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사)서울오케스트라 이음콘서트

  • 기간 2018-08-09(목)
  • 시간20: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120
  • 가격R석 5만원 / S석 3만원 / A석 2만원
  • 주최(사)서울오케스트라
  • 주관(사)서울오케스트라
  • 후원KDB산업은행, KEB하나은행, 신성대학교, (주)삼성디앤디, 법무법인 천우, 한빛예술단, (주)미네랄하우스, (주)대림종합건축
  • 문의02-588-0974

(사)서울오케스트라 이음콘서트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프로그램]

  

G. Verdi
La Forza del destino Overture
 
L. v. Beethoven
Triple Concerto in C Major, OP.56
  I. Allegro
  II. Adante
  III. Rondo alla polaka
 
 
Intermission
 
 
C. Saint-Saens
`Bacchanale` from Opera < Samson et Dalila >
 
C. Saint-Saens    
Introduction & Rondo Capriccioso in A minor, Op.28
 
G. Verdi
Il lacerato spirito from Opera < Simon Boccanegra >    

 
김연준
청산에 살리라

 
이원주
베틀 노래
 
F. Lehar
Meine Lippen, sie kussen so heiss from Operetta < Giuditta >

 
한윤미
Happy Birthday to You Fantasy
 
* 프로그램은 연주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Violinist 피호영, Cellist 최정주, Pianist 김예지
 

 

 

 

 
 
  
 

Violinist 김종훈

 

Bass 임철민
 

Bass 임철민
 
 
Soprano 안영주  
 
 
Soprano 안영주

       
 
[프로필]
 
사단법인 서울오케스트라 (단장 : 김희준)
(사)서울오케스트라는 2008년도에 창단되어 높은 수준의 클래식음악을 좀 더 쉽고 즐겁게 대중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공연문화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며 최고 수준의 공연을 위해 열과 성을 다하여 왔습니다.
 
각종 초청연주회와 정기연주회, 클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가 결합 된 새로운 공연예술인 오감만족 콘서트, 문화소외지역에 찾아가는 음악회, 청소년을 위한 뮤직캠프, 힐링콘서트 등 다양하고 신선한 기획공연으로 클래식음악의 저변확대에 공헌하고 있으며,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들과 한국의 미래 음악계를 주도할 유망신예 예술가들을 초청하여 아름다운 음악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많은 연주와 공연으로 그 실력이 입증된 서울오케스트라는 2009년 ‘사단법인 서울오케스트라’로 발돋움하였으며, 2010년에는 오케스트라로서는 처음으로 서울시에서 지정하는 서울형 사회적기업 제1호로 선정되고, 또한 클래식 단체로서 순수성과 무한한 가능성이 검증되어 2010년 12월 22일에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되었습니다.
 
2012년에는 남녀가 동등하게 존중 받는 직장문화를 조성한 고용평등실현에 앞장선 우수한 예술단체로써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2년 10월에는 중국칭다오에서 개최된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사랑과 소통의 음악회」에 한국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로 초청되어 음악으로 하나되는 화합의 장을 선사하였습니다.
 
사회환원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사단법인 서울오케스트라가 주최하는 음악회에서 객석의 30%를 문화적 소외계층에게 기부하고 있으며,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서 아동정서발달 및 치유 서비스를 서초구내에서 실시하는 동시에 콩쿨과 유망신예콘서트, 서울FAMILY합창단, 내추럴서울오케스트라, 청소년오케스트라 운영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onductor  / 권 주 용
서울대학교 임산공학과(음향학전공) 학사, 석사
노던일리노이주립대학교 물리학과(음향학전공) 석사
노던일리노이주립대학교 음악과(지휘, 오르간전공) 석사
워싱턴주립대학교 음악과(오케스트라지휘전공) 박사
International Conducting Workshop and Festival with Gustav   Meier, Carl st. Clair, Slavador Mas Conde, Gunther Schuller
Vakhtang Jordania International Conducting Competition 입상
제4회 세종음악상 신인상 수상
제4회 대한민국오페라대상 삼익악기상 수상
워싱턴주립대학교 현대음악앙상블 상임지휘자 역임
체코 야냐첵 필하모닉, KBS 교향악단, 러시아 타타르스탄 국립오케스트라, 우크라이나 키에프스테이트 심포니오케스트라, 불가리아 뉴심포니오케스트라, 양주시립교향악단, 구리시교향악단, 과학창의재단후원 “음향학과 오케스트라의 만남”, 예술의전당 연주회, 남북한 가곡의 밤, 대종상 개막축제, 하이서울페스티벌 등 객원 지휘 역임
2013년 베토벤 교향곡 전곡 지휘
현) (사)서울오케스트라 전임지휘자
    신성대학교 교수
    성악앙상블 Voce di Anima 음악감독
 
Violinist / 피 호 영
우리나라 바이올린 계를 두 어깨에 짊어지고 있는 작은 거인이다. 바이올린 연주자가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을 빠짐없이 섭렵하느라 그 누구보다도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해마다 독주회와 협연무대만으로도 정신이 없을 텐데 다양한 실내악에다 오케스트라 활동까지 그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게다가 2007년에 강남역에서 벌인 “길거리 연주” 해프닝은 세인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끌어 인터넷 포탈사이트 검색 1위에 오르기까지 했다. `오페라 아리아`와 “로망스”, “봄” 등 독특한 레퍼토리와 테마가 있는 독주회로 신선한 파장을 불러일으키더니 최근에는 브람스, 프로코피에프, 모차르트, 베토벤, 그리그, 포레, 슈베르트로 이어지는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회로 누구보다도 학구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중에 국내의 거의 모든 오케스트라와 수없는 협연무대를 가졌고 특히 2004년 대한민국 국제 음악제의 개막공연에서 KBS 교향악단과 협연한 브람스 협주곡으로 “대한민국 대표선수”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스스로 “비르투오조” 콰르텟을 창단했는가 하면 한국페스티발 앙상블과 한음챔버 앙상블 등 국내 정상의 실내악단들과 다양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고 그가 몸담고 있는 성신여대 교수들과의 “성신 트리오” 활동은 물론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도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 활동에도 많은 관심을 두어 프랑스 연주자들과의 다양한 실내악 무대를  시도하는 중이고 독일의 라이프치히 유로 음악제, 프랑스의 퐁르브아 음악제, 플레인 음악제, 벨레바 음악제의 초빙교수로 활약하고 있다.
독주와 실내악 활동만으로도 누구보다 앞서 있지만  피호영의 오케스트라 사랑은 남다르게 각별하다. 서울대 재학시절 이미 서울시향의 수석으로 입단했고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코리언 심포니의 악장으로 부임하여 10년을 함께 했다. 독주자로 나선 이후에도 서울시향과 부천시향 등 국내 유수 오케스트라의 객원 악장으로 수없이 초빙되어 오케스트라 악장이라는 소임에 관한 한 독보적인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했고 마침내 세계 유명 오케스트라의 단원들을 모아 구성한 슈퍼월드오케스트라의 유일한 한국인 단원으로서 로린 마젤, 베르나르트 하이딩크, 주빈 메타 등의 세계적인 지휘자와 함께하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약관 13세의 나이에 서울시향과 파가니니 협주곡을 협연하여 주목을 받기 시작한 피호영은 이화 경향 콩쿠르, 한국일보 콩쿠르, 중앙 콩쿠르를 차례로 석권하면서 벌써부터 차세대 선두주자로 나섰으며 서울예고와 서울대 음대를 실기수석으로 졸업하면서 프랑스 정부 국비장학생으로 도불하여 세계적인 여류 바이올리니스트겸 교수인 미셸 오클레 에게 사사, 파리 국립 고등음악원을 수석졸업하였고 파리 에꼴 노르말 음악원 실내악 과정 또한 수석 졸업하였다. 세계적인 교수인 이고르 오짐의 부름을 받아 스위스 베른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스위스 베른심포니와 협연하였다. 한국음악협회 이사, 성신여대 음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DMZ국제음악제 조직위원,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이사, 성신여대 음대 기악과교수로 재직중이다. 중앙일보 선정 올해의 음악가, 한국 실연자협회 클래식 부문 대상 수상하였고, 일찍이 5.16 민족상 음악부분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하였다.
 
Pianist  / 김 예 지 (시각장애예술가)
숙명여자대학교와 동대학원 졸업
Peabody Institute of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육영콩쿨 전체대상, 매헌 콩쿠르 전체 대상, 교육인적지원부 장관상, 한국음악학회 학생장학콩쿠르 및 피아노학회 콩쿠르 입상, 2004년 21세기를 이끌 우수인재로 선정 명예대통령상 수상
2009년 제2회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in Vancouver, BC에서 Artist Award
2015년 Blind Cre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의 패널로 선정되어 초청 연주 및 연구 발표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UK)
2017년 제12회 장애인예술대상 음악부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 연주
세종문화회관, 금호아트홀, 예술의전당, 영산아트홀, 미국, 일본, 캐나다, 러시아, 홍콩 등 국내외에서 300 회 이상 다수 초청 연주,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
바로크합주단, KBS 교향악단, 강남교향악단, 체코야나첵필하모닉오케스트라, 일본 New Japan Phil Harmonic Orchestra 등과 협연
 
현) 숙명여자대학교 출강, YOUnIon(유니온) Ensemble 예술감독,
    하트 체임버 오케스트라단원, 덕영 트리오 단원
 
 
Cellist / 최 정 주
세계적인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미국 데뷔 협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첼리스트 최정주는 “완벽한 테크닉과 타고난 음악성을 지닌 연주자” 라는 호평을 받으며 솔리스트이자 챔버 뮤지션으로서 국, 내외에서 왕성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9세에 첼로를 시작한 그는 12세가 되던 해에 서울시향과 협연하며 처음 데뷔하였고, 예원학교 재학 중 故 메뉴힌 경에게 발탁되어 13세에 도영하여 예후디 메뉴힌 영재음악학교를 거쳐, 미국 커티스 음대 학사, 줄리어드 음대 석사 및 최고연주자 과정, 뉴욕 주립대 박사과정까지 18년간 전액 장학생으로 유학하였다. 국내에서는 조선일보 1위, 이화경향 1위, 한국일보 1위 등의 주요 대회를 두루 석권하였으며 해외에서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신인음악 콩쿠르, 줄리어드 하이든 콩쿠르, 롱 아일랜드 콩쿠르, 뉴욕 아티스트 인터내셔널, 영국 마틴 스칼라쉽 등의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지금까지 최정주는 예후디 메뉴힌, 에멀슨 콰르텟, 콜린 카, 아니 카바피안, 라이너 목, 마리아 클리겔 등 세계적인 음악인들과 함께 무대에서 앙상블을 연주하였고, 영국 버킹검 궁전을 비롯하여 퀸 엘리자베스홀, 런던 위그모어홀, 맨체스터 첼로 페스티벌, 벨기에 러쿠 추모연주회, 프랑스 레작 뮤직페스티벌, 독일 슐레스빅 홀슈타인 뮤직페스티벌, 미국 카네기 웨일홀, 링컨 센터, 아카데미 하우스, 피아티골스키 첼로세미나, 일본 고마쭈홀, 호암 아트홀, 금호 금요콘서트 등에서 초청되어 독주회를 가졌으며, 미국 WSHU 라디오, KBS FM 라디오, KBS 클래식 오디세이, MBC 청소년 음악회 및 일본 NHK 방송사 등 다수의 방송에서 연주실황이 생중계되기도 하였다. 그 외 영국 길포드 심포니 (지휘 피터 노리스), 메뉴힌 챔버 (지휘 故 메뉴힌 경), 미국 스토니 부룩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빌 퍼비스), 바로크 합주단 (지휘 헤르베르트 지베르트), 부천시향 (200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지휘 임헌정), 코리안 심포니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지휘 강창우), 원주시향 (지휘 박영민), KT 챔버오케스트라 (지휘 이택주) 아르코 디아블로 챔버, 소피아 챔버, 밀레니엄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서희태), 군산 시향, 울산 심포니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여러 차례 협연하였고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며 트리오 드 서울, 그리움 앙상블 멤버로 활동 중이다.
 
Violinist / 김 종 훈 (시각장애예술가) 
한양대학교 관현악과 졸업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 졸업
청주사대콩쿨 대상
부산콩쿨 1위, 동아콩쿨 3위 입상
독일 Axel-Springer Preis 수상
서울심포니, 경기바로크챔버, 대구시향, 유라시안필, 코리아W필하모닉, 서울윈드오케스트라 등과 협연
작곡가 탐험 시리즈 (베토벤, 슈만, 슈베르트)
에이블아트오케스트라 지휘자 역임
한양대학교, 숭실대음악원 출강
KBS 라디오 ‘심준구의 세상보기’ 중 ‘김종훈의 귀에 쏙 클래식 명곡` 진행
현) 한빛예술단 음악감독, 쳄버오케스트라 지휘자
 
Bass / 임 철 민
연세대학교 재학 중 제15회 중앙콩쿨에서 1위를 수상하여 Japan Kusatz Summer Musik Festival에 초청되었고 졸업 후 제1회 KBS 신인음악회 남자부 1위를 수상하여 KBS교향악단과 협연하였다. 오스트리아로 비엔나 국립 음악원 재학시절 Wien, Graz, Linz, 독일 Regensburg등에서 다수의 연주활동 중 1992년 국립오페라 초청으로 제17회 정기공연 오페라 Fidelio에서 Fernando역으로 국내 오페라에 데뷔하였다. 이탈리아 밀라노 국립음악원 재학시절 이탈리아 Leon D`oro Budrio 국제 콩쿨에서 1위를 수상하였고  Daniel Oren 을 비롯 Bruno Campanella, Daniele Callegari 등 세계적인 지휘자와 Luca Ronconi, Daniele Abbado, IvoGuerra, Sylvano Bussotti 등 연출자들과 함께 오페라에 참여하였다.
이태리에서 활동 중에도 한국에 초청되어 한국오페라단의 Rigoletto, 서울 시립 오페라단의 Don Carlo, 서울오페라단의 Aida, 대전오페라단의 il Barbiere di Siviglia 등 꾸준한 오페라 활동하였다. 이후 밀라노, 피렌체, 토리노, 베로나 등 이태리 각 도시와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연주하였으며 국내에서는 KBS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대전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강릉시립교향악단, 광주시립교향악단, 프라임 오케스트라, 뉴서울심포니, 코리안심포니 등과 베토벤 심포니 No.9, 베르디 레퀴엠, 헨델 메시아 등 다수 오라토리오 협연하였고 국립오페라단의 Manon Lescaut, 서울시립오페라단의 Il Trovatore와 Die Entfuhrung aus dem serail, 한국오페라단, 글로리아오페라단, 대전오페라단, 한전아츠풀의 Rigoletto, 제누스 오페라단의 Aida, 한강오페라단, 그랜드오페라단, 서울오페라 앙상블, 예술의 전당주최 La Boheme 등 수많은 오페라를 연주하여 ‘오페라가수’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숭실대학교 음악원 성악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Soprano / 안 영 주
연세대학교 기악, 성악학사, Indiana 대학 성악석사
Temple 대학 오페라코치 및 반주학 석사, Temple 대학 성악박사
쟌니스끼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라보엠, 유진오네긴, 팔스타프, 내친구 프릿츠, 박쥐, 돈죠반니 등 오페라 주역
델라웨어 오페라단 초청가수, 한국오페라협회연주, KBS FM 화요 초대석, 여수장애인 기념의 날 초청 연주, 서울시립오페라단 마티네 연주, 수원시립교향악단 가족음악회, 서울오케스트라 송년음악회 및 다수 독창회
Temple 대학 초빙교수 역임, 한국예술종합학교 오페라코치역임
현) 연세대학교 출강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후원회원, 골드회원 30% (5매) - 블루회원,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20% (5매), 그린회원 20% (2매) - 싹틔우미회원 - 본인 40% (1매) - 노블회원 - 본인 40% (1매) - 초등학생 본인 20% (생년월일 확인 가능한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중,고,대학생 본인 20% (대학원생 제외 / 학생증 현장 제시) - 20인 이상단체 20% (예술의전당 전화예매 및 방문예매)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6급) 본인 및 동반 1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 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사)서울오케스트라 이음콘서트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06(화)
작품명 (사)서울오케스트라 이음콘서트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