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정명훈

  • 기간 2016-11-02(수)
  • 시간20: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120
  • 가격R석 38만원 / S석 32만원 / A석 24만원 / B석 14만원 / C석 7만원
  • 주최크레디아인터내셔널
  • 문의1577-5266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정명훈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 티켓오픈일정
- 예술의전당 : 2016년 8월 12일(금) 오후 2시

- 클럽발코니 유료회원 선오픈: 2016년 8월 11일(목) 오후 2시 (주최사 예매사이트에서 예매가능)
   

 
[공지] 1부 시작 후에는 객석안으로 입장이 불가하고, 중간휴식시간(인터미션)에 입장가능하오니 여유있게 공연장에 도착하시기 바랍니다. 
  
   
                                                     완벽함을 넘어서다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정명훈
 
빈 필하모닉&정명훈, 대한민국 최초의 만남! 그들이 선택한 프로그램, 베토벤 교향곡6번, 브람스 교향곡 4번!
 
실력과 명성을 겸비한 세계 최정상의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이 2016년 가을 한국을 찾는다. 상임 지휘자 없이 매번 단원들이 객원 지휘자를 선발하는 빈 필의 이번 공연 지휘는 마에스트로 정명훈이 맡는다. 1995년부터 종종 호흡을 맞춰 놨던 빈 필과 정명훈이지만, 국내에서의 공연은 처음이다.
올해로 174년을 맞는 빈 필은 세계 최고(最高)로 통한다. 최고이자 유구한 정통을 자랑하는 오케스트라로서의 위엄은 빈 필과 호흡을 맞췄던 작곡가 및 지휘자에서 드러난다. 빈 필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오케스트라 중 하나’라고 극찬했던 바그너, ‘음악에 있어서 최고의 단체’라 평했던 브루크너, ‘나는 이 악단의 친구이자 추종자’라 했던 브람스, ‘내 음악 예술의 연결고리’라 했던 말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정명훈과 빈 필의 인연은 199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빈 필은 42살의 젊은 지휘자 정명훈에게 첫 공연 데뷔와 더불어 로시니 <슬픔의 성모> 음반의 녹음을 맡겼다. 첫 음반의 성공 이후 정명훈과 빈 필은 드보르작 교향곡 3번/7번, 같은 작품의 6번/8번, 그리고 역시 드보르작의 세레나데 음반을 잇따라 발표했다. 빈 필의 모체인 빈 슈타츠오퍼가 2014년 상임 감독이었던 프란츠 벨저 뫼스트의 갑작스러운 사퇴로 비상사태에 돌입했을 때 공연을 불과 세 달 남겨두고 구원투수로 등장했던 이도 정명훈이었다.
이번 공연에서 정명훈과 빈 필하모닉은 서로에게 가장 강점인 레퍼토리의 교집합을 골라 들었다. 서울시향 취임 후 정명훈이 오케스트라를 조련하기 위해 전곡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베토벤과 브람스 교향곡, 그 중에서도 빈 필이 각각 칼 뵘과 카를로스 클라이버와 녹음해서 오랫동안 DG 카탈로그를 지배했던 베토벤 교향곡 6번과 브람스 교향곡 4번이 그것이다. 특히, 브람스 교향곡 4번은 작곡가인 브람스가 아예 빈 필의 음색을 상상하면서 작곡했다고 알려진 곡이기도 하다.
명실공히 최정상의 빈 필과 우리의 영원한 마에스트로 정명훈, 그리고 서곡도 협연자도 없이 순수하게 이들의 진면목을 드러낼 프로그램이 이번 공연이 기다려지는 이유이다.
 
 
[POINT & FOCUS]
 
이것이 빈 필이다

2006년 유럽 8개국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10개의 음악 전문지 편집장이 유럽 최고(最高)의 오케스트라를 뽑았다. 프랑스의 ‘르 몽드 드 라 뮈지크’와 `라디오 클래식`, 영국의 `그라모폰`, 독일의 `MDR 피가로`와 `포노포룸`, 이탈리아 ‘무지카’ , 룩셈부르크 `피치카토`, 벨기에의 `크레센도`, 스페인의 ‘스케르초’, 스위스 `라 트리뷴 드 주네브`가 뽑은 최고의 오케스트라는 어디일까? 정답은 빈 필하모닉이다. 참고로 빈 필은100점 만점에 88점을 받아 1위에 올랐다.
오랜 역사에 걸맞게 수많은 대 작곡가, 지휘자들이 빈 필과 호흡을 맞췄었는데 어느 누구 할 것이 그 사운드에 매료되었다. 바그너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오케스트라 중 하나’라고 극찬했고, 브루크너는 ‘음악에 있어서 최고의 단체’라 단언하였으며, 브람스는 ‘나는 이 악단의 친구이자 추종자’라 했다. 말러는 ‘내 음악 예술의 연결고리’라 하였고, 마지막으로 슈트라우스는 ‘이 악단에 대한 어떤 지극한 찬사도 실력에 비하면 절제된 표현일 뿐’이라고 말했다.
빈 필하모닉은 높다. 우선 피치가 445Hz로 국제 표준보다 높다. 푸르트뱅글러는 이 방식을 다른 오케스트라인 빈 톤퀴스틀러 심포니에 적용해보려 했으나, 빈 필과 같은 음향은 도저히 만들어낼 수 없었다고 저서에 썼다.
하지만 피치 보다 높은 것은 빈 필의 문턱이다. 규정에 의하면 3년 이상 빈 국립 오페라 단원으로 근무한 이들만이 빈 필하모닉 오디션에 지원할 수 있고, 여기에서 합격해야 정식 단원이 될 수 있다. 빈 필에 입단하기는 하늘에 별 따기라 빈 필 오디션에서 ‘실력 부족’으로 떨어졌던 한 튜바 연주자는 이후 즉시 미국 유수의 오케스트라인 클리블랜드 튜바 수석으로 임명되었다는 에피소드도 있다.
흔히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빈 필과 베를린 필을 꼽는데, 이 중 빈 필은 특히 우리에게 익숙하다. 수백 장에 이르는 음반으로 쉽게 접할 수 있었고, 매년 1월이면 <빈 신년 음악회>가 공중파에서 방송된다. 내한 횟수도 베를린 필보다 많아서 1973년 첫 내한 이후로 이번이 열 번째이다. 그러나 그 익숙함에도 빈 필의 비범함은 가려지지 않고, 내한 때마다 늘 신선함과 놀라움을 선사한다.  174년 역사 동안 정통성과 보수성을 고집하며 세계 최정상을 지키고 있는 오케스트라. 매 년 미국과 일본에서 ‘빈 필 주간’이라는 이름으로 초청 공연을 개최하고, 오케스트라 사상 유례없이 연주 여행용 전용 여객기를 공여 받은 오케스트라. 한 치의 어긋남도 없는 완벽 그 자체를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이것이 빈 필이다.
 
빈 필을 지휘한 유일한 한국인, 정명훈
빈 필은 보수적이다. 베를린 필이 1887년 처음 여성 지휘자에게 공연을 맡겼던 것과 대조적으로 빈 필은 1994년이 되어서야 미국 여성 지휘자 앤 맨슨에게 처음 지휘를 맡겼다. 빈 필의 보수성이 워낙 유명한 터라 이 일은 전 세계적으로 이 기사화되었다. 여성 단원과 외국인 단원을 뽑기 시작한 것도 20세기 중반이 지나서였다. 지금도 총 단원 121명 중 여성 단원은 10명에
그친다.
객원 지휘자와 단원에게도 이러하니 단원들이 결정하는 정기 공연 지휘자에게는 더욱 엄격했다.
 
빈 필을 처음 지휘한 동양인 지휘자는 인도 출신의 주빈 메타였다. 그는 1961년 6월 빈 무지크페라인 잘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 ‘돈 키호테’를 지휘하며 데뷔했다. 이 후 오자와 세이지 등도 빈 필의 지휘대에 섰지만, 1995년 정명훈이 빈 필과 음반을 녹음할 때까지 빈 필을 지휘한 한국인 지휘자는 한 명도 없었고, 지금까지도 없다. 1995년 빈 필은 42살의 젊은 지휘자 정명훈에게 지휘를 맡겼다. 로시니 <슬픔의 성모> 음반을 녹음하면서이다. 이후 정명훈과 빈 필은 드보르작 교향곡 3번/7번, 같은 작품의 6번/8번, 그리고 역시 드보르작의 세레나데 음반을 잇따라 녹음했다.
정명훈은 빈 필하모닉의 모체인 빈 슈타츠오퍼와 2011년 처음 조우했다. 그의 명성에 비하면 다소 늦은 감이 있었지만, 결과는 강렬했다. 악보도 없이 지휘봉만 달랑 들고 온 정명훈은 특유의 카리스마로 오케스트라를 순식간에 장악했고, 그의 손짓에 따라 세계 초일류 오케스트라는 입체적이고 풍부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2014년 빈 슈타츠오퍼의 상임감독이었던 프란츠 벨저 뫼스트가 돌연 사퇴하자 오페라단은 비상에 걸렸다. 그러나 최정상의 성악가와 합창단, 그리고 빈 필을 조련해서 두 개의 프로덕션을 올릴 지휘자는 몇 없었다. 빈 슈타츠오퍼는 결국 정명훈에게 SOS를 요청했고, 정명훈은 리허설까지 한달 반 남은 상황에서 흔쾌히 승낙하여 <리골레토>와 <라트라비아타>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후 이들의 신뢰는 한층 돈독해지고 2016년 가을에는 이들의 첫 아시아 투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너무나 옳다, 이 프로그램
이번 공연의 프로그램은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과 브람스의 마지막 교향곡인 4번이다. 정명훈에게는 핵심 프로그램이 있다. 2005년 그가 처음 서울시향을 맡고 바로 다음 시즌 추진했던 것이 베토벤 교향곡 전곡 프로젝트였고, 이듬해인 2007년에는 브람스 교향곡 전곡을 이어갔다. 서울시향 재임 중 실시했던 지휘 마스터클래스에서도 2014년 지정곡은 브람스 교향곡 4번, 2015년 지정곡은 베토벤 교향곡 6번이었다.
빈 필은 그 보수성 때문에 현대음악을 잘 연주하지 않는다. 그나마 연주했던 작품이 지휘자로 자주 호흡을 맞췄던 번스타인과 프레빈, 그리고 필립 글래스 작품 정도이다. 바꾸어 말하면 고전 작품을 훨씬 더 많이 연주한다는 것이고 명반도 여기에 집중되어 있다.
그라모폰이 선정한 <최고의 베토벤 음반 50 The 50 Greatest Beethoven Recording>에서 베토벤 교향곡 6번의 명반은 빈 필하모닉/칼 뵘의 음반이다. 1971년 발매된 이 음반은 발매 이후 수십 년 동안 DG 카탈로그를 지배했는데, 그라모폰은 이 음반에 대해 ‘거룩하다’고까지 평했다.
2부에 연주할 브람스 교향곡 4번은 작곡가인 브람스가 아예 빈 필의 음색을 상상하면서 작곡했다고 알려진 곡이다. 초연은 브람스 지휘에 마이닝겐 궁전 관현악단이 맡았지만, 작곡가 말년에 지휘자 한스 리히터와 빈 필이 연주해 큰 성공을 거두었고, 브람스는 쇠약해진 몸을 이끌고 콘서트에 나타나 단원과 관객들에게 박수 갈채를 받았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 마디로 정명훈과 빈 필하모닉의 교집합으로 단단하게 채워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서곡도 협연자도 없이 서로의 강점으로 최상의 시너지를 만들어낼 이번 프로그램, 너무도 옳다.
 
 
[ARTIST PROFILE]
정명훈 Myung-Whun Chung | 지휘자 Conductor

 
 
 
프랑스 <르 몽드>지가 ‘영적인 지휘자’라고 극찬한이 세대의 가장 깊은 존경과 추앙을 받는 지휘자
 
뉴욕 매네스 음대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한 그는 1979년 거장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가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재직하던 시절 그의 보조지휘자로 경력을 시작하여, 2년 후 이 오케스트라의 부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정명훈은 베를린 필하모닉, 빈 필하모닉,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런던 심포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뉴욕 필하모닉, 시카고 심포니,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등 유럽과 미국 등지의 세계 최정상급 교향악단을 지휘하였으며, 뉴욕 메트로폴리탄과 파리 바스티유, 빈 슈타츠오퍼를 비롯한 세계 오페라 유수 오페라극장에서 오페라 지휘를 하였다.
1984-1990년 독일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상임지휘자, 1989-1992년 피렌체 테아트로 코뮤날레수석객원지휘자, 1989-1994년 파리 오페라 바스티유 음악감독, 1997-2005년 로마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 및 2001-2010년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특별 예술 고문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프랑스의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2005년 재단법인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고문을 시작으로, 2006년부터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1995년 직접 창단한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11년 드레스텐 슈타츠카펠레 역사상 최초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1988년 이탈리아 비평가들이 선정한 ‘프레미오 아비아티 상’과 이듬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수상했으며, 1991년 프랑스 극장 및 비평가 협회의 ‘올해의 아티스트상’, 1995년 프랑스에서 ‘브루노 발터 상’과 프랑스 음악인들이 선정하는 ‘음악의 승리상’에서 최고의 지휘자 상을 포함 3개 부문을 석권한 데 이어, 2003년에 다시 이상을 비롯하여 2011년 프랑스 정부가 수여하는 ‘코망되르 레종 도뇌르 훈장’, 일본의 ‘레코드 아카데미상’, 대한민국 정부가 수여하는 최고 문화훈장인 ‘금관 훈장’ 등 수 많은 세계적 권위의 상을 수상했다.
1984년부터 세계적인 음반 레이블 도이치 그라모폰(DG)의 전속 아티스트로서 30여 장의 음반을 레코딩하며 유명 음반상을 휩쓸었으며, 특히 메시앙이 그에게 헌정한 <사중주를 위한 협주곡>을 비롯한 메시앙의 음반들 <투랑갈릴라 교향곡>, <파안의 빛>, <그리스도의 승천>등과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 링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베르디의 <오델로>, 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드 부인> 등은 최고의 음반으로 평가 받고 있다. 
 
 
2011년 도이치 그라모폰과 아이사 교향악단 역사상 최초로 서울시향의 5년 전속 음반계약 체결을 이끌며 그 공고한 협력을 이어나가고 있다.
인도주의적 대의를 위해 오랫동안 헌신해오고 있는 마에스트로 정명훈은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으며,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2010년 서아프리카의 베닌을 방문하여 에이즈, 식수 위생 및 교육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였다.
마에스트로 정명훈은 2008년 설립한 비영리재단 (사) 미라클오브뮤직을 통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인도주의적인 대의를 음악과 연계하고 있다. 
 
[ARTIST PROFILE]
연주ㅣ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보다 더 역사와 전통이 깊은 앙상블은 아마 없을 것이다. 1842년 오토 니콜라이가 처음 시작한 이래 오케스트라가 많은 저명한 지휘자들과 연주자들과 세계의 다양한 관객과 만날 수 있었던 이유는 몇 대를 거쳐 내려온 일관성 있는 음악스타일과 그들의 고유한 역사와 체계 때문이다.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원은 바로 오케스트라 그들이다.
빈 필하모닉의 단원이 되기 위해 엄격한 과정을 거친다. 빈 필하모닉의 규정에 의해 빈 국립 오페라의 단원만이 빈 필하모닉의 단원이 될 자격을 가지게 되는데 빈 필하모닉의 단원이 되기 위해서는 3년 이상 오페라 단원으로 근무해야 하고 또한 빈 필하모닉의 오디션에 합격해야 한다.
빈 필하모닉은 연고지인 빈에서 매 시즌마다 약 110회의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뉴욕과 일본에서 빈 필하모니 위크를 개최하며, 1922년부터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참가하고 있다. 빈 필하모닉은 매년 세계적인 콘서트 홀과 페스티벌 등지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90개국 이상에 신년음악회를 방송하고 있으며, 매년 여름엔 무료로 쇤부른에서 여름 밤의 콘서트를 개최하여 약 십만 명의 관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2014년에는 뛰어난 연주와 오페라/콘서트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누구나 탐내는 비르기트 닐손상과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부터는 롤렉스가 독점으로 빈 필하모닉을 후원 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빈 필하모닉은 인도주의적 활동으로 세계 등지에서 자선음악회를 펼쳐왔다. 빈 필하모닉의 연주자들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장엄 미사의 첫머리에 썼던 것처럼 “마음으로부터 또다시 마음으로 가리라 (From the heart, to the heart)” 라는 모토를 지키려 노력 하고 있다.
 
 
 
[PROGRAM]
 
베토벤                  교향곡 6번 F장조 <전원>

L.v. Beethoven         Symphony No. 6 in F Major ‘Pastorale’ Op. 68
 
                          I. Allegro ma non troppo ‘Awakening of cheerful feeling on arrival in the countryside’
                             전원에 도착했을 때의 유쾌한 기분
                          II. Andante molto mosso ‘Scene by the brook’
                             시냇가에서
                          III. Allegro ‘Merry gathering of country folk’
                             농부들의 즐거운 모임
                          IV. Allegro ‘Thunder. Storm’
                             폭풍
                           V. Allegretto ‘Shepherd’s song. Happy and thankful feeling after the storm’
                              폭풍이 지나간 후의 평화
 
 
                         -중간 휴식-
 
 
브람스                  교향곡 4번 e단조, Op. 98                
J. Brahms              Symphony No.4 in e minor, Op. 98 
                      
                          I. Allegro non troppo
                          II. Andante Moderato
                         III. Allegro giocoso
                         IV. Allegro energico e passionato
  
 
* 본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미 지참시에는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한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 얼리버드할인 5% (4매 / ~8월 25일까지 예매 시) - 후원회원, 골드회원, 블루회원, 예술의전당우리V카드 10% (2매 / ~8월 25일까지 예매 시) - 후원회원, 골드회원, 블루회원, 예술의전당우리V카드 5% (2매 / 8월 26일부터 예매 시)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3급) 본인 및 동반1인 50% / (4급~6급)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소지자 본인 및 동반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소지자 본인 50%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정명훈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mapleb*** 별점 별점 별점 빈별점 빈별점 mapleb*** 2017.12.30(토)
물론 한국인으로 대단하다고 느끼지만, 빈필을 다루기에는 무언가 부족해 보였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7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8.02(토)
작품명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정명훈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