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할인
- 코로나 극복 추석연휴 특별할인 30% (1인 8매 / ~10월 5일까지)
※ 티켓오픈
- 예술의전당 유료회원(후원,골드,블루,그린,예당우리V카드) : 9월 1일(화) 오전 10시
- 예술의전당 일반회원(싹틔우미,노블회원 포함) : 9월 2일(수) 오전 10시
한·러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 간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를 축하하는 공연
한국인 최애(最愛) 러시아 작곡가인 차이코프스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본 공연은
국내 최고의 연주홀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한국과 러시아의 정상급
연주자들의 하모니를 국내 클래식 애호가들에게 선사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Part 1
Overture from the Opera “Eugene Onegin” 코리아 쿱 오케스트라
Piano Concerto No.1 in B♭ minor, Op.23 Piano 세르게이 타라소프
Ⅰ. Allegro non troppo e molto maestoso
Ⅱ. Andantino semplice
Ⅲ. Allegro con fuoco
Part 2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35 Violin 한수진
Ⅰ. Allegro moderato
Ⅱ. Canzonetta: Andante
Ⅲ. Finale: Allegro vivacissimo
Opera `Eugene Onegin` Highlights
Polonaise 코리아 쿱 오케스트라
Onegin`s Aria “You wrote to me…” Baritone 안드레이 그레고리예프
Tatiana`s Aria Letter Scene Soprano 서선영
Arioso of Onegin “Really the same Tatiana......” Baritone 안드레이 그레고리예프
The Final Duet Scene of the Opera Tatiana and Onegin Soprano 서선영 & Baritone 안드레이 그레고리예프
*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지휘_ 장윤성
지휘자 장윤성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제1회 프로코피예프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서 2위, 제11회 일본 동경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서 1위 없는 2위로 입상하였다.
그 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등과 연주하였고, 일본에서 5천 명의 합창단이 부르는 베토벤 합창교향곡 연주 2회 초청, 센다이필, 오사카필 등과 연주하였다. 독일의 켐니츠 슈만 심포니, 뉘른베르크 심포니,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심포니 등과 연주하였고, 비엔나 심포니와 공연 및 음반을 발매하였다. 그 외에도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의 저명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였으며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한국 투어, 독일 뉘른베르크 심포니 독일 4개 도시 투어, 유니버설발레단 시카고 투어, 런던 투어를 성공적으로 지휘하였다. 또한 작곡가 펜데레츠키의 교향곡5번 “KOREA`를 폴란드 크라코프 라디오 심포니와 유럽 초연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 유수의 오케스트라들과 초연하며 이 곡의 세계화에 앞장서 왔다.
경희대 음대교수, 서울시청소년교향악단, 울산시향과 창원시향, 대전시향 등의 상임지휘자, 일본 오사카 칼리지 오페라하우스의 전임지휘자, 서울시립교향악단 수석 객원지휘자를 역임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지휘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군포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전임지휘자로 활동 중이다.
연주_ 코리아 쿱 오케스트라
2014년 10월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자주적, 자립적, 자치적인 단체를 갈망하던 전문 연주자들이 협동조합의 가치를 토대로 코리아 쿱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였다. 연주자들이 스스로 오케스트라를 조직, 운영, 관리함으로써 연주의 질적 향상에 책임을 다하고 세분화된 복무규정과 철저한 자기 성찰로 높은 수준의 연주력을 유지, 연주자들에 의한, 연주자들을 위한 오케스트라를 추구하고 있다.
2014년 창단과 동시에 참여한 “라 스칼라” <아이다1963>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으며, 2015년부터 포은아트홀 마티네 콘서트를 고정으로 참여하고 있고 머니투데이 음악회, CBS <아름다운 열정>, 유니버설 발레단 <오네긴>, 국립현대무용단 <쓰리볼레로>, 국립오페라단 <루살카>, 오페라 <라 보엠>, <가면무도회>, <일 트로바토레>, 베를린 코미셰오퍼 <마술피리>, 국립합창단 <베르디 레퀴엠> 등 정통 클래식 공연에 참여하였다. 또한 필름콘서트인 <픽사 인 콘서트>, <미녀와 야수 인 콘서트>, <스타워즈 인 콘서트>, <드림웍스 인 콘서트> 같은 클래식한 영화음악 공연에서도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코리아 쿱 오케스트라는 매년 90여 회의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오페라, 발레 공연에서 좋은 평가를 듣고 있다.
Violin_ 한수진
2020년 대세 바이올리니스트
유학 중인 부모를 따라 2세에 영국에 간 한수진은 5세에 피아노를, 8세에 바이올린을 배워 10세에 로열페스티발 홀에서 데뷔하고 12세에 워그모어 홀에서 독주를 한 재원이다. 전액 장학생으로 예후디 메뉴힌 학교와 퍼셀 학교를 거쳐 옥스퍼드 대학에서 음악학을 수료하고, 런던 왕립음대에서 대학원 과정을 졸업한 후 독일의 크론버그 아카데미에서 최고 연주자 후 과정을 마쳤으며, 펠릭스 안드레브스키, 자카 브론, 정경화, 안나 츄마첸코를 사사했다.
15세에 매 5년마다 열리는 가장 오랜 역사의 국제 바이올린 콩쿨인 비에?스키 콩쿨에서 최연소로 참가해 최초의 한국인으로 그리고 콩쿨 역사상 최연소 top 수상자로 2등에 입상하며 음악평론가상과 폴란드 국영방송 청취자상 등 7개의 부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폴란드 포즈난에서 열린 2001년 콩쿨 실황 연주가 담긴 CD를 그해 겨울 우연한 계기로 듣게 된 바이올린의 거장 정경화의 관심 어린 지도와 멘토링을 받았다.
2002년 런던에서 정경화의 주선으로 이뤄진 마에스트로 정명훈에게 하늘이 내린 재능이라는 극찬을 받아 6차례 협연하였고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포즈난 필하모닉, 도쿄 필하모닉, 서울시향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유럽, 미국, 한국, 일본 등 세계를 무대로 왕성한 연주 활동을 펼치며 폴란드 국영방송, 한국 KBS FM, 독일, 네덜란드, 미국 등에서 방송되었고 유럽 실내악 축제에서 안드라스 쉬프, 기돈 크레머, 유리 바쉬메트, 프란스 헬머슨 등과 같이 수차례 협연하였다.
2001년부터 영국의 챨스 비어(Charles Beare)로부터 과다니니를 지원받았으며 현재 1666년산 Antonio Stradivarius를 무료 지원받아 연주하고 있다.
Piano_ Sergey Tarasov 세르게이 타라소프
부조니, 몬테카를로 국제콩쿠르 우승자
세르게이 타라소프는 국제콩쿠르 세계 연맹 산하의 다수 대회에서 우승한 놀라운 기록을 가지고 있다.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경연대회(1위), 몬테카를로 국제콩쿠르(1위), 스페인 국제콩쿠르(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콩쿠르(2위), 부조니 국제콩쿠르(1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4위) 등 세계 유수의 국제콩쿠르를 석권했다. 그는 정기적으로 러시아와 해외에서 공연을 하고 있으며, 독일(Schleswing-Holstein, Rolandseck, Ruhr), 프랑스(La Roque d’Antheron, Les Nuitws Musicales du Suquet in Cannes, Le Vigane Music Festival), 스위스(Menuhin Festival in Gstaad), 폴란드(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크로아티아 (Dubrovnik Summer Festival), 러시아(Musical Autumn in Tver), 이탈리아(Rimini), 일본(Osaka) 등 전 세계 유수의 음악축제에 참가하고 있다.
또한 볼쇼이 홀, 모스크바 국제 공연예술센터,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협회 홀, 도쿄 산토리 홀, 오카사 페스티벌 홀, 밀란 살라 베르디 홀,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파리 살 가보홀, 세비야 마에스뜨란사, 대만국립콘서트홀 등에서 독주회를 가졌으며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모스크바 필하모닉 소사이어티,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도쿄 메트로폴리탄, 시드니 심포니, 이스라엘 필하모니 관현악단, 그 밖에도 수많은 세계적 오케스트라들과 협연 무대를 이어오고 있으며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 바딤 레핀과 유럽 순회연주를 진행했다.
Soprano_ 서선영
2011년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우승자
소프라노 서선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성악과와 동 대학원 전문사 리트 & 오라토리오과 졸업 후 2009년에 이독하여 독일 학술교류처DAAD 장학생으로 뒤셀도르프 Robert Schumann Musikhochschule에서 최고 연주자 과정인 Konzertexamen을 수료하였다.
2011년 세계 최고 권위의 제16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우승하였고, 그에 앞서 2010년 프란치스코 비냐스 국제 성악콩쿠르와 마리아 칼라스 국제성악콩쿠르에서도 연이어 우승을 거머쥐었다. 또한 이독한 해인 2009년에는 독일 뮌헨에서 열린 ARD 국제음악콩쿠르에서 2위에 입상했으며,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RW) 주가 선정한 2011년 최고의 소프라노로 선정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 발레리 게르기예프, 크리스티안 틸레만, 존 피오레, 악셀 코버, 존 루터, 가브리엘 펠츠, 엔리코 델람보예, 쥴리아노 베타, 안드레아 마르콘의 지휘아래 빈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바젤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교향악단, 마린스키 테아터 오케스트라, 뮌헨 라디오 심포니, 베른 심포니 오케스트라, 뉴 잉글랜드 심포니 오케스트라등과 함께 런던 바비칸 홀, 빈 콘체르트하우스, 뉴욕 카네기홀,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홀,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콘서트홀, 슈타트 카지노 바젤등에서 협연하였다.
2011/12 시즌부터 스위스 바젤 국립극장에서 <이도메네오>, <루살카>, <카티아 카바노바>, <허무한 인생>, <카르멘>, <가면무도회>, <예브게니 오네긴> 등의 작품에 주역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2013년 10월에 바그너의 대표작 <로엔그린>의 엘자 폰 브라반트 역으로 데뷔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Baritone_ Andrei Grigoriev 안드레이 그리고리예프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 대표 솔리스트
바리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프는 1987년 예카텐린부르크에 있는 차이코프스키 음악학교(Tchaikovsky Music Collage)를 졸업하고, 1992년 그네신 음악 아카데미(Gnesin Russian Music Academy)에서 나탈리아 쉬필레르(Natalia Shpiller)를 사사하였다. 1990년부터 95년까지 예카테린부르크 오페라극장에서, 1995년부터 96년까지 모스크바 노바야 오페라에서 솔리스트로 활동한 후, 1996년 볼쇼이 극장에서 솔리스트로 본격 데뷔하였다.
1992년 <젊은 성악가 국제 콩쿠르> 3위, 1993년 리스본 < Luisa Toddi International Singing Competition >, 1994년 헬싱키 < Mirjam Helin International Singing Competition >, 1995년 마르세유와 페르피그난, 1998년 바르샤바 등지에서 열린 다수의 국제성악콩쿠르에서 입상하였으며, 199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이리나 아르히포바 텔레비전 콩쿠르에서 우승자가 되어 명성을 떨쳤다.
2001년 블라디미르 페도세예프 지휘하에 오페라 이올란타의 로베르트 역으로 차이코프스키 콘서바토리 그랜드홀에서 노래했으며,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워싱턴 국립오페라의 마담 버터플라이와 라 보엠 프로덕션에 참여했다. 이후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 루가노, 몰도바, 이탈리아 베로나 등지에서 열리는 음악 페스티발에 활발하게 참가했다.
관람석 총 2,505석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1,508석
2층 568석
3층 429석
2020 가을밤 콘서트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