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 첫 내한공연

  • 기간 2016-07-17(일)
  • 시간17: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110
  • 가격R석 22만원 / S석 17만원 / A석 12만원 / B석 8만원 / C석 5만원
  • 주최(주)빈체로
  • 문의02)599-5743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 첫 내한공연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티켓오픈일정
- 예술의전당 후원.골드.블루.예당우리V카드, 싹틔우미, 노블회원: 2016년 3월 16일(수) 10:00 ~ 23:59
- 일반회원: 2016년 3월 17일(목) 10:00
 
 
 
■ About the Concert
 
`정열과 예술의 나라` 스페인은 건축, 미술, 음식과 함께 클래식에서도 유럽 각국이 갖지 못한 매력을 한 몸에 품은 나라다. 마드리드 심포니(Madrid Symphony Orchestra), 스페인 방송교향악단(RTVE Symphony Orchestra)과 함께 서반아 관현악 역사를 주도적으로 일궈온 스페인 최고의 악단,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Orquesta Nacional de Espana, 이하 ONE)가 2016년 7월 첫 내한공연을 갖는다. 
 
ONE의 이번 투어는 태양처럼 뜨겁게 즐기는 스페인의 열정을 초여름, 한국팬과 함께 하는 컨셉이다. 그동안 유럽 오케스트라들이 동아시아 투어에서 천편일률로 선보인 독일-러시아-프랑스 레퍼토리에서는 맛볼 수 없던 라틴의 정열을 만끽할 프로그램으로 짜여졌다.
 
강렬한 첫 인상을 시작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화려해지는 스페인 관현악 특유의 매력을 한국팬에게 전할 지휘자는 1984년 스페인 마요르카 출신의 안토니오 멘데스다. 멘데스는 파블로 헤라스 카사도(1977년 스페인 그라나다 태생), 안드레스 오로스코 에스트라다(1977년 콜롬비아 태생)와 함께 2010년대 중반 세계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라틴 지휘자다.
 
협연에는 청년 시절 이후 자신의 근거지, 파리에서 묵묵하게 ‘건반의 구도(求道)’를 거듭한 백건우가 나선다. 백건우의 수많은 내한 오케스트라 협연 공연 중에서 이번 공연이 특별한 것은 다른 악단과는 차별되는 ONE의 짙은 라틴 색채와 백건우의 라틴 감성이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 바이오그래피 Biography 
 
□ 오케스트라ㅣ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 Orquesta Nacional de Espana,
 
마드리드를 근거지로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37년 규합되고 1940년 공식적으로 발족한 오케스트라이다. 악단의 출범은 페레스 카사스 필하모니카(Perez Casas` Filarmonica)와 엔리케 페르난데스 아르보스 교향악단(Orquesta Sinfonica of Enrique Fernandez Arbos)이 합병된 형태로 시작됐다. 스페인에선 전속 합창단을 가진 최고의 교향악단으로 꼽혀왔다.
 
글자 그대로 스페인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이며, ONE의 높은 수준은 아르헨타 시대부터 레코드를 통해 알려져 있었다. 수석 지휘자가 프뤼벡으로 바뀐 이후에도 뛰어난 연주를 들려 주었다. 스페인 특유의 리듬과 밝은 음색은 악단의 전매특허로 다른 나라, 다른 지역에서는 들을 수 없는 것들이다. 스페인 필하모닉, 마드리드 콘서트 관현악단의 이름으로 녹음에 임하기도 했다.
 
첫 공연은 1941년 3월 마드리드 테아트로 마리아 게레로에서 당시 포르투갈 출신으로 각광받은 페드로 데 프라이타스 브랑코가 맡았다. 바르톨로메 페레스 카사스가 첫 수석지휘자에 부임하기 전까지 3년동안 에르네스토 할프테르, 호세 마리아 프랑코, 엔리케 호르다, 에두아르드 톨드라, 헤수스 아람바리가 객원 지휘자로 등장했다. 카사스 타계 이후 스페인의 전설적인 명지휘자 아타울포 아르헨타가 1947년부터 58년까지 수석 지휘자를 맡았고 또 다른 스페인의 전설 라파엘 프뤼벡 데 부르고스가 1962년부터 1978년까지 ONE 발전의 초석을 닦았다. 아르헨타와 프뤼벡은 여러 레코딩을 통해 ONE의 인지도를 세계에 알렸다.
 
이후 안토니 로스 마르바, 헤수스 로페스 코보스, 알도 체카토가 묵묵히 스페인 관현악의 현재를 기록했고 2000년대 들어 역동적인 지휘가 돋보이는 호세프 퐁스, 베르나르트 하이팅크의 오른팔과 같은 데이비드 아프캄이 수석 지휘자를 맡으며 ONE 역사의 새 장을 열고 있다. 최근에는 두다멜, 폴 매크리슈, 마르크 민콥스키를 객원 지휘자로 맞아 악단의 스펙트럽을 넓혔다. 비치코프, 에센바흐, 나가노, 루이지 등 객원 지휘자군도 스페인에서 가장 화려하다. 역사적으로 루빈슈타인, 밀슈타인, 오이스트라흐, 로스트로포비치, 제시 노먼, 군돌라 야노비츠, 테레사 베르간사 등 역사에 남을 명 연주가들이 스페인에선 ONE와 함께했다.
 
 
□ 지휘자ㅣ안토니오 멘데스 Antonio Mendez
 
스페인 마요르카 태생의 안토니오 멘데스는 청년 세대 가운데 가장 빠르고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지휘자로 손꼽힌다. 2015/16 시즌 스코티시 체임버, 슈투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과 레코딩을 진행했고 로열 스톡홀름 필과 BBC 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하모니아, 아이슬랜드 심포니에 데뷔했다. 신예 성장의 지표인 재초청에 있어서, 멘데스는 이번 시즌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과 톤 퀸스틀러 오케스트라, 라 모나이 심포니와 다시 만나 연주를 함께 했다.
 
어린 시절부터 취리히 톤할레,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말러 체임버, LA 필, 덴마크 국립 교향악단, 룩셈부르크 필, 로잔 체임버를 지휘하면서 동년배들의 커리어와 비교해 월등한 인지도를 쌓았다. 마요르카와 마드리드 음악원에서 바이올린과 피아노, 작곡과 지휘를 배웠다. 여러 과정을 통해 지휘자를 위한 종합적인 시각과 관점을 키웠다. 스물 셋에 베를린으로 이주해서 2007년부터 베를린 예술 대학에서 루츠 켈러를, 바이마르 리스트 음대에서 니콜라스 파스케를 사사했다. 2013년 마젤이 창설한 캐슬턴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풀랑 ‘사람의 목소리’를 지휘한 이후 LA 필에 데뷔했다. 지난 시즌에는 빈 심포니, 헬싱키 필, 도이치 라디오 필, 신 일본 필, 헤이그 필과 함께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현재는 라이프치히에 거주하고 있고 독일 생활만 10년이 됐다. 스페인 출신이지만 독일음악에 정통한 해석을 인정받고 있다. 바톤 테크닉을 중시하는 아티큘레이트한 지휘와 여느 스페인 지휘자들과 달리 과장 없는 지휘 폼이 특징이다. 에너지와 음악성, 프로정신과 함께 미소와 자신감을 선사하는 것을 지휘자의 미덕으로 삼는다. 언젠가 포스트에 오른다면 단순히 음악가들의 리더에 머물지 않고 악단이 근거로 한 지역의 일원으로서 일하고 싶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3개 대륙에 걸쳐 일자리를 옮기는 일부 수석지휘자와는 달리, 50년전 아바도가 밀라노에서 그랬던 것 처럼, 한 지역에서 추앙받는 것이 음악가로서 먼저 받을 인정이며 공동체의 일원으로 지역의 학교와 병원을 오가고 싶다는 것이 그의 포부다.
 
□ 피아니스트ㅣ백건우 Kun-Woo Paik
 
서울에서 태어난 백건우는 10살 때 한국 국립 오케스트라와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으로 첫 콘서트를 가졌다. 다음 해에 그는 무소로그스키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을 그의 이름을 건 연주회에서 연주했다. 15살 때 미국으로 건너가서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러시아 피아니스트의 위대한 전통을 잇고 있는 로지나 레빈을, 1967년 런던으로 건너가 일로나 카보스를 사사하였고 같은 해 나움버그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1969년 백건우는 리벤트리 콩쿠르의 결선에 올랐으며 같은 해 세계적인 권위의 부조니 콩쿠르에서 골드 메달을 받았다. 이후 디아파종상 수상, 프랑스 3대 음악상 수상 등으로 더욱 명성을 높였으며, 1972년 뉴욕의 링컨 센터에서 처음으로 라벨의 독주곡 전곡을 연주, 베를린 필하모닉 홀에 이어 런던과 파리에서 연주함으로써 라벨의 뛰어난 해석자로서의 입지를 굳혀나갔다.
 
1998년에는 RCA 레이블로 라흐마니노프 협주곡을 발매, RCA 레이블의 한 프로듀서는 “러시아 사람보다 더 라흐마니노프를 잘 이해하는 연주자”라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런던과 파리에서 6개의 리사이틀 시리즈로 프란츠 리스트의 솔로 작품으로 이루어진 뛰어난 음악 이벤트를 열었고, Le Matin지의 브리트 마생은 “백건우의 리스트 연주는 이 작품의 가슴 속 깊은 곳으로 청중을 끌어 들여 그 심장 박동을 느낄 수 있는 불가사의한 여행과도 같다.”라고 언급했다.
 
백건우는 1992년 1월, 스크랴빈 피아노 작품집 앨범으로 디아파종 상을 수상하였으며, 1993년 낙소스 레이블로 발매된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5개 전곡 녹음으로 다시 한 번 디아파종 상을 수상하는 동시에 프랑스 3대 음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이외에도 버진 레이블로 발매된 “헝가리안 랩소디”는 그라모폰 시상식에서 크게 호평 받았다. 그리고 2000년 데카와 계약을 맺은 후 첫 앨범으로 부조니가 편곡한 바흐의 오르간곡과 프랑스에서 주요상을 받은 두 번째 앨범 포레의 소품집이 출판되어 또 한 번 음악계의 찬사를 받았다. 
 
 
  
 

※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미 지참시에는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한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 후원회원, 골드회원 15% (4매) - 블루회원, 예술의전당우리V카드 10% (4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40% (등급별 5매 한정판매) - 노블회원 본인 40% (등급별 5매 한정판매) - 삼성카드할인 10% (1인4매 / 삼성카드 결제시)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3급) 본인 및 동반1인 50% / (4급~6급)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소지자 본인 및 동반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소지자 본인 50%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 첫 내한공연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5.09(금)
작품명 스페인 내셔널 오케스트라 첫 내한공연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