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2020 신년음악회

  • 기간 2020-01-08(수)
  • 시간19: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120
  • 가격일반석 1만원
  • 주최문화체육관광부
  • 주관예술의전당
  • 후원한국방송공사
  • 문의02-580-1300

2020 신년음악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공지사항]
※ 티켓 예매 시 공지사항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공지사항은 공연 전 반드시 확인하여 관람에 지장이 가거나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 본 음악회는 제한적인 좌석만 전석 1만원으로 판매합니다.
- 본 공연의 예매 및 환불마감은 2020.1.6(월) 23:59까지 가능합니다. (이후 환불, 예매불가)
- 예매자명과 실 관람자(신분증지참)가 일치해야하며, 불일치할 경우 입장이 제한됩니다. 반드시 본인 신분증을 지참 바랍니다. * 1인 1매만(본인) 구매 가능
- 본 공연은 보안상의 이유로 극장 출입 시 신분증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본인 명의가 아닌 예술의전당 ID로 티켓을 구매한 경우, 신분증과 증빙서류를 모두 지참하여도 예매자 명의와 실 관람자 명의가 다르므로 입장이 불가합니다. 예매 시 반드시 실 관람자의 명의로 예매하시기 바랍니다. (가족간의 양도 및 직계가족 구매 불가)
- 본 공연은 방문 및 현장구매가 불가합니다.            


※ 티켓오픈 : 12월 31일 (화) 오후 2시  
         
     
<출연>
지휘
정치용   
연주 KBS교향악단
 
Ⅰ. 어우러짐
바이올린 조진주   첼로 양성원   피아노 임동혁
 
Ⅱ. 울림
소프라노 조수미   테너 김우경
해금 꽃별   대금 이명훈   해금 나리   기타 김태환   테너 박용명   모듬북 황영남
양제인 안소명 국립합창단
 
 
[프로그램]
 
Ⅰ. 어우러짐
이영조
ㅣ `여명` (黎明)
Young Jo Lee ㅣ Glory of Dawning for Orchestra
 
베토벤 ㅣ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3중 협주곡 C장조 Op.56                               바이올린 조진주, 첼로 양성원 , 피아노 임동혁
Beethoven ㅣ Triple Concerto for Violin,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56    
Ⅰ. Allegro
Ⅱ. Largo
Ⅲ. Rondo alla polacca
 
 
 
Ⅱ. 울림
김종천, 최철호
ㅣ 비익련리 (arr by. 박정규)                                          해금 꽃별, 대금 이명훈
Jong Chun Kim, Chul Ho Choi ㅣ Lovers (From the Original Soundtrack of the ‘The Slave Hunters’)    
 
요한 슈트라우스 II
ㅣ 봄의 소리 왈츠                                                    소프라노 조수미
Johann Strauss II ㅣ Voices of Spring Waltz, Op. 410                                      
 
레하르 ㅣ 오페레타 <미소의 나라> 중 “그대는 나의 모든 것”                           테너 김우경
F. Lehar ㅣ “Dein ist mein ganzes Herz” from the Operetta < DAS Land des Lachelns >
 
신귀복 ㅣ 얼굴                                                                                테너 김우경
Gwibok Shin ㅣ The Face                                                            
 
스코틀랜드 민요 ㅣ The Water is Wide (arr by. 김애라)                               소프라노 조수미,  해금 나리,  기타 김태환,  테너 박용명
Scottish Folk Song ㅣ The Water is Wide (arr. by Aera Kim) 

번스타인
ㅣ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중 “Tonight”                          소프라노 조수미, 테너 김우경
L. Bernstein ㅣ”Tonight” from the musical < West Side Story >        
 
오병희 ㅣ 창작칸타타 ‘동방의 빛’ 제3부 판 중 3번 희(希) (대본 탁계석)            국립합창단, 모듬북 황영남, 양제인 안소명
Byunghee Oh ㅣ Creative Cantata ‘A Light of the East’ Ⅲ.Pan ‘Hope’, 3rd mov. (scripted by Gye Suk Tak) 
 
 
  
<프로필>
프로필 
ⓒyoungho_kang
지휘 정치용    
Chiyong Chung, Conductor
지휘자 정치용은 뛰어난 곡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해 내는 통찰력 있고 깊이 있는 지휘로 단원들을 이끌어가는 음악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음대에서 지휘를 전공, 거장 미하엘 길렌으로부터 본격적인 지휘수업을 받았다. 이후 잘츠부르크 국제여름음악제 부지휘자를 거쳐 라이프치히 방송교향악단, 뮌헨 심포니, 미시간 스테이트 심포니, 프라하 방송교향악단, 러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을 객원지휘하며 경력을 쌓았고, 귀국 후 관현악곡 및 오페라, 현대음악과 전통음악 공연 등 음악 전반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특히 정치용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작품의 국내 초연을 가장 많이 한 지휘자로도 유명하다. 관현악 <교향곡 제1번>, <화염 속의 천사>, 오페라 <류퉁의 꿈>, <나비의 미망인> 등이 대표적이다. 오페라 지휘에도 탁월한 능력을 선보여 <호프만의 이야기>, <코지 판 투테>, <마술피리>, <피가로의 결혼>, <라 보엠>, <카르멘>, <돈 파스콸레>, <루치아>,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 등을 지휘했고 <행주치마 전사들(임긍수 작곡)>, <백범 김구와 상해 임시정부(이동훈 작곡)>, <메밀꽃 필 무렵(김현옥 작곡)>, <천생연분(임준희 작곡)> 등을 초연했으며 특히 2007년에 국립오페라단에서 특별 기획한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를 국내 초연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오스트리아 문화부 장관상, 제5회 김수근 문화상 공연예술상, 제3회 문화관광부 선정 젊은 예술가상, 제3회 뮤지컬대상 음악상, 한국음악상 본상 및 제28회 음악평론가협회 제정 서울음악대상 등을 수상했다. 인천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 상임지휘자를 역임한 정치용은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서 지휘과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2018년 1월부터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으로 부임하여 그의 음악세계를 펼쳐 가고 있다.

 
프로필     
소프라노 조수미
Sumi Jo, Soprano
이탈리아 산타체칠리아 음악원을 졸업한 소프라노 조수미는 명성 있는 여러 국제 콩쿠르를 우승하며 1986년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의 베르디 극장에서 오페라 <리골레토>의 ‘질다’ 역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조수미는 1993년 이탈리아에서 그 해 최고의 소프라노에게 수여하는 <황금기러기상>, 2008년 푸치니 탄생 150주년 기념으로 <푸치니 상>을 수상했다. 그 해 북경올림픽에서 소프라노 르네 플레밍, 안젤라 게오르규와 함께 ‘세계 3대 소프라노’로 선정되어 독창회를 가졌다. 국제오페라 무대 30주년을 맞은 2016년, 그녀가 부른 영화 <유스>의 주제가 ’심플송’이 그 해 4월 이탈리아 도나텔로 어워드에서 주제가상 수상, 아카데미와 골든글로브 주제가상 후보에 올랐고, 2017년에는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전 세계에서 ‘평창올림픽 성공 기원’ 공연에 참여했다. 2018년 3월 평창동계패럴림픽 공식 주제가를 개막식 무대에서 선보였으며 곧이어 러시아에서 개최한 세계 최대 규모의 ‘제1회 브라보 어워드’에서 ‘최고 여성 연주가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 게오르그 솔티와 녹음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은 그 해 오페라 최고 부문에 선정되어 그래미상을 수상했으며, 2000년 발매된 크로스 오버 음반 <온리 러브>는 백만 장 이상이 판매되었다. 2002년 한일월드컵 응원가 <챔피언>은 전 세계 축구팬들에게 조수미의 목소리를 강력하게 각인시켜주었고, 2015년에는 처음으로 가요 앨범 <그. 리. 다>를 발매하였다. 2016년 국제무대 데뷔 30주년을 기념하는 음반 <라 프리마돈나>를 발매하였고, 2019년 4월 18일 어머니를 위해 노래한 음반 ‘Mother’를 내놓았다. 이 음반은 발매 한 달 만에 1만 장을 판매하며 큰 울림을 주었고, 지금까지 40여 장의 정규앨범 통해 목소리로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서 빛나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프로필 
바이올린 조진주
Jinjoo Cho, Violin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는 2014년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인 인디애나폴리스 국제콩쿠르 우승으로 현재 가장 각광 받고 있는 연주자 중 한 명이다. 국내에서도 2015년 금호아트홀의 상주 아티스트로 선정되는 등 예술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클리블랜드음악원에서 유학 중 2006년 몬트리올 국제음악콩쿠르 1위 및 관중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이목을 끌기 시작했다. 이후 20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바이올린콩쿠르 1위, 2011년 윤이상 국제콩쿠르 2위, 2012년 앨리스 숀펠드 국제콩쿠르 1위를 차지하였다. 클리블랜드음악원에서는 학사, 석사, 전문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독일 라디오 필,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몬트리올 오케스트라, 서울시향과의 협연, 다니엘 가티, 켄트 나가노, 제임스 개피건 같은 유명 지휘자들과 협업, 뉴욕 카네기홀, 뮌헨 헤라쿨레스홀, 부에노스아이레스 테아트로 콜론, 아스펜 뮤직 페스티벌, 슈베칭엔 페스티벌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강동석 교수의 초청으로 2014년부터 서울스프링페스티벌에서 양성원, 김영호, 조영창 교수 등과 무대를 함께 하고 피아니스트 김현수와 결성한 듀오 이스타스가 캐나다 밴프 예술센터 실내악 상주단체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이 외에 줄리어드, 타카시, 에머슨, 과르네리 같은 유명 현악사중주 멤버들로부터 실내악 지도를 받았으며 이작 펄만, 자카르 브론 등으로부터도 지도를 받았다. 또한 조진주는 2014년부터 클래시컬 레볼루션 코리아 프로젝트를 기획, 런칭하고 음악감독으로서 모두를 위한 클래식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클리블랜드에서 ENCORE Chamber Music 캠프를 설립 후 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월간 ‘객석’에 예술적 수련을 주제로 칼럼을 연재한 바 있고 올해 하반기 첫 번 째 책의 출판과 리사이틀을 앞두고 있다.
 
 
프로필
ⓒSangWook Lee 
피아노 임동혁
Dong-Hyek Lim, Piano
부조니, 하마마쓰, 롱-티보 콩쿠르 등에서 입상하며 혜성과 같이 등장한 피아니스트 임동혁은 이후, 퀸 엘리자베스, 쇼팽 콩쿠르, 차이콥스키 콩쿠르 등 세계 3대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피아노의 여제’ 마르타 아르헤리치의 추천으로 2001년 최연소의 나이로 클래식 레이블의 명가 EMI를 통해 데뷔 음반을 녹음하였고, 이 음반으로 ‘황금 디아파종 상’을 수상하였다. 2집으로 프랑스의 ‘쇼크 상’을 받았고, 3집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역시 큰 성공을 거두었다. 4집 쇼팽 프렐류드 음반 역시 영국 권위 있는 매거진 그라모폰과 BBC매거진의 극찬을 받았다. 최근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함께 작업한 라흐마니노프 5집을 발매했다. 유럽, 북미, 아시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임동혁은 뉴욕 링컨 센터, 런던 위그모어 홀, 파리 살 플레옐,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도쿄 산토리홀 등 전세계 주요 공연장 무대에 올랐다. 또한 베르비에 페스티벌, 쇼팽 페스티벌, 루가노 페스티벌 등 다수의 페스티벌에서 연주했다. 샤를 뒤투아가 지휘한 NHK 오케스트라, 정명훈이 이끄는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유리 테미르카노프 지휘의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쿠르트 마주어가 지휘한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이르지 벨로흘라벡 지휘의 BBC 심포니, 마이클 틸슨 토마스 지휘의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등 세계 정상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현재 임동혁은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중이다.
 
   
프로필 
첼로 양성원
Sung-Won Yang, Cello
첼리스트 양성원은 빈 무직페라인, 파리 샹젤리제 극장, 뉴욕 링컨센터, 카네기홀 등 여러 굴지의 공연장에서 공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EMI에서 코다이 작품집, 바흐 무반주 첼로모음곡 전집, 베토벤 첼로 소나타와 변주곡 전곡(피아노 파스칼 드봐이용) 등을 발매하였다. 이후 데카/유니버설에서 드보르작 협주곡과 둠키 트리오(체코 필하모닉), 브람스 첼로 소나타와 슈만 작품 모음집(피아노 엔리코 파체), 베토벤 피아노 트리오 전곡, 바흐 무반주 첼로모음곡 전곡, 러시아 작곡가 모음집 등 총 22장의 음반을 발표했다. 빈 무직페라인에서 오스트리아 방송교향악단과 협연한 양성원은 에셴바흐, 정명훈, 로랑 프티지라르, 즈데넥 마칼, 피터 외트보쉬를 비롯한 세계적인 아티스트와 함께 연주해왔다. 파리 살 플레옐에서 드보르작 협주곡을 연주하였고, 피터 위트보쉬의 첼로 협주곡을 서울시향과 함께 아시아 초연하였으며, 2017년에는 바흐 무반주 모음곡 전곡 독주회를 한국, 프랑스, 일본에서 가졌다. 2018년 뉴욕 카네기홀에서 엔리코 파체와의 성공적인 독주회 이후 프랑스 Radio Classique과 북미전역 NPR라디오 등 여러 매체에서 그의 인터뷰와 음반들이 널리 소개되었다. 그는 캐나다 밴프 국제실내악콩쿠르, 앙드레, 카사도, 통영국제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매년 영국,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등에서 연주와 마스터클래스를 갖고 있다. 2006년 올해의 예술상, 제4회 대원음악연주상, 제1회 객석예술인상 수상 및 프랑스 문화훈장 슈발리에를 서훈받은 양성원은 서울 태생으로 파리음악원과 인디애나 대학을 졸업하였다. 현재 연세대 음대 교수이자 런던의 로얄 아카데미 오브 뮤직(RAM)의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0년 옥스포드대의 상주음악가로 초청받아 연 4회의 공연을 갖는다. 또한 프랑스의 `Festival Beethoven de Beaune` 와 한국의 문화, 예술을 세계에 알리는 `페스티벌 오원`(2011년~현재)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프로필 
테너 김우경
Wookyung Kim, Tenor
테너 김우경은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도독하여 뮌헨 국립 음대 마이스터 클라세를 졸업하였다. 그는 플라시도 도밍고 국제콩쿠르 한국인 최초 1위, 미르얌 헬린 성악콩쿠르 1위, 오스트리아 벨베데레 국제음악콩쿠르 1위, 스페인 비냐스 국제성악콩쿠르 1위 및 청중상 등 다수의 권위 있는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하여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세계적인 지휘자 주빈 메타, 제임스 레바인, 로린 마젤, 정명훈, 켄트 나가노, 파비오 루이지, 다니엘레 가티, 페터 슈나이더, 시모네 영 등과 함께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라 스칼라 오페라극장, 런던 코벤트가든 로얄 오페라극장, 뮌헨 국립극장, 독일 드레스덴 젬퍼오퍼, 함부르크 슈타츠오퍼, 베를린 도이체오퍼, 베를린 슈타츠오퍼, 일본 신 국립극장, 피렌체 오페라극장 등 세계적인 오페라극장에서 오페라 <라보엠>,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 <파우스트>, <장미의 기사>, <멕베드>,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가면무도회>, <마술피리> 등 다수의 오페라 주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오라토리오 독창자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천지창조>, <엘리야>, <메시아>, <바울>, <레퀴엠>, 드보르작과 롯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등의 오라토리오와 베토벤 9번 교향곡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였다. 특히, 로린 마젤의 서거 전 마지막 공연인 베르디 <레퀴엠>을 함께하였으며 이는 추모 CD로 발매되었다. 2019년, 뮌헨 국립극장에서 <방황하는 네덜란드인>과 <가면무도회>, <라보엠>을 공연할 예정이며 2020년에는 함부르크 슈타츠오퍼에서 <카르멘>을 비롯한 다른 작품들로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현재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프로필                 
해금 꽃별
Ccotbyul, Haegeum    
꽃별(본명 이꽃별)은 국악중ㆍ고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거치며 줄곧 해금과 함께 해왔다. 2003년 ‘꽃’을 테마로 한 데뷔 앨범「small flowers」에 이어 2004년 ‘별’을 테마로 한 2집「star garden」을 국악계에서 처음으로 한ㆍ일 동시 발매하여 화제가 되었는데, 1,2집 모두 국악 앨범 차트 1위 등 각종 앨범 판매 순위에서 장기간 롱런하고, 광고와 국가 공식행사 배경음악으로 쓰이는 등 큰 관심을 받았다. 2001년 정식 데뷔 전부터 통일음악회 및 각종 음악회 등에 게스트로 출연해 이름을 알렸으며, 2002년 1월, 한국의 KTV에서 `신세대 해금 연주자 꽃별`의 특집이 방영되기도 했다. 또한 그 해 3월에는 `韓日보이스 세션`의 일환으로 참가하여 일본 6개 지역을 순회했다. 대학교 2학년 때는 소리꾼 김용우 밴드의 뮤지션으로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 현지 음악 관계자의 눈에 띄어 일본에서 음악활동을 시작하였다. 한·일 양국에서 발매된 꽃별의 1~3집은 한국적인 서정미를 담으며 동화처럼 해맑은 해금 선율과 팝, 재즈, 뉴에이지, 스탠다드 등을 접목하였다. 4집은 유러피언 월드뮤직의 다양성을 접목시키며, 웅장하고 스케일이 큰 오케스트라 속에서 확연히 다른 ‘해금’의 매력을 선보였다. 5집 <숲의 시간>은 지난 10년 간 꽃별의 활동을 되돌아보는 자전적 앨범으로, 그 동안 풀어내지 못하고 담아두기만 했던 많은 것들을 최대한 비워내고 다시 새롭게 출발하고자 하는 음악적 터닝 포인트가 될 것 이다. 그리고 2016년, 6집 <고요의 시간>은 전작 <숲의 시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이다. 
 
 
프로필 
대금 이명훈
Myung Hoon Lee, Daegeum
대금 연주자 이명훈은 한양대학교 국악과와 동대학원 국악 석사를 졸업하였다. 학창시절이던 1999년 대구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대상을 수상하고, 전주대사습놀이 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장원을 하며 두각을 나타내었다. 이후 국립국악원 전국국악경연대회 관악부분 은상, 제19회 동아국악콩쿠르 대금부분 일반부 금상, 21세기를 이끌 우수인재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2010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농(弄) NONG PROJECT2010, 국립오페라단 창작오페라 ‘아랑’, 가곡으로 듣는 ‘춘향가’, 2011년 밀레니엄심포니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다울 음악회’, 2012년 창작무용극 고려여인 ‘기황후’, 2013년 전주소리축제 < 김형석 with friends > 등 여러 공연에 출연하였다. 이와 동시에 다양한 앨범에도 참여하였는데 월드뮤직그룹 <리딩톤>의 멤버로 활동하였으며, 2015년에는 첫 솔로 정규앨범인 <이명훈, 바리스타 되다>를 발매했다. MBC드라마 <짝패>, <구암허준>의 음악과 다울프로젝트의 ‘아리랑’ 국악버전 <오마주 투 코리아>를 레코딩 하였고 그 외에도 루나힐, 박기영, 고금성, 정경화, 비단 등 여러 아티스트의 앨범에 레코딩 세션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 ‘정음회’ 동인으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프로필 
해금 나리
Nary, Haegeum

어린 시절 판소리를 배우며 국악을 시작한 해금 연주자 나리는 국립 국악원 주최 ′96 국악 동요제′ 에서 작곡부문 동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002년 문교부지정으로 음악 교과서에 <우리 장단 배워 보자>라는 작품이 수록되었고, 이후 2014년에 필리핀 마닐라 에서 열린 ‘아시안게임 100주년 기념행사 및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총회’ 초청연주,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초청연주, 인도 뉴델리 에서 진행된 ‘2014인천아시안게임’ 홍보행사 축하공연, 예술의전당에서 개최된 ‘우리가곡 100주년 기념음악회’ 연주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2015년 체코 프라하 ‘스메타나 홀’ 에서 ‘노스 체코 필하모닉오케스트라’ 와 협연을 하였고, 이 협연은 ‘소니 클래식’을 통해 연주실황 음반이 발매되기도 했다. 2019년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 `Mother` 전국 투어 콘서트에 함께 연주하였으며, 대만 ‘원 송 오케스트라’의 초청 협연 등 끝임 없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해금연주자 나리 Nary는 앞으로 더욱 깊이 있는 음악을 들려주고 보여줄 것이다.
 
 
프로필 
모듬북 황영남
Young Nam Hwang, Modeum Buk (A set of Korean traditional drums)
용인대학교 국악과를 거쳐 단국대학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타악 연주가 황영남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과 서울시 무형문화재 25호 판소리 고법을 이수하며 수련과정을 거쳤다. 2003년 경기도립국악단의 사물놀이협주곡 ‘신모듬’ 협연을 시작으로 같은 해 용인 국악관현악단 모듬북 협주곡 ‘타’, 2009년 국립극장 예술단 미르 모듬북 협주곡 ‘태양’, 2013년 서울시 청소년국악단 장고협주곡 ‘아유타’, 2014년 홍콩 차이니즈 오케스트라 ` Majestic Drums XIX` 사물놀이 협주곡 ‘마당’ 등 다수의 협연활동을 이어왔다. 국립극장 문화예술인턴과 전통공연 예술진흥재단 문화학교 교수로 역임하였으며 현재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타악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프로필 
양제인

양제인은 2019년 < SBS영재발굴단 >에 출연하여 화재를 모았으나 사실 2015년 KBS ‘누가누가 잘하나’ 으뜸상을 시작으로 2016년 삼육대학콩쿠르, 2017년 서울교육대학교 전국 초등학생 음악경연대회, 2018년 빈트리 동요 콩쿠르와 난파 전국 음악 콩쿠르 등 각종 대회에서 1등을 휩쓸며 가능성을 보여준 음악영재다. 유아출판사의 창작노래를 녹음하였고, 산업인력공단 주최 다문화 K-컬쳐 페스티벌 등 다수음악회에 특별출연하며 활동하고 있다.
 
 
프로필 
안소명
안소명은 2016 서울교육대학 동요대회 1위, 2017 경기도 주니어 음악콩쿠르 국회의원상을 수상하였다. < SBS 영재발굴단 >에 아역뮤지컬 영재로 출연하여 대중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레미제라블>, <명성황후>, <사운드 오브 뮤직>등 각종 뮤지컬의 아역을 담당하였다. 2018년에는 <마틸다>에서 주인공을 맡아 <영재발굴단>에 재출연하기도 했으며, 3.1절과 광복절 기념식에도 참석하였다. 그 외에도 <쿵푸팬더3>, <마이펫의 이중생활>, <보스베이비>, <코코> 등 애니메이션 영화에 더빙을 맡아 성우로도 활동하고 있다.
 
 
프로필 
연주 KBS교향악단
KBS Symphony Orchestra

KBS 교향악단은 64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교향악단이다. 한국의 공영방송 한국방송(KBS, Korean Broadcasting System) 전속 교향악단으로 출범하였고, 이후 문화공보부 소관으로 이관, 국립교향악단을 거쳐 다시 한국방송(KBS)소속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전문예술경영형태인 재단법인으로 출범하였으며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경영체제를 갖춘 현 모습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역대 음악감독으로는 초대 임원식 상임지휘자 이후 홍연택, 원경수, 오트마 마가, 정명훈, 드미트리 키타옌코 등 세계 정상의 지휘자들을 거쳤으며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요엘 레비가 6년간 음악감독으로 재직하였다. KBS교향악단은 백건우, 조성진, 정명훈 등 국내외 최고의 지휘자와 협연자들을 초청하여 깊이 있고 수준 높은 연주를 선사하는 정기연주회, 시즌 및 주제별로 기획하여 다양한 시도를 펼치는 초청, 기획연주회, 그리고 클래식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없는 문화소외 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음악회까지 매년 100회 이상의 공연으로 10만 명 이상의 관객이 찾고 있다. 또한 1958년 2월 동남아 순회공연으로 첫 해외공연을 마친 이후,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세계 각국에서 연주하였으며, 2000년~2001년 남북교향악단 합동연주회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2018년 세계적인 클래식 음반 레이블인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공연 실황 음반을 발매하고,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100 주년 기념 초청연주회를 갖는 등, 국제적으로 기록할 만한 성과를 내는 한편 여수음악제, 벚꽃축제 음악회, 직장인 콘서트 등 친근하고 새로운 시도로 대한민국의 클래식 음악계의 주목을 받아온 KBS교향악단은 2020년도에도 차별화된 연주와 신선한 기획을 통해 청중과 공감할 것이다.  
 
 
프로필 
국립합창단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국립합창단(예술감독:윤의중)은 우리나라 합창음악의 전문성과 예술성 추구를 위해 1973년에 창단된 전문 합창단의 효시로서, 합창음악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한국 최고의 프로합창단이다. 2000년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예술단체로 독립, 재단법인으로 재발족하여 매년 5회의 정기연주회와 60회 정도의 기획공연, 지방연주, 특별연주, 해외연주, 오페라 등 다양한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국립합창단은 현재 한국에서 불리는 바흐의 마태·요한수난곡,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 까르미나 부라나, 엘리야, 천지창조, 메시아 등 유명 정통 합창곡들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이에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는 국립합창단은 매년 새로운 공연을 선보이며 합창음악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또한 한국합창곡 개발과 더불어 한국적 특성과 정감을 표출하는 창법, 해석법의 정립 등에 힘을 기울여 한국합창음악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기고 있다. 합창의 대중화와 합창음악의 예술적 수준을 향상을 통해 한국의 성악발전에 지대한 업적을 남기고 있는 국립합창단의 현재 연주역량은 세계 유수합창단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최고의 수준에 이르고 있어 유럽,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의 세계무대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3급) 본인 및 동반 1인 50% / (4급~6급)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그 밖에 할인은 상세정보 확인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2020 신년음악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r*** 별점 별점 별점 별점 별점 r*** 2020.01.09(목)
공항 검색대를 방불케한 검색대를 통과하면서 이렇게까지 요란스런 음악회는 오고 싶지 않다는 생각도 잠시 했지만 음악회 자체는 신년음악회로서 좋았습니다. 특히 소리의 어우러짐이라는 주제로 클래식 오케스트라에 기타, 해금, 대금 등의 악기들이 서로 잘 어울릴 수 있다는걸 보여주었고 독창, 중창 , 합창으로 이어가며 하모니의 중요성도 음악을 통해 느끼게되었습니다. 베토벤 3중 협주곡을 통해 각 분야에서 솔리스트로 활약하는 양성원, 조진주, 임동혁 이 세분이 kbs교향악단과 정치용지휘자의 지휘로 만들어낸 음악은 이 시대 우리 사회의 희망의 울림이 이런 모습이여야 한다는걸 보여준것 갔습니다. 예술의 전당 관계자분들 어제 하루 고생많으셨습니다!
doxx9*** 별점 별점 별점 별점 별점 doxx9*** 2020.01.01(수)
벌써 가슴 뛰네요.!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05(월)
작품명 2020 신년음악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