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할인
- 예비군 할인 본인 15% (4월 1일 ~ 4월 7일까지 할인 적용 / 전역증 또는 예비군 훈련 안내 문자 등 증빙서류 현장 제시)
- 예술인패스 카드 소지자 본인 10% (본인명의 예술인패스 카드 현장 제시)
- 문화릴레이 10% (1인 2매 / 2018년 - 2019년 공연 유료티켓 소지자)
[참여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극단, 국립극장,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서울예술단,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강남문화재단, 남산예술센터, 성남아트센터, 안산문화재단, 부천문화재단]
[교향악축제 패키지]
* 패키지는 예술의전당 전화예매 및 방문예매만 가능합니다.
(동일 회차 · 동일 매수 예매 시 할인 적용, 부분 취소 불가)
▷ 후원회원 (1인 4매)
18회 45%, 14회 40%, 10회 35%, 6회 30%
▷ 골드회원 (1인 4매)
18회 40%, 14회 35%, 10회 30%, 6회 25%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1인 4매), 그린회원 (1인 2매)
18회 35%, 14회 30%, 10회 25%, 6회 20%
▷ 일반회원 (1인 4매)
18회 30%, 14회 25%, 10회 20%, 6회 15%
※ 합창석 오픈
- 2019년 3월 19일(화) 오후 2시
※ 전산 작업으로 인해, 오픈 당일인 3월 19일(화) 오후 1시 30분부터 2시까지 약 30분 동안 예매가 불가합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티켓오픈
- 예술의전당 후원회원 : 2019년 2월 12일(화) 오후 2시
- 예술의전당 유료회원(골드,블루,그린,예당우리V카드) : 2019년 2월 13일(수) 오후 2시
- 예술의전당 일반회원(싹틔우미,노블회원 포함) : 2019년 2월 14일(목) 오후 2시
※ 클릭 시 예매페이지 이동
- 2019 교향악축제 -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교향악단(4.2)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KBS교향악단(4.3)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대구시립교향악단(4.4)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대전시립교향악단(4.5)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원주시립교향악단(4.6)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춘천시립교향악단(4.7)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군포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4.9)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인천시립교향악단(4.10)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4.11)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서울시립교향악단(4.12)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광주시립교향악단(4.13)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울산시립교향악단(4.14)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창원시립교향악단(4.16)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4.17)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부산시립교향악단(4.18)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4.19)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4.20) 예매하기
- 2019 교향악축제 - 중국 국가대극원 오케스트라(4.21) 예매하기
수식어가 필요없는 4월의 페스티벌, <2019 교향악축제>
1989년 음악당 개관 1주년을 기념하여 시작된 <교향악축제>는 어느새 아시아 최고, 최대의 오케스트라 페스티벌로 발전하여 2019년 개최 30주년을 맞이합니다.
4월 2일 제주도립교향악단을 시작으로 4월 21일 중국 국가대극원 오케스트라까지 총 18개 교향악단의 연주를 통해 수준 높은 클래식 음악의 향연을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
<출연>
연 주 | 서울시립교향악단
지 휘 | 윌슨 응
첼 로 | 김두민
[프로그램]
베토벤 / 레오노레 서곡 제1번 Op.138
L. v. Beethoven / Leonore Overture No.1, Op.138
드보르자크 / 첼로 협주곡 b단조, Op. 104
A. Dvorak / Cello Concerto in b minor, Op.104
라흐마니노프 / 심포닉 댄스 Op.45
S. Rachmaninov / Symphonic Dances, Op.45
[프로필]
지휘 | 윌슨 응 Wilson Ng, Conductor
윌슨 응은 최근 프랑크푸르트 알테 오퍼의 신년 음악회에서 스크리아빈의 대작인 ‘법열의 시’를 지휘하여 기립박수와 독일신문 「Frankfurter Rundschau」 지로부터 ‘정확한 황홀경’ 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윌슨 응은 2018년 파리에서 열린 제4회 스베틀라노프 국제 지휘 콩쿠르, 2017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게오르그 솔티 국제 지휘 콩쿠르, 2016년 아스펜 음악제에서 진행된 제임스 콜론 지휘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그는 현재 서울시립교향악단에서 부지휘자로 활동 중이며 중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부지휘자로 선임되었다.
1989년 홍콩에서 태어난 윌슨 응은 11살 때 첫 플루트 레슨을 받았고, 파리와 로잔에서 수학했다. 지휘자로 활동하기 전, 리옹 국립 오페라에서 객원 플루트 수석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베를린 예술대학교와 스코틀랜드 왕립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했다. 퍼시픽 음악제와 아스펜 음악제에서 펠로우로 선정되어 로버트 스파노, 마이클 스턴, 마르쿠스 슈텐츠, 윤 메르클에게 배웠다. 그는 또한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데이비드 진먼, 로저 노링턴, 존 넬슨의 마스터클래스에도 참가했다.
윌슨 응은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베를린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트라, 쾰른 서부독일방송교향악단, 라디오 프랑스 오케스트라, 덴마크 국립 교향악단, BBC 스코티시 오케스트라, 융에 도이체 필하모니,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포함한 세계 유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홍콩에서 윌슨 응은 구스타프 말러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예술감독과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이 오케스트라와의 첫 해외 공연으로 2017년 부산 마루 국제 음악제에 참가하였다. 2017년 그는 예술과 문화부문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홍콩 정부로부터 공로상을, 2018년에는 홍콩 예술 발전 협의회로부터 젊은 예술가 상을 받았다.
2019년 일정으로는 서울시립교향악단과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하는 교향악축제, 베이징 현대 음악 축제의 개막공연인 중국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공연이 있다. 그는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공연하는 베를리오즈의 레퀴엠과, 메조 소프라노 조이스 디도나토와 스트라스부르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진행하는 베를리오즈의 ‘파우스트의 겁벌’ 녹음(워너 브라더스 레이블)에서 존 넬슨의 대체 지휘자로서 역할을 계속할 예정이다.
첼로 | 김두민 Doo-Min Kim, Cellist
첼리스트 김두민은 서울에서 태어나 아홉살에 첼로를 시작했다. 예원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한 후 독일 하노버국립음대에서 디플롬과정과 쾰른국립음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수료하였다. 장형원, 정명화, Tilmann Wick, Frans Helmerson에게 사사했으며, 예술적인 영감과 이해를 넓히기 위해 Steven Isserlis, Lynn Harrell, Arto Noras, Boris Pergamenschikow에게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배웠다.
첼리스트 김두민은 솔리스트와 실내악 연주자로써 꾸준히 한국, 유럽,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서울시향, 인천시향, 경기필하모닉, 대전시향, 청주시향,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Aspen Music Festival Orchestra, Finnish Radio Orchestra, Helsinki Philharmonic Orchestra, Munich Chamber Orchestra, Philharmonia Hungarica, Tapiola Chamber Orchestra, D?sseldorf Symphony Orchestra 와 협연 한 바 있고 특별히 Andre Previn의 지휘 하에 Oslo Philharmonic Orchestra와 노르웨이와 독일에서 협연하며 성공적으로 순회공연을 하였다.
한국에서 이미 동아일보 콩쿠르, 안익태 첼로 콩쿠르를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낸 김두민은 아스펜국제콩쿠르에서 우승, 파울로 국제첼로콩쿠르에서 상위입상하며 국제콩쿠르 무대에서도 성공적으로 데뷔하였다. 특히 베르비에 음악 페스티발에서 Prix Apcav상을 유럽문화재단에서 차세대 예술가상을 수상하며 예술가적 능력을 인정받았다.
2000년부터 안내소피무터 재단의 후원을 받게 되었는데, 특히 안네소피 무터와 다수의 실내악 연주회 활동으로 그녀에게서 큰 음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2011년부터 결성된 Mutter`s Virtuosi 앙상블의 멤버로써 유럽, 중국, 대만,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순회공연을 마쳤다. 2016년에는 안네소피무터와 람베르트 오르키스와 함께 서울에서 피아노 트리오를 연주한 바 있다.
첼리스트 김두민은 안네소피무터 재단에서 후원한 Jean Baptiste Vuillaume을 연주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 지금까지 D?sseldorf Symphony Orchestra의 첼로 수석으로 활동 중이다.
서울시립교향악단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74년의 역사를 지닌 서울시향은 2005년 재단법인으로 독립 이후,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 전 예술감독의 리더십 아래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성장했다.
수석객원지휘자 티에리 피셔와 마르쿠스 슈텐츠, 부지휘자 윌슨 응 그리고 세계적 명성의 객원지휘자, 협연자가 함께하는 정기연주회는 탁월한 음악적 성과와 프로그래밍으로 한국 클래식 음악계를 주도하고 있다.
서울시향은 2010년 이탈리아, 독일, 체코, 러시아 등 유럽 4개국 9개 도시 투어, 2011년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 등 유럽 페스티벌 투어, 2012년 로스앤젤레스 등 북미 투어를 통해 기립박수와 호평을 받았다. 2014년에는 영국 BBC 프롬스를 비롯한 유럽 4개 도시 페스티벌 무대에 올라 관객과 현지 언론으로부터 찬사를 받는 등 한국 최고의 교향악단을 넘어 세계무대에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2015년에는 중국 국가대극원과 일본 산토리홀 초청 공연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2018년 유럽순회공연을 통해 프랑스 파리, 스위스 루체른 등에 최초로 진출하면서 아시아의 주요 오케스트라로서 입지를 다졌다.
전문 공연장에서의 콘서트 외에도 ‘우리동네 음악회’, ‘광복절 기념음악회’, ‘강변 음악회’ 등 서울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공익 음악회와 교육사업 등을 펼치며 서울시민과 호흡하고 있다.
서울시향은 2011년 세계적인 클래식 음악레이블인 도이치 그라모폰(DG)에서 5년 동안 매년 2장의 음반을 출시하기로 계약을 맺고 지금까지 총 9장의 음반을 발매했다.
관람석 총 2,505석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1,508석
2층 568석
3층 429석
2019 교향악축제 - 서울시립교향악단 (4.12)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