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J.S. Bach (1685-1750)
Quia respexit humilitatem from < Magnificat in D Major, BWV 243, No. 3 >
마니피캇 中 그 종의 비천함을 돌보시도다
Die Lyrik "Mignon : Kennst du das Land" (aus Wilhelm Meisters Lehrjahre von Goethe)
vertont von drei Komponisten 3명의 작곡가에 의한 괴테의 시 "미뇽 : 그 나라를 아시나요"(괴테의 수업시대 중)
R. Schumann(1810-1856) ... Mignon (Kennst du das Land), Op. 98, No. 1
F. Liszt(1811-1886) ... Mignons Lied (Kennst du das Land), S. 275
H. Wolf(1860-1903) ... Mignon IV : Kennst du das Land, Goethe-Lieder, No. 9
S. Rachmaninoff (1873-1943)
How Fair this Spot, Op. 21, No. 1 얼마나 아름다운 곳인가
No Prophet I, Op. 21, No. 11 나는 선지자가 아니다
Spring Waters, Op. 14, No. 11 봄의 샘물
F. Poulenc (1899-1963)
Banalites, FP. 107 평범한 것들
I. Chanson d`Orkenise 오르크니즈의 노래
II. Hotel 호텔
III. Fagnes de Wallonie 발로니 고원
IV. Voyage a Paris 파리로의 여행
V. Sanglots 흐느낌
G. Puccini (1858-1924)
Vissi d`arte, vissi d`amore from the Opera < Tosca >
오페라 <토스카> 中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
G. Verdi (1813-1901)
Ecco l'orrido campo...Ma dall'arido stelo divulsa
from the Opera <Un ballo in Maschera>
오페라 <가면 무도회> 中 여기 죄로 인하여 죽음에 이르는 무서운 이곳에
[프로필]
# Soprano 신지연
철저함을 바탕에 둔 깊이 있는 해석력 그리고 선율을 그려내는 고유의 음색으로 무대를 수놓는 소프라노 신지연은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전문사 오페라과를 졸업하고 이탈리아로 건너가 로마 아레나 아카데미아 수료 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의 최고연주자과정(Biennio)을 Lode로 졸업하며 음악인으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국내 성정음악콩쿠르 입상을 통해 일찍이 스스로의 음악적 역량을 인정받는 그녀는 유학시절 이탈리아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국제성악콩쿨, 밀라노 베르디 콘서바토리오 콩쿨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성악의 본고장에서 역시 그 음악성을 증명해 보인바 있다.
각종 무대에서 펼친 다채로운 활동은 물론 넓은 영역의 레퍼토리로 관객들과의 만남을 이어가고 있는 그녀는 음악춘추가 주최하는 우수신인 음악회를 통한 데뷔 무대를 시작으로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콘서바토리오 수상자 음악회에서 현지 음악인들과 관객들에게 뜨거운 호평을 이끌어내었으며, 프랑스 오페라 갈라 콘서트, 러시아 가곡의 밤, 극동방송 주최 가을음악회 가곡의 밤, International Singing Contest of Italian Opera 콘서트를 통해 각 지역적 특색을 담아내는 음색과 선율을 선보였을 뿐만 아니라 수원시립교향악단의 오페라 콘서트 < Cavalleria Rusticana >의 Santuzza 역, 김포아트홀 오페라 페스티벌 < Le Nozze di Figaro >, < La Traviata >, 세종문화회관, 꿈의숲아트센터 ‘영화 속 오페라 아리아 이야기’ 등 다수의 오페라 관련 활동으로 자신만의 음악적 행보를 그려나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Italia Ente Concerti Castello di Belveglio 자폐아동 기금 연주회, KBS교향악단 병원 자선 음악회를 비롯하여 테너 임웅균 교수와 함께하는 가을 클래식 여행으로 서초 서리풀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는 등 음악인으로서 국내·외 이웃들을 위한 재능 기부는 물론 지역 문화예술 공유를 위한 활동에도 그 열정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석금숙, 김은주, 문혜원, 임웅균, Michele Porcelli를 사사한 소프라노 신지연은 2020년 8월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귀국 독창회를 통해 성악가로서의 본격적인 국내활동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관람석 총 354석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262석
2층 92석
소프라노 신지연 귀국 독창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없음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