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미래악회 40주년 기념 작품발표회

  • 기간 2016-10-26(수)
  • 시간20:00
  • 장소 리사이틀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90
  • 가격일반석 1만원
  • 주최미래악회
  • 주관현대문화기획
  • 후원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의02)2266-1307

미래악회 40주년 기념 작품발표회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프로그램]
 
박인호   < 1 Satz mit 3 Skizzen > Musik fur Solo-Klavier(auch Melodion) (초연)
정태봉   플루트와 가야금을 위한 < 학무 >
이돈응   현악삼중주를 위한 < 넋두리 > (초연)
이만방   현악삼중주를 위한 < 락(樂) >
나인용   < Hon-Ja > for Baritone, Violin and Piano
백병동   < Trio > fur Violine, Violoncello und Klavier
강석희   < Metamorphosis > for String Quartet (편곡초연)
 
 
[프로필]
 
박인호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독일 Essen 국립음악대학교 대학원 작곡과 졸업
PAN Music Festival 음악감독, ACL-Korea 한국위원회 부회장, ISCM 한국지부 회장 역임, (사)한국작곡가협회 부이사장 역임
ACL Tokyo-Sendai Asian Music Festival 입선, 제13회 대한민국작곡상 우수상, ISCM Yokohama 세계음악제 입선, 제20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Seoul Asian Music Festival 입선, ISCM Swiss 세계음악제 입선, 한국음악상 본상, 제27회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제3회 대원음악상 작곡상 수상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정태봉 鄭台鳳, Tai-Bong Chung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동 대학원(작곡전공) 졸업하였으며, 독일국립 칼스루에 음악대학(Staatliche Hochschule fuer Musik Karlsruhe) 대학원 작곡전공 Konzertexamen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음악대학 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예술장학생, Karlsruhe 현대음악제 입선, 대한민국작곡상 실내악부문,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한국음악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주요작품으로 교향시<한국>, 교향시<백두대간>, 교향시<남강>, 국악관현악을 위한<개천>, 국악관현악을 위한<동해(東海)>, 해금과 국악과현악을 위한 협주곡<독도(獨島)>, 현악합주를 위한<한강>,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수상(隨想)>, 목관5중주를 위한<예언자>, 2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전설>, 4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진혼(鎭魂)>, 5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 현악4중주<니타나(尼陀那)>, 현악5중주<진도, 밀양아리랑 두 주제에 의한 이중변주곡>, 플루트와 가야금을 위한<학무(鶴舞)>, 대금8중주<죽영(竹影)>, 가곡<눈>,<나그네>,<길>,<환청>,<첫사랑>,<논개>,<바다 앞에서>,<가을노트> 등이 있으며 현재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돈응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하였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에서 작곡, 지휘 및 전자음악을 공부하였다.
 91년부터 94년까지 독일 남서방송국 하인리히-슈트로벨-재단의 엑스페리멘탈 스튜디오에서 컴퓨터음악 및 미디음악 책임자로 있었으며 작곡가 Roland Breitenfeld(서울대 교수)와 함께 Profectio-initiative 라는 현대음악 및 전자음악 Ensemble을 결성하여 지휘와 작곡 및 전자음악 연주활동을 하였다.
 94년 귀국하여 95년부터 2004년까지 한양대학교, 2005년부터는 현재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운지회 회장과 한국전자음악협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작곡가 협회 부이사장과 아시아작곡연맹 한국위원회 회장으로 작곡 및 전자음악 분야에 많은 활동을 해오고 있다. 2000년에는 문화관광부 주관 새로운 예술의 해 추진위원회 음악부문위원장직을 맡아 상호작용 속에 이루어지는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네트워크 음악 형태를 제시하기도 하였고, 특히 한국 전자음악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그의 전자음악은 한국적 소리와 자연과 관련된 소재를 많이 다루고 있으며, 특히 현재는 각종 센서로 컨트롤되는 인터액티브한 라이브 전자음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의 작품 속에는 감성적인 면과 치밀한 계산에 의한 음악이 잘 융합되어 나타나며 한국적 소재의 음악에 내재하는 자연 소재에 바탕을 둔 Technology 음악 등을 발견하게 된다.
 
이만방 李 萬 芳, Man Bang YI
1945년 경남 거창 생
 
나인용 (1936~ )
연세대학교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대학원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작곡과 교수(음악대학장)를 역임 하였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수페리어), 미네소타 대학교(둘루스)와 성 스콜라스티카 대학에서 풀부라이트 교수로 강의 하였다.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위원회 회장 역임, 현대음악 앙상블 “소리”를 창단 하였고 3.1 문화상등을 수상 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와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다.
저서는 18세기 대위법등이 있다.
 
백병동
- 1936년 만주출생
-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현 서울대 명예교수
- 진행형 작곡가
한국 현대음악의 서정성에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백병동은 서울대 작곡과를 거쳐 독일 하노버 음대에서 작곡가 윤이상을 사사하였다. 날카로운 직관력과 따뜻한 서정성이 실린 한국적 음을 토대로 지난 50년간 독주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오페라, 칸타타 등 여러 분야에 걸쳐 100여곡이 넘는 작품을 발표하여 한국 현대음악계의 선봉장이 되고 있다.
 1961년 신인예술상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작곡상,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 서울시 문화상, 한국 음악상, 대원 음악상등을 수상한 백병동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작곡과 교수와 백석대학교의 석좌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와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서 끊임없는 작품 활동과 후진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널리 연주되는 그의 작품은 한국 작곡계가 세계적 흐름에 동참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머리와 손으로 자신을 훈련하는 작곡가로서 끊임없는 실험과 체험, 그리고 뛰어난 심미안으로 자신의 소리를 과장 없이 들려주는 그는 우리 시대의 진솔한 작곡가이다.
 
강석희 Sukhi Kang (1934~ )
1960년 서울음대 작곡과 졸업. 1970-1975년 독일 하노버 음대와 베를린 공대 졸업 및 수학.
윤이상, 블라허, 빙켈을 사사했고, 1982-2000년 서울 음대 교수 역임. 1966년 한국의 최초 전자음악 ‘원색의 향연’ 발표.
1969-1992년 서울 국제 현대음악제 범 음악제 감독. 1970년 3-6월 일본 오사카 국제 만국박람회 한국관 작곡. 1976년 Rostrum of composers(Paris-UNESCO) 작곡상 수상. 1984년부터 1990년까지 ISCM 국제현대음악협회 부위원장 역임. 1988년 올림픽 음악감독, 성화음악 작곡. 1997년 세계음악제 주관.
2000년-2001년 새로운 예술의 해 추진위원장. 보관문화훈장 수훈(문화관광부)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ISCM 종신 명예회원,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미 지참시에는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한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 문화가 있는 날 50% (공연 당일 잔여석에 한함) - 후원회원, 골드회원 30% (5매) - 블루회원, 예술의전당우리V카드 20% (5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50% - 노블회원 본인 40% - 초.중.고.대학생 본인 50%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본인 50% - 문화패스 청소년(만13세~만24세) 본인 50% - 문화패스 대학생 본인 50% - 예술인패스 소지자 본인 30% - 20인이상단체 20% (예술의전당 전화 및 방문예매)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3급) 본인 및 동반1인 50% / (4급~6급)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소지자 본인 및 동반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소지자 본인 50%

관람석 총 354석

  • 일반 판매석350석
  • 휠체어석4석

리사이틀홀명료한 음향을 자랑하는 리사이틀홀

1988년 문을 연 소규모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 잔향보다 명료함이 요구되는 연주회에 최적화되어 있는 공간이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2층 354석 규모로 새단장 하였다.리사이틀홀은 데뷔 무대, 귀국 발표회, 실내악 앙상블 뿐 아니라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무대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사이틀홀 1층 좌석도 1층2열2번 1층2열9번 1층2열17번 1층6열2번 1층6열9번 1층6열17번 1층11열2번 1층11열9번 1층11열17번 1층오른쪽사이드10번 1층오른쪽사이드18번 1층오른쪽사이드22번 1층오른쪽사이드장애인석2번 1층왼쪽사이드2번 1층왼쪽사이드10번 1층왼쪽사이드16번 1층왼쪽사이드22번 2층뒷줄1열2번 2층뒷줄1열10번 2층뒷줄1열19번 2층뒷줄3열5번 2층뒷줄3열18번 2층오른쪽사이드2번 2층오른쪽사이드10번 2층오른쪽사이드16번 2층왼쪽사이드2번 2층왼쪽사이드10번 2층왼쪽사이드16번
  • 1층 262석

    • 일반석258석
    • 휠체어석4석
  • 2층 92석

    • 일반석92석

미래악회 40주년 기념 작품발표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없음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7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9.11(목)
작품명 미래악회 40주년 기념 작품발표회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