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아버지 바흐의 331번째 생일파티 Happy Birthday Bach!
2015년 전석매진의 성원에 힘입어 두 번째 이어지는
위대한 음악가 바흐의 두 번째 생일파티
2015년 음악의 아버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33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열렸던 해피버스데이,바흐가 이번에는 시즌2로 찾아온다. 3월 20일 그의 생일에 맞춰 열리는 <해피버스데이 바흐, 시즌2>에서는 바흐의 인생과 그의 음악 세계를 조명하는 두 번째 시간을 갖는다. 해피버스데이 시리즈는 스톰프뮤직에서 최고의 음악가들의 탄생을 기념하며 그들의 음악과 삶을 이야기와 음악으로 풀어내는 클래식 렉쳐 콘서트로 펼쳐진다. 해설에는 작년에 이어 비올리스트 김상진이 진행할 예정으로 그의 친절한 해설과 바흐의 교회음악, 가족 그리고 몰랐던 그의 면모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 볼 예정이다. 해피버스데이 시리즈는 올해 3월 바흐로 그 첫 선을 보이며 이후 쇼팽, 라벨로 매진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이어지는 이번 앙코르 콘서트는 아직도 얘기할 것들이 너무 많은 바흐의 이야기와 음악들이 함께한다.
독주부터 앙상블, 무반주 조곡부터 콘체르토까지 다양한 음악성을 보여주는 바흐의 프로그램 속으로!
비올리스트 김상진의 해설, 그리고 클래식계의 새로운 바람 솔리앙상블의 피아노 콰르텟과 오보에로 화려한 구성
바로크의 대표적인 작곡가, 음악의 아버지 바흐. 다작으로 유명한 바흐는 그만큼 명작들도 많다.바흐하면 생각나는 멜로디로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작년에 이어 바흐의 수많은 대작들 중 아직 못다한 유명 프로그램을 이번 <해피버스데이,바흐 시즌2>에서는 다양하고 다채롭게 선보인다.
비올라 다 감바 소나타, 첼로 무반주 조곡 3번 등 숨어있던 바흐의 명곡을 찾아서!
기존에는 없었던 특별한 구성으로 더욱 더 풍성해진 프로그램
이번 두 번째 <해피버스데이,바흐 시즌2>에서는 기존에 쉽게 듣기 힘들었었던 바흐의 숨은 명곡과 특별한 구성으로 바흐에 의한 바흐만을 위한 공연이 될 예정이다. 기존에 많이 연주되던 1번의 프렐류드가 아닌 숨어있던 명곡으로 3번이 연주될 예정이다. 3번의 프렐류드와 부레1,2 그리고 지그로 이어지며 진정한 바로크 음악의 진수를 보여준다. 비올족으로 1400년대에 유행하였다가 현재는 잘 찾아보기 어려운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해 바흐가 작곡한 소나타 2번을 비올라로 들어볼 수 있는 귀중한 시간도 준비되어 있다. 또한 작년 있었던 공연 이후 큰 관심을 받았던 것에 이어 골드베르그의 피아노 콰르텟 버전의 다른 악장을 선보여 첫 번째 공연의 명맥을 이어갈 예정이다.
[프로그램]
바흐 - 인벤션 1번 C장조, BWV 772
J.S.Bach - Invention No. 1 in C Major, BWV 772
바흐 - 시칠리아노 BWV 1031
J.S.Bach - Kempff - Siciliano for Piano BWV 1031 - 피아노 김재원
바흐 - 첼로 무반주 조곡 3번 C장조, BWV 1009
J.S.Bach - Cello Suite No. 3 in C major, BWV 1009 - 첼로 박고운
바흐 - 비올라 다 감바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2번 D장조, BWV 1028
J.S.Bach - Sonata No. 2 for Viola da Gamba & Keyboard in D major, BWV 1028 - 비올라 이신규, 피아노 김재원
바흐 - 칸타타 BWV 147, 5악장 `주 예수는 나의 기쁨`
J.S.Bach - Kantata BWV 147, Mov.5 `Jesus bleibet meine Freude` - 솔리앙상블, 오보에 곽나영
- Intermission -
바흐 - 오보에와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BWV 1060
J.S.Bach - Concerto for Violin and Oboe in c minor, BWV 1060 - 솔리앙상블, 오보에 곽나영
바흐 - 골드베르그 변주곡 (피아노 콰르텟)
J.S.Bach - Goldberg Variations for Piano Quartet - 솔리앙상블
*본 프로그램과 출연진은 출연자의 사정에 의해 예고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프로필]
비올리스트 및 해설 / 김상진
일찍이 동아 콩쿠르 역사상 최초의 비올라 우승자로 음악계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김상진은 독일 퀼른 음대와 미국의 줄리어드 음대에서 수학한 후 그간 미국의 말보로, 아스펜, 독일 라인가우, 빌라 무지카, 체코 프라하 스프링, 프랑스 쿠쉐벨 뮤직알프 페스티벌 그리고 카네기홀, 링컨센터, 케네디 센터, 메트로폴리탄 뮤지움, 쇤베르크 홀, 프랑크푸르트 알테 오퍼홀, 비인의 무직 페라인홀 등 전 세계의 40여개국 80여개의 주요 도시와 페스티벌에서 연주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비올리스트로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세종 솔로이스츠와 금호현악사중주단 등을 거치며 전 세계에 ‘문화한국’의 이미지를 제고한 공로로 2001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고 2002년 대한민국 문화 홍보대사로 위촉되는 등 민간 외교관 역할까지 수행한 그는 국내에서도 KBS 교향악단, 서울시향, 코리안 심포니, 수원시향 등 주요 오케스트라의 정기연주회 솔리스트로 초청되었고, 화음 체임버 오케스트라를 이끌면서 MIK앙상블, 코리아나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 KT 앙상블,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등 다양한 무대를 통해 비올라의 매력을 한껏 발산하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앙상블 뉴화인아트의 예술고문으로도 활동 중이다.
SOLI Ensemble
클래식 실내악계의 다크호스, 솔리앙상블은 각 파트를 대표하는 솔리스트들이 모여 젊은 열정과 화려함으로 다져진 사운드를 들려준다. 정통 국내파 바이올리니스트로는 놀라운 면모를 보여주며 실내악계의 유명 스타로 거듭난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윤, 줄리어드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 현재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비올리스트 스티브리, 빈 국립음악원 최연소 입학, 피바디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공부를 마치고 현재 올림푸스앙상블의 일원으로도 활동중인 첼리스트 박고운, 지성과 실력을 겸비한 놀라운 차세대 연주자로 실내악으로 다져진 다양한 레퍼토리와 한국 클래식 피아노계의 새로운 지평선을 열 아티스트로 손꼽히는 피아니스트 김재원까지 대중들에게 가까운 레퍼토리와 진중한 클래식 프로그램까지 섭렵하는 신세대 클래식 앙상블이다. 2014년 결성이후 예술의전당, 신세계 지식향연 등 여러 무대에서 그들만의 에너지넘치는 연주로 실내악계의 신성으로 떠오르며 주목받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윤
- 예원학교 수석 입학, 졸업
- 서울예고 재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조기입학,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최고연주자과정 이수
- Ishikawa Music Academy Festival (japan)참가 및 연주, Keshet Eilon International Violin Matercourse (Israel) 참가 및 연주, International Yfrah-Neaman violin competition 1위, 청중상 및 모짜르트 상 수상
- 2006 동아음악콩쿨 1위, 2007 KBS신인음악콩쿨 바이올린부문 금상, 독일 비스바덴에서 Mainzer Meisterkonzert와 연주
- 서울시향, 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 knua심포니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Hradec kralove philharmonic orchestra 외에 국내 외 유수 오 케스트라와의 협연, 2010 헝가리 쉐게드 뮤직 페스티발 연주, 성남아트센터 -마티네 콘서트 코리안심포니와 협연
- 다큐멘터리 클래식 음악영화 `앙상블`출연
- 현재 올림푸스 앙상블, 화음쳄버오케스트라의 단원, 솔리앙상블로 활동 중
비올리스트 스티브 리(이신규)
- 줄리어드 예비학교, 줄리어드 음대 학사, 석사 전액 장학생 졸업
- 충남 교향악단 객원 수석, 디토 오케스트라 객원 수석, Chelsey Symphony객원 수석 역임
- Colorado Spring Music Festival Orchestra 수석, Atlantic Music Festival Orchestra 수석, Sarasota Music Festival Orchestra 부수석, Bowdoin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Orchestra 수석, 부수석
- 독-우 문화 교류 초청연주, Karkov Orchestra와 CCMF Orchestra 협연으로 메인 주 생방송 라디오 MPBN 출연
- AMF Hall에서 독주 및 챔버 연주, WMP Hall에서 초청 연주, Alex Kerr와 Eric Kim과 IU Starling Chamber, 뉴욕 카네기 Issac Stern Hall에서 연주, Avery Fisher, Paul, Morse, Alice Tully 등 링컨센터 독주 및 연주
- CCMF Concert Competition 전체 악기부문 우승, Five Town Young Artist Competition 현악부 부문2위 등 입상
- 2015년 3월, 첫 앨범 ‘브리티쉬 액센트’ 발매
첼리스트 박고운
- 예원학교 졸업, 15세에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음대(Hochschule fu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in Vienna) 최연소 입학, 최우수 졸업(Ausgezeichnung)
- 2002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음악대학원, 2010년 세계적 명문 존스홉킨스 피바디 음악대학원(Johns Hopkins Peabody Conservatory of Music) 전문 연주자 과정(Graduate Performance Diploma)과 석사학위 취득
- 뉴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체코 Brno Philharmonie Orchestra 등 세계적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 2000년 음연 주최 미래유망주 시리즈 초청 독주회, 예일 고든 콩쿨에서 현악부문 전체 1위, 2006 Peabody Conservatory -올해의 자랑스런 피바디인상 (Olga von Hertz Owens Memorial) 수상
- The First Unitarian Church of Baltimore Cultural Series 교수연주회 초청연주, Washington Kennedy center Conservatory Project 초청 연주
- 2011년 1월 귀국독주회를 시작으로 올림푸스앙상블, 솔리앙상블 및 독주 등 연주활동
- 현재 예원학교, 선화예중, 서울예고 출강
피아니스트 김재원
- 예원학교, 서울예고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수학, 한국예술종합학교 1년에 동아음악콩쿠르 1등
- Asia International`s Piano Academy Gold prize , 틴에이저 콩쿠르 1등, 한국일보 콩쿠르 2등, 호서대 콩쿠르 1등, 한국브람스협회 콩쿠르 2등, 서울내셔널 필하모닉 콩쿠르 1등 등 화려한 수상
- 금호 영재 독주회(금호 아트홀), 서울 내셔널 필하모닉과 협연(예술의 전당), 서울예고 협연(예술의 전당), 아시아 그랜드 피아노 콘서트(예술의 전당), 이원 아트 독주회, 음연 겨울음악 축제 오프닝 콘서트, Asia International`s Piano Academy 수상자 연주(천안 이원아트), 예원학교 개교 40주년 기념 예술제 초청 연주, 박창수 ‘House Concert’에서 Arte symphony 와 협연, Openstudio21 조인트 리사이틀, Korean Symphony Orchestra와 협연 (예술의전당) 등 활발한 연주
- 최근 예술의전당 <하루키, 미야자키 하야오를 만나다>, <아르츠콘서트-천상의목소리>등 다수의 공연으로 연주
오보이스트 곽나영
오보이스트 곽나영은 서울예고,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이후 New England Conservatory 석사(MM) 및 전문연주자과정(GD) 졸업, University of Maryland 음악대학 음악박사(DMA)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한국에서 재학 중 부산콩쿨, 미국 MTNA(Music Teachers National Association), Homer Ulrich 음악콩쿨 1위를 수상하며 주목 받았다. 미국에서는 Artists International New York Debut Audition 입상 및 뉴욕 데뷔 독주회 개최(New York, Carnegie Hall) 하였으며 협연무대로는 KT 체임버 오케스트라,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Cosmos Club Chamber Orchestra (Washington D.C.), 뉴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세 신포니에타, 연세대학교 현악 오케스트라 등과 연주하였다. 미국에서는 Milwaukee Symphony, Washington National Opera, New World Symphony, The Maryland Symphony 객원단원 역임하였으며 Civic Orchestra of Chicago 오케스트라에서는 수석을 역임 하였다. 또한 오보이스트 곽나영은 연세대, 성신여대, 가천대 강사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으며 현재는 숙명여대, 안양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현재 원주시립교향악단 수석 오보이스트, The Piri Ensemble 멤버로도 꾸준한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해피버스데이, 바흐 : 시즌2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