Wasaplatz" 음악학교 수료, 인천예술고등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학 (음악학과 작곡 전공)
- CBS음악콩쿨 본선 3등 수상, 음악저널콩쿨 본선 3등 수상
플룻, 클라리넷과 첼로를 위한 ‘선들은 무수한 시간을 방황한다.’
이 곡은 총 5개의 파트로 구성된 곡이다. 곡 전체에 걸쳐 관악기인 플루트와 클라리넷이 끊임없이 흘러가는 '선'과 '시간'을 나타낸다면, 첼로는 그 악기들 속에서 방황하며 동시에 진취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곡의 제목 "선들은 무수한 시간을 방황한다"에서 알 수 있듯이 선들은 무수한 시간을 방황하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나아간다. 이것은 우리들 역시 무수한 삶 속에서 방황하지만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는 비전을 암시하는 것이다.
작곡 / 강은경
-성신여자대학교 작곡과 및 동 대학원,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피바디음악원 석사(MM), 미국 보스톤대학교 박사 졸업(DMA)
-5회의 개인 리사이틀 발표
-대한민국실내악작곡제전, 한국여성작곡가회, 창악회, 운지회, 21세기악회, ACL-Korea 작품 위촉 및 공모 발표
현) 성신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 장로회신학대, 서울신학대 출강,
국민일보 마이트월브 음악감독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파사칼리아 (Passacaglia)’
전통적인 변주양식인 파사칼리아 형식을 취하여 피아노 솔로를 위하여 작곡되었다. 8 마디로 구성된 파사칼리아 주제는 반음계적 하행과 상행을 강조한 선율로서 작품 전체를 통하여 여러 형태의 변주로 끊임없이 등장한다. 때로는 직접적인 선율로, 때로는 다이내믹한 리듬과 화성적 색채를 덧입고 다양하게 전개된다.
작곡 / 박수정
- 한양대학교, York University(MA),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작곡전공(Ph.D.) 졸업
- 국내외 다수 국제음악제 및 정기 발표회 작품 발표, 명곡으로 듣는 생생한 청음(공저) 집필
현) 한양대, 숙명여대, 수원대, 성신여대 출강, ISCM-Korea, 창악회, ACL-Korea 실행이사 및 New Music Group 예음 회원
플룻, 피아노와 국악타악기를 위한 ‘호생원과 별주부’
판소리 별주부전 중 ‘호생원과 별주부’의 대목을 3중주 곡으로 표현하였다.
이 대목은 토끼를 찾아 뭍으로 온 자라가 산에서 호랑이를 처음 만나는 장면이다.
처음엔 정중히 자신을 소개하지만 이윽고 호랑이가 자라를 위협하려고 하자 놀란 자라가 등껍질로 목을 넣다 뺐다 하자 그 모습에 놀란 호랑이가 도망간다.
두 동물의 옥신각신한 장면과 자라의 동작을 떠올리며 악기들이 서로 리듬을 주고 받으며 빠르게 음악을 진행시키려 하였다.
작곡 / 오명희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및 석사 졸업, US Michigan State University MM. Cand., US University of Georgia 박사(DMA) 졸업
- 2nd Neophonia Contemporary Chamber Ensemble Competition 1st prize, Pierre Boulez Session of Le mateau sans matre in Carnegie Hall, US Southeastern Composers League, Itlay Donneinmusica Chamber music, Joan Tower, Charles Wuorinen, Shulamit Ran Residency Concert 당선 및 연주 - US Gainesville State College 외래교수, US GCU, 연세대학교, 안양대학교, 백석대학원, 백석컨서바토리, 프놈펜국제예술대학, 세종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 강사역임
-현) CMS, IAWM, 21세기악회, ACL 회원, (사)한국여성작곡가회장
성악, 오디오와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연민’
‘연민’은 작가 박경리의 유고시집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에 실린 시이다. 이 시는 시인지 산문인지, 작가의 고백인지 독자의 독백인지, 작가 내면의 소리인지 세상의 당연함인지 모를 교감이면서 동시에 객관의 정점에 놓여 있다. 마치 무리 없이 부는 자연의 바람 같고 소리 같다. 작곡가는 작품을 통하여 가곡인지 낭송인지 모를 중간쯤의 형태에서 노래하는 자와 오디오 fragment로 만든 소리가 서로 다른 주체의 역할로 연주되도록 작곡하여 소통과 분리 사이의 경계를 와해시켰다. 이러한 관념적 표현들이 유동적으로 작품에 녹아 흘러가도록 피아노 트리오의 음형들이 이 두 주체를 끌고 간다. 해마다 가을이면 울려 퍼지는 가곡의 밤들 중에 새로운 형태의 아름다운 현대가곡으로 들리어지길 도전한다. 삶과 예술의 혼연으로 존재의 존립을 증명하는 대가의 시에, 가곡의 새 장르를 쓰는 작곡가의 존립으로 화답한다.
작곡 / 강종희
- 연세대학교 학사, 뉴욕대학교 석사(MA), 피츠버그대학교 박사(Ph.D) 졸업
- 아스펜음악축제, June in Buffalo, TICF, I-Park 레지던시, Musik unserer zeit, 베를린한국창작음악페스티벌 등 초청 및 작품 발표, From Note to Finish 상주작곡가 역임, Andrew Mellon Predoctoral Fellowship 수상
- 피츠버그대학교, 듀케인대학교 강사 역임
현) 명지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극창작협동과정) 출강
피아노 포핸즈를 위한 ‘다섯?(Five?)’
피아노 포핸즈, 국악타악기와 라이브 전자음악을 위한 짧은 소품으로 2년 전 썼던 ‘Mysterious Five’를, 타악기와 전자음악 없이 피아노 연주로만 재구성 및 확장한 곡이다. 이전 작품은 어린이 음악회를 목적으로 썼던 데 반하여, 확장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작품의 성격이 바뀐 듯하다. 처음 어린이 음악회용 작품으로 곡을 시작할 때, 일상에서 자주 선보이지 않지만 박을 느끼기 어렵지 않은 5박자 계열의 음악을 써보고 싶었다. 이번 작품에서는, 길고 짧음으로 이루어진 5박의 흐름이 주를 이루면서, 처음의 아이디어를 다르게 활용하는 섹션들을 이어 영상 없는 영상음악 같은 구성을 하게 되었다.
작곡 / 진정숙
-이화여대 음대 및 동 대학원 졸업
-1976년 창악회콩쿨 입상, 1978년 제 1회 작곡발표회, 제 19회 서울음악제 위촉 작품
발표, 대한민국 창작합창작품상 (2003년) 수상, 제 2회 대한민국 작곡축제 실내앙상블의 밤(현악앙상블 발표), 부산관현악단 작곡콩쿨 수상 (관현악곡 'DUNE' 발표)
- 호서대학교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백석대학교 강사 역임
- 델로스, 신음악회, 작악회 회장 역임
현) (사)한국여성작곡가회, 델로스 회원으로 작품활동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지는 꽃을 어이리’
I. 술 대하니
II. 흘러간 세월 백발이 서럽구나
III. 산새도 저무는 봄 "애달파라! 애달파라!"
IV. 온 목청 우짖어댄들 지는 꽃을 어이리
-오경화 詩 -
[연주자 프로필]
첼로 박혜은
- 예원학교 재학 중 도미, 미국 Cleveland Institute of Music 영 아티스트 프로그램 수료 및 Interlochen Arts Academy,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Cleveland Institute of Music 석사 졸업
- 호서대학교 강사 역임
현)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 파사지오앙상블 멤버
지휘 이건수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및 예술대학원 석사 졸업, 성균관대학교 공연예술협동과정 박사수료, Gaspare Spontini 음악원 지휘 박사
현)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및 대학원 출강
플룻 오병철
- 서울예술고등학교, 프랑스 에꼴노르말 음악원, 파리 국립음악원, 말메종 국립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현) 과천시립교향악단 수석, Miyazawa 아티스트, 목관오중주 KME 멤버, Ensemble Eins 멤버, 한국페스티발앙상블 단원, 국립안동대학교, 숭실대학교, 서울예고, 예원 출강
클라리넷 양송희
-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독일 자르브뤼켄 국립음대 디플롬, 독일 자르브뤼켄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클라리넷전공 최우수성적 졸업 & 실내악전공 졸업
현) 국민일보 마이트월브 아티스트 디렉터, Ensemble con brio Seoul 멤버, 파사지오앙상블 리더
피아노 손지혜
-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입학 후 도독, 독일 Freiburg 국립음대 Vordiplom, Diplom 과정 및 독일 Detmold 국립음대 Konzertexamen 과정 졸업
- 한세대학교, 전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선화예술학교, 계원예술학교 강사 역임
현) 파사지오앙상블 멤버
국악타악기 정부교
- 전통음악 그룹 풍류앙상블 ‘한’ 동인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전수생
소프라노 이윤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인디애나 음악대학 석사, 매네스 음악대학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 미국 SongFest 2014 가장 뛰어난 여성 음악가로 선정 및 전액 펠로우쉽 수여, 마리오 란짜 콩쿨, 뉴욕 리릭 오페라 극장 콩쿨, 오르페우스 성악 콩쿨, 커리어 브리지즈 그랜트, 뉴욕 예술 재단 델마 그랜트 등 다수 콩쿨 수상
- 카네기 홀, 링컨 센터, 오레곤 심포니, 탱글우드 뮤직 센터, 피츠버그 오페라 극장, 뉴욕 고담챔버 오페라, 국립 오페라단 STO, 성남 아트센터에서 오페라 및 콘서트 연주
현) 국립 경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남예고 출강
바이올린 김희은
- 서울대학교 기악과 학사, 미국 Mannes College of Music 기악과 석사 졸업
- 음협, 한미 콩쿨 전체 대상, 미국 Green Mountain Music Festival Violin Fellow 및 신인음악가 선정
- 미국 Bergen Symphony Orchestra 객원 악장, Garden State Symphony 바이올린 수석, 뉴욕 클래시컬 포럼 앙상블 소속, New Jersey School of Music violin faculty
현) 부산예중, 예고 출강, 파사지오앙상블 멤버
피아노 이지혜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졸업, 독일 뒤셀도르프 국립음악대학교 전문연주자 과정(Diplom) 이수, 독일 하노버 국립음악대학교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독일 자브뤼켄 국립음악대학교 최고연주자 1,2과정(Konzertreife, Konzertexamen) 졸업
- 조선대학교 실기지도 강사 역임
현) 인천예고 중등예술영재교육원, 선화예고 출강,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국제교류분과 부위원장, 파사지오앙상블 멤버
비올라 이상민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독일 Hamburg 국립음대 마스터, 독일 Dresden 국립음대 Konzertexamen 졸업, Italy Roma academy 지휘과정 졸업
- Hamburg Strings, Dresdener Philharmonic 오케스트라 단원, 충북도립, 청주시향, 원주시향 객원 수석, 프라임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서초 교향악단 수석 역임
현) 안양대학교 겸임교수, 계원예고 출강, 크로스챔버 오케스트라 수석, Ensemble Eins 단원, 조이오브스트링스 단원, 충북교육청 오케스트라, 앙상블 아인하이트 음악감독
피아노 박로한
- 예일대학교 전액장학생, 하노버 국립음대 Arie Vardi 교수 사사
- 롱티보, 하스킬, 모로코, 아니마토, BNDES 콩쿠르 수상
- 독일 게반트하우스, 미국 케네디센터, 프랑스 샹젤리제 극장 등 활동
- 예일대학교, Morse Academy 강사, 예일음대 전문반주자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