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

  • 기간 2021-10-27(수) ~ 2021-11-14(일)
  • 시간상세페이지 확인
  • 장소 자유소극장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상세페이지 확인
  • 가격R석 3만원 / S석 2만원 ※ 11/6(토) 공연만 일반석 5만원
  • 주최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
  • 주관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 조직위원회
  • 후원서울특별시,서울문화재단, M1 CONTACT Festival
  • 협찬한성몰, 페리에
  • 문의02-3216-1185

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알립니다.
※ 공연시간
10월 27,29일(수,금) 19시 30분
10월 31일(일) 16시
11월 3일,5일(수,금) 19시 30분
11월 6일(토) 19시 30분
11월 9일,10일(화,수) 19시 30분
11월 12일(금) 19시 30분
11월 14일(일) 16시

※ 10월 27일 (수) 공연에 한해 만19세 미만의 입장이 제한됩니다.
그 외 서울세계무용축제의 모든 공연은 8세 이상 관람 가능합니다.

※ 10월 27일 (수) 김수정(Infection/Querencia),일랴니쿠로프,매갠 도히니(Palace) 공연에 한해 만19세 미만의 입장이 제한됩니다.



1.
-기간: 2021년10월 27일(수)
-시간:19시 30분
-공연시간:55분 (인터미션 없음)
-프로그램 내용: 트리플빌
(1)전염_(Infection)
안무_ 김수정
비대면과 거리두기라는 새로운 일상. 고립의 시간 속에 주변과 사람에 대한 면역은 약해져간다.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며 접촉과 공존은 낯설고 두려운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주위 사람과 환경에 정서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간다. 은 인간본질의 순수함과 공존이 얼마나 강한 힘을 줄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2) 기억의 방 (Palace)
안무_ Ilya Nikurov, Megan Doheny(일랴 니쿠로프, 메갠 도히니)

왕족이 사는 곳, ‘Palace’는 우리 기억의 저장소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기억의 방>은 유대와 공감에 관한 작품으로 우리의 가장 내밀하고 개인적인 감정과 기억이 머무는 곳이다. 공유하는 것이 서로의 소유가 되고 받아들임으로써 가진 것이 더 커질 때, 이 기억의 장소는 두 사람의 본능이 서로 얽히고 충돌하는 공간이 된다.

(3)케렌시아(Querencia)
안무_김수정

소는 투우장으로 나가기 전 자신만의 쉼터에서 마음을 가다듬으며 스스로를 충전한다. 바쁘게 살아가는 평범한 현대인들 또한 구애받지 않는 자신만의 공간을 창조한다. 그 곳은 나를 재충전하는 작은 쉼표가 되는 곳, 바로 <케렌시아>다. 안무자는 작품을 통해 현대인들이 자신에게 가장 가까이 돌아보게 되기를 바란다. 2020 헝가리 모노탄츠 페스티벌 그랑프리 수상작.



2.
-기간: 2021년 10월 29일(금)
-시간:금 19시 30분
-공연시간:75분 (인터미션 없음)
- 프로그램 내용:트리플 빌
(1) A Time Within Time, 공존
안무가_권혁X아델 고

< A Time Within Time, 공존 >은 팬데믹 시대에 낯설게 느껴지는 시간에 대한 감각을 절제된 안무로 표현한 작품이다. 한국의 권혁과 싱가포르의 아델 고는 각각 스크린과 무대에서 과거와 현재를 상징하며 과거에 대한 반추, 시간의 속도, 다른 시간대에 살고 있음에도 감각되는 공존에 대해 표현했다. 두 안무가가 2020년 봄부터 진행한 비대면 공동창작의 결과물로, 싱가포르 CONTACT 컨템포러리 댄스 페스티벌과 시댄스가 공동 기획했다.

(2) 다른 시간속에 나를 만나다
무용단_무트댄스
안무가_김정아

무트댄스는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점차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세태 속에서 어떻게 상처를 받아들이고 미래를 받아들일지를 고민하며 작품을 기획했다. <다른 시간 속의 나를 만나다>는 윤회의 관점에서 삶과 죽음을 바라보며 자기성찰이라는 주제를 3부로 나눠 표현했다. 삶과 죽음이 하나라는 '탄생', 모든 현생이 서로의 연관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인연', 그리고 열반에 이름을 나타내는 '죽음'을 통해 우리의 삶을 성찰하고 돌아보게 한다.

(3)별양(別樣)
무용단_아트 프로젝트 보라

모든 생명체는 닮은 듯, 각기 저만의 모양을 갖는다. 초유의 팬데믹으로 인한 불안정한 경험과 기억으로 변형되어가는 몸의 상태. 피할 수 없는 기이한 시대, 보통과 달라진 모양은 우리에게 어떻게 나타날까? <별양>은 몸의 상태대로 형태를 만들어가는 작업을 통해 몸으로부터 세상을 어떻게 말할 수 있을지를 탐구한다.



3.
-기간: 2021년 10월 31일(일)
-시간: 16시
-공연시간:60분 (인터미션 없음)
작품명_게임 오버(Game Over)
무용단_ 로우 에어(Low Air)
안무_아이리다 구다이테, 로우리나스 자케비치우스

코르타사르의 소설 <게임의 끝>에서 영감을 받은 <게임 오버>는 꿈과 현실을 오가듯 단순한 듯 몽롱한 비현실적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드러머는 관객과 같은 방향으로 앉아 퍼포머에게 게임의 규칙을 부여한다. 관객은 게임의 일부이자 지휘자이다. 컴퓨터게임과 공연을 결합한 결과는 비주얼 이펙트와 라이브 음악이 있는 무용 퍼포먼스로 탄생했다. 레벨이 올라갈수록 두 무용수는 환상과 현실간의 예상치 못한 도전에 직면한다. 미니멀한 스타일과 드럼과 일렉 음악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조적인 액션을 통해 <게임 오버>는 현실과 꿈의 붕괴를 목격하도록 초대한다. 하지만 게임은 끝나지 않는다. 우리는 게임의 규칙을 파악하려 애쓰며 때로는 지루하기도 한 삶을 계속해야 한다.



4.
-기간:2021년 11월 3일(수)
-시간: 19시 30분
-공연시간:60분(인터미션 없음)
작품명_어야 디어차
안무가_이혜경
무용단_이혜경& 이즈음 무용단

<어야 디어차>는 우리의 민속놀이 중 뱃노래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인의 고단함과 좌절, 그에 대한 위로를 표현했다. 후렴구의 반복성과 리듬을 고동치는 움직임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안무자 이혜경은 한국무용을 전공했으면서도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지에 초청받아 공연, 안무, 워크숍을 통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그녀가 전문무용수를 위해 개발한 호흡법 프로그램을 독일 다름슈타트 시립무용단, 독일 프랑크푸르트 예술대학, 오스트리아 빈 예술대학, 그리고 폴란드, 체코, 콜롬비아 페스티벌 및 무용전문 기관 등에 전파함으로써 한국무용의 세계화에 앞장섰다. 한국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인 공로로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표창을 받았다.



5.
- 기간: 2021년 11월 5일(금)
-시간: 19시30분
-공연시간:75분(인터미션 없음)
(1) Gizaki (Human Beings)
안무가_랄리 아이과데(Lali Ayguade)

자신을 되찾을수 있는가? 나의 내부에서 잃어버린 나 자신을? 자가격리 동안 만들어진 <기자키>는 홀로 있는 것이 얼마나 무용하며 우리의 영혼을 가라앉게 하는지 보여준다.
(2)Incognito (Unknown)
안무가_랄리 아이과데(Lali Ayguade)

인간의 뇌는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물질이다. 배우고, 자동화되며 생각할 필요는 없어진다. 하지만 감정은 늘 우리와 함께 있으며 말하지 않고 자신을 드러낸다.

(3)Underneath
안무가_안무가_랄리 아이과데(Lali Ayguade)

믿고 따를 안내자가 없다면 우리는 길을 잃고 넘어진다. 는 넘어진 후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에 대한 이야기로 동작의 힘으로 단순화된 추상성을 구현한다.



6.
-기간: 2021년 11월 6일(토)
-시간:19시 30분
-공연시간:80분(인터미션 없음)
-프로그램 내용
<한국의 춤 - 전통춤마켓> - 명무에서 新명무로
① 영남산조춤
안무가_정진욱

영남산조춤은 한 여인의 님에 대한 그리움과 희노애락을 작은 부채에 담아 표현한 작품이다. 최옥산류 가야금 산조의 가락이 순차적으로 연주되는 가운데 故 최현 선생의 독특한 춤사위와 영남지역에 퍼져있는 다양한 춤가락을 영남산조춤으로 승화시켰다. 정진욱은 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이수자이며 승무 전수자이다. 현재 경남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며 제9회 전국무용제 대상을 수상했다
② 전주 부채춤
안무가_장인숙

장인숙류 전주부채춤은 산조와 남도의 민요, 굿거리 등을 바탕으로 최선류 호남살풀이춤의 그늘지고 깊은 호흡의 춤사위와 김백봉류의 당당하고 화려한 부채춤 춤사위가 공존하는 춤이다. 매화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봄밤 창가에 선 매창(梅窓), 그녀의 애절한 추억의 편린들이 매화 꽃잎처럼 흩날린다. 현재 전북대 무용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③ 민살풀이춤-무화지정(舞花之情)
안무가_송미숙

민살풀이춤은 아무런 소도구 없이 음악과 호흡만으로 추는 춤을 이른다. 춤의 규범을 우선하되 장단의 자유로운 풀이는 춤추는 이의 무위자연의 경지에 다다르려는 정중동의 맛과 장엄하면서 고아한 격을 담아내는 춤사위로 구성돼 있다. 송미숙은 국립진주교대 교수이자 (사)한국전통예술협회 이사장, 한국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중이다.
④ 新신아위
안무가_한동엽
<新신아위>는 소리의 즉흥성을 움직임의 몸짓으로 그려낸 춤사위로 해학적이고 허튼춤이 매력적이지만 남성적 강한 움직임이 더욱 돋보인다. 서울시무형문화재 살풀이춤 보유자 이은주 선생께서 지어주신 작품명으로 옛것을 바탕으로 이 시대 신명 난 남성 시나위춤을 만들어보자는 의미에서 2019년 초연되었다. 한동엽은 인천대학교 겸임교수이자 서울시 살풀이춤 보존회장을 맡고 있다.
⑤ 보렴화무(報念花舞)
안무가_강성민

조선후기 사당패(유랑예인집단)들이 판을 벌일 때 맨 처음 백성과 나라를 위해 벽사(辟邪)나 축원(祝願)의 목적으로 불렀던 보렴(보시염불報施念佛의 준말)을 바탕음악으로 하는 춤이다.
승무와 북가락을 기본으로 하여 세상을 향한 염원을 다채로운 향기에 담아낸다.
강성민은 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과 승무 이수자이며 현재 ‘강성민 춤뜰’ 대표를 맡고 있다.

⑥ 검무 – 협풍무
안무가_ 유정숙

장단에 맞춰 춤을 풀어내는 무희의 가려진 얼굴은 은근하면서도 날카로이 의협의 길로 안내한다. 날카로운 검의 움직임은 만개한 매화가 춤을 추듯 포근함과 우아함으로 한과 흥의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궁중정재와 전통무용을 두루 섭렵한 유정숙은 다양한 창작작품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 현재 효산예술원 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으로 활동중이다.

⑦ 장고악무
안무가_이주희

전사섭과 김명환 두 명인의 가락을 바탕으로 한 한순서의 <장고춤>(1968)을 이주희가 보다 흥겹고 풍성하게 재탄생시켰다. <장고악무(杖鼓樂舞)>는 장고를 어깨에 비스듬히 멘 채 장단의 한 배를 자유로이 넘나들며 여인의 마음을 표현했다. 한순서를 사사한 이주희는 현재 중앙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며 평남 무형문화재 평남수건춤 이수자이다.
⑧ 김평호 남도 소고춤
안무가_김평호

고깔 소고춤의 대가 故 황재기 선생과 풍물의 정인삼, 춤의 국수호 등 스승들의 다양한 예맥을 이어받아 김평호에 의해 브랜드화된 춤이다. 악가무(舞歌樂)라는 전통 마당춤 정서 일체를 담고 있으며 내면의 정수와 예술적 역량을 유감없이 토해 내는 신명의 춤이다. 김평호는 창원, 청주 시립무용단 감독과 안무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대전시립무용단 감독/안무자로 활동중이다.



7.
-기간: 2021년 11월 9일(화)~10일(수)
-시간: 19시 30분
-공연시간:미정(인터미션 없음)
-프로그램 내용:
시댄스 투모로우 - 시댄스 기획제작 프로그램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나갈 신진 예술가들의 낯선 시선이 담긴 창작 실험의 장, 시댄스 투모로우가 2021년에도 펼쳐진다. 현시대에 대한 진솔한 고민과 개성 넘치는 주제의식을 나누며 이들의 연구는 절찬리에 진행 중이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이들의 여정, 그 결과물은 어떤 모습일까
*현재 작품순서,작품명 미정

안무가_고경래
고경래입니다. 2019년에도 어울렸고 2021년에도 어울리는 사람입니다. 나는, 후회하지 않습니다.

안무가_ 강안나
강안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프로듀서이다. 클래식 피아노와 작곡을 기반으로 음악을 시작하였으며 20대부터는 전자음악과 재즈 피아노를 공부했다. 2018년부터는 전통에 대한 사유와 통찰을 바탕으로 국악, 현대무용과 협업하여 국내외 활발한 음악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안무가_김연화
뿌리에서 나온 깊은 진심은 항상 느껴질거라 믿으며 시대를 살아가는한 사람으로 모든 감정을 섬세하게 바라보고 모든 감각을 열어두고 작업하고자하는 예술가입니다.

안무가_김재현
깊게 바라보고 쉽게 풀어내어 쉽게 바라보고 깊이 느낄 수 있도록. 오-호하게!

안무가_노화연
귀찮은 게 많지만 일단 하면 산뜻하게 합니다.

안무가_이선시
주로 개인적인 이슈로부터 작업을 시작하며 발견과 기록이 주된 관심사이다. <나를 관찰해줘>(2020), <구부렸다 펴기>(2020), <괜찮아>(2020) 등의 작품이 있다.

안무가_이다애
먹고 놀고 경험하라

안무가_주혜영
주혜영은 일상적 움직임이 무용으로 변화하거나 읽힐 수 있는 조건에 대해 탐구를 진행함으로써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탐구한다. 또한 무용 안에서 몸의 의미에 질문을 던짐으로써 예술 안에서 몸의 위치를 재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안무가_최호정
나는 나에게 관대하다.

안무가_최경철
그럼에도불구하고가득빼곡그득그득가득가득빼곡가득빼곡그득가득가득가득빼곡그득빼곡그득가득가득빼곡빼곡가득뺴곡그.

안무가_홍경우
오렌지 좋아요. 오렌지맛 사탕은 싫어요



8.
- 기간: 2021년 11월 12일(금)
- 시간:19시 30분
- 공연시간:45분 (인터미션 없음)
작품명_인간의 목소리
안무가_김연화
무용단_오페라를 보는 새로운 시선

자신을 떠난 연인과 마지막 통화를 하는 그녀(Elle). 불안정한 통화상태는 그녀를 불안과 공포로 몰아넣는다. 팬데믹 시대는 우리를 더욱 디지털 의존적으로 만들었다. 만일 와이파이가 안된다면? 무선랜이 끊어진다면? 통화가 끊길까봐 걱정하는 그녀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까? 팬데믹 이전과 이후, 인간의 목소리는 늘 간절하다. <인간의 목소리>는 장 콕토의 대본을 바탕으로 풀랭크가 작곡한 모놀로그 오페라를 안무화한 작품이다. 무용수, 성악가, 피아니스트 세 명의 출연자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그녀의 감정을 표상한다.



9.
-기간: 2021년 11월 14일(일)
-시간: 16시
공연시간: 60분 (인터미션 없음)
작품명_친구따라 제비간다
무용단_움직임 팩토리

멀쩡하게 생겼으나 한 번도 날아보지 못한 제비들. 인간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에 움츠린 이들에게 하늘의 신이 멋진 캐리어를 떨어뜨린다. 무엇이 들었을까. 전통과 창작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움직임팩토리가 제비의 관점으로 흥보가를 풀어낸다. 가난하지만 착한 흥보는 부러진 제비 다리를 고쳐주어 제비가 물고 온 박씨를 심어 부자가 된다. 하지만 못된 형 놀보는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고 그 제비가 물고 온 박씨에서서는 괴물들이 놀보를 괴롭힌다. 인간의 탐욕이 만들어낸 위기들. 그 위기들을 이겨내지 못하고 남탓하기는 제비들도 마찬가지. <친구따라 제비간다>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결국 욕심으로 모든 것을 잃게 된다는 메시지를 판소리와 자메이카의 스카리듬을 멋지게 녹여낸 새로운 판소리극이다.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 할 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 · 골드회원 30% (5매)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20% (5매), 그린회원 20% (2매)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시댄스회원 본인 20% (시댄스 홈페이지 회원 로그인 화면 제시)
- 재관람할인 20% (1인1매 / 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 실물 유료티켓 현장 제시)
- 청소년 본인 30% (본인만 / 1997년~2014년 출생자 본인의 생년월일이 기재된 학생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증, 청소년증, 신분증 등 티켓수령 시 확인)
- 대학생 본인 30% (대학원생 제외 / /학생증 및 재학증명서 현장 제시)
- 경로 할인 본인 50% (1956년 출생자까지 신분증 현장 제시)
- 공연예술종사자 본인 30% (공연예술 종사자, 전공자, 예술인패스카드, 학생증, 명함, 재직증명서, 팜플렛 등 증빙자료 지참)
- 10인 이상단체 30% (시댄스 전화예매만 가능 02-3216-1185)

프로필

관람석 총 241석

  • 일반 판매석

    221석 (일반석 217석 | 장애인석 4석)

  • 판매 유보석

    20석 (시야제한석 20석)

자유소극장 무대와 객석의 벽을 과감히 허물어 실험적인 극장 구현

예술의전당의 모든 공간에서 가장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가 가능한 공연장이다.자유소극장은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으며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300석까지 객석규모도 변형 가능하다. 프로시니엄, 아레나, 돌출, 비정형 등 다양한 형태로 무대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부무대의 높낮이도 조정이 가능한 블랙박스형 극장이다. 입체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세계를 선호하는 예술인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유소극장은 공연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배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배치가 변경되는 공연의 좌석 배치도 이미지는 공연 상세페이지의 [알립니다] 또는 [작품소개]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층정면석A블록2열2번 1층정면석A블록2열10번 1층정면석A블록5열2번 1층정면석A블록9열2번 1층정면석A블록9열10번 1층정면석B블록2열8번 1층정면석B블록5열1번 1층정면석B블록5열8번 1층정면석B블록9열2번 1층정면석B블록9열8번 2층측면석5번 2층측면석13번 2층정면석15번 왼쪽 바로옆 2층정면석23번 오른쪽 바로옆 2층정면석24번 왼쪽 바로옆 2층정면석31번 오른쪽 바로옆 2층측면석33번 2층측면석41번 3층48번 3층53번 3층56번 3층65번 3층68번 3층73번
  • 1층(정면석) 166석

    • 일반석162석
    • 장애인석4석
  • 2층(정면석/측면석) 45석

    • 일반석37석
    • 시야제한석8석
  • 3층(3층석) 30석

    • 일반석18석
    • 시야제한석12석

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7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7.04(금)
작품명 제24회 서울세계무용축제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