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 1부 >
- 오케스트라 / Rossini / Opera < Ⅱ Barbiere di Siviglia> Overture
- 신영옥 / Delibes / Les filles de Cadix
/ Handel I `Lascia ch`io pianga` from Opera
/ 새타령, Korean Traditional Song
- Baritone Solo / Adagio : Music Video play
- 신영옥 / W. A. Mozart / Opera < Le Nozze di Figaro> Overture
/ Bellini / `Ah! Non Giunge` from Opera < La Sonnambula>
< 2부 >
- 신영옥 / 가을편지, Korean song
/ Moon River + All the things you are
- Baritone Solo / 10월에 어느 멋진 날
- 신영옥 / Dvorak / `Song to the moon` from Opera
- 오케스트라 / Verdi / Opera
- Baritone Sole
- 신영옥, Baritone Duetto
/ Verdi / `Tutte le feste al tempio… Si vendetta` from Opera
** 위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사전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출연진]
소프라노 - 신영옥
지휘 - Elio Orciulo
바리톤 - Stefano Meo
연주 - KIMF Festival Orchestra
- 소프라노 신영옥
이시대의 가장 아름다운 리릭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가운데 한 사람인 신영옥은 199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데뷔한 이래 ≪리골레토≫의 질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타이틀 롤, ≪청교도≫의 엘비라, ≪사랑의 묘약≫의 아디나, ≪돈 조반니≫의 체를리나, ≪가면 무도회≫의 오스카, ≪어린이와 마법≫의 나이팅게일 역 등의 주요 배역을 맡으며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세계적인 지휘자 제임스 르바인, 제임스 콘론, 넬로 산티, 에도아르도 뮬러, 플라시도 도밍고, 성악가 루치아노 파바로티, 라몬 바르가스, 롤란도 비야손, 레오 누치, 새뮤얼 래미 등과 함께 공연하였다. 또한 영국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 코벤트 가든에서 질다, 프랑스의 바스티유 오페라에서 질다와 오스카, 그리고 파 스칼 뒤사팽의 ≪연기의 사나이, 페렐라≫ 세계 초연 무대에서 여왕 역, 쾰른 오페라에서 ≪코지 판 투테≫의 데스피나, 투린의 테아트로 레지오에서 엘비라, 카타니아의 테아트로 마씨모 벨리니에서 ≪비안카와 페르난도≫의 타이틀 롤, 칠레의 테아트로 뮤니시팔 산티아고와 스페인의 그란 테아트로 델 리세우에서 ≪진주조개잡이≫의 레일라, 캐나디언 오페라 컴퍼니에서 질다와 루치아, 볼티모어 오페라 컴퍼니에서 질다, 그리고 루치아, 라크메, ≪로메오와 줄리엣≫의 타이틀 롤, 테네리페 페스티벌에서 ≪카풀레티 가와 몬테키가≫의 줄리에타, 브라티슬라바 스프링 페스티벌에서 ≪투란도트≫의 류를 맡아 열연하는 등 세계 유수 도시의 극장과 페스티벌에서 주역을 맡으며 활발한 음악활동을 하고 있다.
콘서트 아티스트로서도 수많은 공연을 해온 그녀는 링컨 센터의 모스틀리 모차르트 페스티벌을 비롯하여 제임스 콘론의 지휘 아래 신시내티의 메이 페스티벌에서 ≪카르미나 부라나≫, 하이든의 ≪로드 넬슨 미사≫, 스트라빈스키의 ≪나이팅게일≫, 미네소타 오케스트라와 ≪말러 8번≫, 에사-페카 살로넨이 지휘하는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시즌 오프닝 갈라 콘서트에서 협연 무대를 가졌으며, 싱가포르, 쿠알라룸 푸르, 서울에서는 호세 카레라스와 갈라 콘서트, 카네기 홀에서 콘서트, 토론토의 로이 톰슨 홀에서 리 사이틀, 피츠버그 리사이틀 시리즈를 통해 섬세한 음악성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음반 활동으로는 빈센초 벨리니의 오페라 ≪Bianca e Fernando≫, E&E Media에서 발 매된 벨칸토 아리아집 ≪Vocalise≫, 성가곡집 ≪Ave Maria≫, 예술가곡을 담은 ≪A Dream≫, 크로 스오버 음반 ≪My Romance≫, 예당 뮤직에서 발매된 찬송가집 ≪Sacred Songs≫, 크리스마스 캐롤 집 ≪White Christmas≫, 유니버설 뮤직에서 발매된 ≪My Songs≫, ≪Chansons d`Amour≫, ≪Love Duets≫, ≪Cin?matique≫, ≪내마음의 노래≫, 찬송가집 ≪사랑과 평화≫, ≪고난과 승리≫ , ≪베스트 앨범≫ 가 있으며, 최근 영화음악으로 꾸며진 음반 ≪Mystique≫가 발매되었다.
신영옥은 서울 태생으로 199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내셔널 카운슬 오디션 및 로렌 자커리 콩쿠르, 그리고 올가 쿠세비츠키 콩쿠르 우승 등 일찍이 그녀의 실력을 세계무대에서 인정받았으며, 줄리어드 음대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 지휘 Elio orciuolo
지휘자 엘리오 오르치올로는 이태리에서 피아노, 작곡, 오케스트라 지휘공부를 M. Gusella, D. Renzetti, G. Serembe,N. Samale, A.Guadagno 사사 했다. 공동작곡으로 A.Guardagno와 함께 I. Gillian at Mozarteum in Salzburg 합창 지휘, R. Gandolfi와 공연했다. 그는 지휘자연합회를 2000~2001년간 맡아 진행했으며, 1988년에 그는 바리페트루첼리 오페라극장에서 합창단마스터 부지휘자로 열정을 다했으며, 이태리 오페라전문 오케스트라로 가장 훌륭한 단체로 해외에서 활약하였다.
1994년 국영방송국인 Raidue and Nippon TV 이 함께한 로마 바티칸에서 라이브로 전세계에 베르디 레퀴엠 합창을 지휘하며 Hiroshima 와 Nagasaki 폭파 50주년 공연을 하였다.
1997~1998 / 2004-2005 페트루칠리극장(바리)예술기획, 자문을 했으며 Opera Catalunya in Sabadell에서 이태리오페라 축제와 트라니 지중해축제에서 예술 디렉터를 했다.
2012~2014/오페라파나마협회에서 예술디렉터로도 활동 하였다.
그는 현재 오페라 지휘, 뮤지컬,을 위해 마스터클래스를 외국초청으로 많은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 바리톤 Stefano Meo
이탈리아 로마 출생, 로마 국립음악원에서 성악을 전공하였으며 “Mario Lanza”, “Pistoia” 등 콩쿠르에서 우승하였다.
이태리 로마 극장 <토스카>, <돈 카를로>로 데뷔로 그의 풍부한 성량과 음악적인 표현 그리고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아 2005년부터 현재까지 로마 오페라 극장에서 주역으로 맹활약을 하고 있다.
<카르멘>,
2009년 트리에스테 베르디 극장 오페라<쟌니 스키키>, 2010년 파비아 시립극장<토스카>, 2011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오페라 극장 오페라 <쟌니 스키키>, <리골렛토>. 2012년 6월 치비따베끼아 시립극장<카르멘>공연하였다.
오페라 뿐 아니라 서정 가곡들과, 미사곡들을 비롯한 여러 종교 곡의 깊이 있는 레퍼토리로 유럽뿐 아니라 중국, 한국, 중동 등까지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관람석 총 2,505석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1,508석
2층 568석
3층 429석
2016 제34회 대한민국국제음악제(10.12)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