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슨트 운영]
오후 2시, 3시, 4시(3회)
[전시소개]
* 의도
현대민화는 유물을 재현한 재현민화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민화로 분류된다. 그런데 그간 창작민화는 작품의 현대성에 대한 고찰 없이 무분별하게 창작을 가미하면서 작가 수의 폭발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술시장에서 외면을 당해왔다. 이는 조선 후기 민화가 선조들의 삶의 구석구석을 파고 들어 대중화되었던 바와 비교하면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민화의 비상》전은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는 시리즈 전시로 민화의 현대성을 고찰하고, 다양한 현대적 방법론을 녹여내는 실험적 전시로 기획되었다.
* 목적
《민화의 비상》 시리즈 전시의 첫 회인 올해 전시는 예술의 다양한 현대적 특징 중에서 초현실주의에 주목하였다. 서양에서 초현실주의 미술은 전쟁 전후 상황에서의 인식 변화 및 프로이트를 선두로 하는 무의식에 대한 고찰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시각적인 면에서 전통 민화에서도 그 특징이 관찰된다. 따라서 올해의 전시에서는 초현실주의적 특징이 돋보이는 유물 작품과 함께 민수회원 중 창작민화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 32명의 초현실주의가 극대화된 창작민화를 함께 전시하여 민화의 현대성을 실험한다.
* 내용
《민화의 비상》전의 시작인 올해 전시는 ‘제1막. 민화와 초현실주의’를 부제로 초현실주의가 극대화된 민화를 공개한다. 전시는 두 개의 섹션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섹션은 조선민화박물관과 한국민화뮤지엄 소장 유물 중 시각적인 면에서 초현실주의적 특징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전시한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민수회 중 창작민화로 이번 전시를 위해 다시 한 번 선정된 작가 총 32명이 초현실주의를 녹여낸 민화 작품을 선보인다.
[단체소개]
조선민화박물관/한국민화뮤지엄
국내 최초 민화 전문 박물관으로 강원도 영월에서 2000년에 개관하였다. 분관이자 2015년에 개관한 한국민화뮤지엄은 전남 강진군 청자촌에 위치해 있다. 민화 5,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분기마다 새로운 특별전을 개최, 매년 현대민화공모전 및 포럼을 개최하여 민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민수회
조선민화박물관에서 국내 최초로 2000년에 시작하여 올해로 20회를 맞는 민화 전문 공모전인 《전국민화공모전》과 한국민화뮤지엄에서 개관과 함께 신설한 《대한민국민화대전》에서 그간 본상 이상 수상한 작가들의 단체로 실력을 인정받은 대한민국 대표 현대민화 작가들이 소속되어 있다.
* 주요연혁
조선민화박물관/한국민화뮤지엄
1998. 착공
2000. 개관, 제1회 전국민화공모전 개최
2006. 야생화공원 조성
2007. 현대민화 전시관 개관
2008. 춘화방 개관
2015. 한국민화뮤지엄 개관, 제1회 한국민화뮤지엄포럼/ 제1회 대한민국민화대전 개최
[대표작품]
책거리도1, 80x31, 지본채색
책거리도2, 80x31, 지본채색
화조도1, 83x30, 지본채색
화조도2, 83x30, 지본채색
제석설화 8폭병, 각105x35, 지본채색
모란도 8폭병, 각93x33, 지본채색
어해도 6폭병, 각91x29, 지본수묵
본관 전체 3층 총 6개 전시실
1990년에 문을 연 한가람미술관은 조형예술 전시를 위한 최적의 공간이다.
2003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최신의 설비로 재탄생 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에 6개의 전시장과 수장고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채광에 가까운 광천정 시스템으로 편안한 관람 분위기를 조성한다. 매년 50여 건이 넘는 전시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고대문명을 소개하는 전시회부터 현대 미술까지 아우르고 있다. 예술의전당이 기획하여 주최한 주요 전시는
<반 아파르트헤이트전>, <유럽공동체신진작가전>, <칸딘스키와 아방가르드전>, <고대 이집트 문명전>,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전>, <램브란트판화전>, <밀레와 바르비종파 거장전>, <오르세미술관 한국특별전>,
<프랑스 국립 베르사이유 특별전>,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쿠사마 야요이전>, <페르난도 보테로전>, <니키 드 생팔전> 등이 있다.
민화의 비상(飛上)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