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리니스트 김은식의 ‘Joie de vivre(삶의 기쁨)` 시리즈가 3회를 맞이해 바로크 음악으로 색다른 무대를 선보인다. 최근 세계 최고의 고음악 학교인 네덜란드 헤이그 왕립음악원에서 료 테라카도에게 바로크 바이올린을 사사받고 있기에 그녀의 변모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특히 이번에는 하프시코드의 최고수준 반열에 오른 Marcin swiatkiewicz와 헤이그 왕립음악원과 암스텔담 음악원의 교수 Mieneke van der Velden의 바로크첼로가 함께하는 무대이기에 더욱 흥미롭다.
누구에게나 평등한 예술교육이라는 모토아래 꾸준히 음악교육과 ‘울림과 퍼짐’ 문화공간을 운영하며 고품격 음악 보급 활동에 앞장서고 있는 그녀의 예술을 통한 부드럽고 강한 외침이 더욱 빛나는 자리가 될 것이다. 특별히 오랜 시간 한국 페스티벌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하며 음악적 존중으로 끈끈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페스티벌 앙상블의 박은희 감독이 해설을 맡아 더욱 기대된다.
[프로그램]
D. Castello Sonata Prima A. Corelli Sonata for violin solo and continuo in F major Op.5, No.10 G. Frescobaldi Toccata Prima in g minor(2nd book of toccatas) G. Ph. Telemann Fantasia No.7 in E flat major for solo violin TWV 40:20 A. Corelli Trio Sonata da Chiesa in b minor Op.3, No.4 A. Corelli Trio Sonata da Camera in G major Op.2, No.12 `Ciaccona` A. Vivaldi Trio sonata in d minor RV 63 `La Folia`
[프로필]
Violinist 김은식
바이올리니스트 김은식은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및 IBK홀, 호암 아트홀, 세종체임버홀, 금호아트홀, EBS-Space ‘공감’ 등의 여러 무대에서 솔리스트이자 실내악 연주자로서 공연을 펼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귀욤 쉬트르, 올리비에 샤를리에, 강동석, 가츠키 사와, 타마에 나츠미, 피아니스트 신수정, 김영호, Veronique Pelissero, 야마구치 히로아키, 첼리스트 양성원, 프랑스의 클라리네티스트 로망 귀요등 정상급 연주자들과 많은 실내악 활동을 하였다.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심포니, 부산 신포니에타와 협연하였고, 육영 음악 콩쿠르와 부산 MBC콩쿨에서 수상, 젊은이의 음악제에 출연하였으며, 미국 Sprague Memorial Hall에서의 독주회를 비롯하여,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중국, 홍콩, 필리핀, 세이셸공화국 등 에서 초청공연을 가졌다.
클래식 현악 사중주와 재즈 트리오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큰 주목을 받은 앙상블 오마주의 제1바이올린으로서 20세기 작곡가들의 실험적 음악 프로젝트를 EBS-space ‘공감’에서 6개월간 공연하였으며 다섯 장의 음반을 녹음하였고 또한 강은수, 류재준과 같은 한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세계 초연하는 등 현대음악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13년 12월에는 앙상블 시락의 리더로서 북경과 홍콩에서 현지 연주자들과 아리랑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또한 플룻의 김대원, 피아노의 유주연과 트리오 작품집을 KBS 에서 녹음, 발매하였으며, 프랑스의 UZES music festival, 스페인의 테네리페의 Arona music festival, 필리핀 Opus international festival에 초청되어 연주 및 강의를 하였고 프랑스의 Chateau La Bourdaisiere, Chateau de Chaumont 와 일본의 5대 도시에서 투어공연을 가졌다.
`누구에게나 평등한 예술교육` 이라는 모토로 김은식은 장애인을 위한 밀알 콘서트, 소년의 집 및 소아암 환우 돕기, 여성 청소년 쉼터학생 및 미혼모를 위한 음악회 등에 지속적으로 출연해 왔으며,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LG 사랑의 학교의 강사 및 서울시 토요 문화학교 주강사로서 많은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2016년부터 ‘책과 음악’ 이라는 문학과 음악을 깊이있게 접목한 시리즈를 기획, 매달 대안공간 울림과 퍼짐에서 진행하고 있다.
서울 예술고등학교와 서울대 음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간 김은식은 Yale University School of Music에서 Master of Music degree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세계 최고의 고음악 학교인 네덜란드 헤이그 왕립음악원에서 료 테라카도에게 바로크 바이올린을 사사하고 있다.
연세대, 총신대,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술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시락 앙상블의 리더, (사) 한국페스티벌앙상블 단원, (재) 벽산장학문화재단의 사무국장으로 재직 중이다.
하프시코드- Marcin Swiatkiewicz (마르친 스비아트키에비쯔)
Harpsichord, Clavichord, Historical piano, Organ 연주자
헤이그 왕립음악원(하프시코드, 작곡, 석사), Karol Szymanowski Academy of Music(PhD) 졸업
[Channel Classics], [Alpha], [Accent], [Decca], [Linn Records], [DUX] 등 유명 고음악 레이블과 다수의 음반 작업
< M thel The Five Keyboard Concertos(label BIS) > 음반 Diapason d’Or award 수상(2015)
Rachel Podger, Brecon Baroque, Divino Sospiro, Capella Cracoviensis, Arte dei Suonatori, Orkiestra Historyczna, Scroll Ensemble 등과 유럽과 미국, 아시아 등지에서 연주
Handel Festspiele, Festival de Radio France Montpellier, Wratislavia Cantans, BBC Baroque Spring, Kings Place Bach Unwrapped series 등 다수의 페스티벌 참가
제1회 International Volkonsky Harpsichord Competition(2010), 제4회 International Telemann Competition(2007) 파이널 리스트
Paszport Polityki, Młoda Polska, Dutch Huygens Scholarship, Silesian Voivodeship, City of Katowice prizes 등 다양한 수상
유럽, 미국, 서아시아 등 세 개 대륙 개인리사이틀 투어(2016)
현) Karol Szymanowski Academy of Music 교수, Capella Cracoviensis 음악감독, < Cromatica > 음반발매 예정
Viola da gamba - Mieneke van der Velden (미네케 판 더 펠든)
헤이그 왕립 음악원 졸업
유럽 고음악 레이블 Channel, Ramee와 레코딩, 다수 Diapason상 수상
유럽 정상의 고음악 단체들과 협연 및 유럽의 유명 음악 페스티벌 초청연주
네덜란드 고음악 앙상블 `L`Armonia Sonora` 음악 감독
현) 헤이그 왕립 음악원, 암스테르담 음악원 교수
바로크바이올린 - Kaori Toda (카오리 토다)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과, 헤이그 왕립음악원(바로크 바이올린) 졸업
야마나시 고음악 경연대회 1위(1992), La Petite Bande, Les Talents Lyrics 참가(유럽 및 미주 투어)
Andreas Scholl, Agnes Mellon, Francois Fernandez, Jos van Immerseel, Kuijken Brothers 등 유명 아티스트와 실내악 연주
바흐 콜레기움 재팬 창단멤버 및 바흐 ‘칸타타’ 음반발매
아니마 콘코르디아 앙상블 창단. 일본, 유럽 등지에서 다수 음악 축제 참여 및 세미나, 강의, 연주 활동
현) Classical Players Tokyo 악장, Anima Concordia Ensemble 멤버, 토호 음악대학 출강(바이올린, 실내악)
곡해설 - 박은희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김은식 바이올린 독주회 삶의 기쁨 Ⅲ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