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시간]
11:00~20:00
이번 본 미술단체 한국현대미술신기회 72회 전시는 소통과 공감전(창립 60년 기념 한국 현대미술 신기회 제72회 전)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전시를 기획하였습니다. 구상화단의 중추적 역할과 창작활동을 하는 원로와 중진작가로 구성되어 있는 본 미술단체는 이번 전시기획을 ‘구상미술의 소통과 공감’이라는 주제로 자연의 섭리 속에 흐르는 자연의 이치를 작가가 각기 다른 기법과 시각적 논리로 표현한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며, 전시장이라는 공간에서 관람객과 좀 더 가깝게 소통하여 작가와 관람객이 서로간의 공감을 유도하는 전시가 되도록 기획하고 있습니다.
현대미술이 우리나라의 시대적 환경과 배경적 영향으로 일반 서민들에게 쉽게 접근되지 못하고 이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계층과 취향의 관람객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작가가 한층 키를 낮추어, 작가는 관람자를 관람자는 작가의 시각을 이해시키고,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대에 본 단체에서는 작가와 관객이 서로 공감하고 소통하는 하나의 장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서로 각기 다른 모양으로 다양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본 단체의 미술작품을 통해 조금이나마 보다 더 나은 삶으로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 매개체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참여작가]
(가나다순)
회원전
공숙자, 공진모, 권복희, 권용순, 기태희, 김경순, 김길자, 김명희, 김성실, 김영애, 김예순, 김은숙, 김은희, 김익란, 김종수, 김종이, 김차남, 김창남, 김혜옥, 김혜원, 남희자, 문상렬, 문창수, 문홍기, 민병각, 박순남, 박영미, 박정기, 박화자, 박흥수, 방복희, 배정혜, 백성기, 서해정, 선호락, 성정순, 송부미, 송영기, 신미상, 신범승, 양성모, 양창부, 엄주택, 오명원, 오정식, 우승노, 유윤식, 유진선, 윤선자, 윤정단, 이경용, 이광수, 이길순, 이상무, 이상진, 이성미, 이신애, 이옥정, 이은희, 이재구, 이종열, 이주영, 이진표, 이혜임, 임창순, 장부남, 장정순, 장정혜, 정미애, 정연택, 정영진, 정정신, 정지권, 정휘철, 조려숙, 조성호, 조영철, 조향순, 주영기, 지선영, 차병철, 차선영, 최홍열, 한석춘, 한용국, 한은예, 한태희
부스전
김진명, 윤재우, 안영목, 이상훈(작고작가4명)
공숙자, 권복희, 김예순, 김은숙, 김은희, 문창수, 박영미, 신범승, 윤정단, 이길순, 조려숙, 한석춘, 한은예
[대표작품]
공숙자, wide skirt, 120×60.0㎝, 판넬 위에 옻칠기법, 자개, 난각, 금판
김종수, 도시나무, 116.8×80.3㎝, Mixed Media
김종이, 내마음의 정원, 60.6×60.6㎝, Oil on Canvas
김진명(작고작가), 초여름(初夏), 65.1×53.0㎝, Oil on Canvas
문창수, 신명 2015-3, 72.7×50.0㎝, Mixed Media on Canvas
안영목(작고작가), 사천성터의 滿開, 72.7×53.0cm, Oil on Canvas, 2010
오정식, 산동의 봄, 90.9×65.1㎝, Oil on Canvas
유진선, 마곡사의 봄, 72.7×60.6㎝, Oil on Canvas
윤재우(작고작가), 장미의 계절, 2002
이상훈(작고작가), 화려한 화전, 116.8×80.3㎝, Oil on Canvas
본관 전체 3층 총 6개 전시실
1990년에 문을 연 한가람미술관은 조형예술 전시를 위한 최적의 공간이다.
2003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최신의 설비로 재탄생 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에 6개의 전시장과 수장고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채광에 가까운 광천정 시스템으로 편안한 관람 분위기를 조성한다. 매년 50여 건이 넘는 전시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고대문명을 소개하는 전시회부터 현대 미술까지 아우르고 있다. 예술의전당이 기획하여 주최한 주요 전시는
<반 아파르트헤이트전>, <유럽공동체신진작가전>, <칸딘스키와 아방가르드전>, <고대 이집트 문명전>,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전>, <램브란트판화전>, <밀레와 바르비종파 거장전>, <오르세미술관 한국특별전>,
<프랑스 국립 베르사이유 특별전>,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쿠사마 야요이전>, <페르난도 보테로전>, <니키 드 생팔전> 등이 있다.
구상미술의 소통과 공감전(한국현대미술 신기회 72회전)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