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주 순서 변경 안내
최고의 공연을 선보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주 순서가 변경되었습니다. 청중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
[프로그램]
Shostakovich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D minor, Op. 40
Jeajoon Ryu
Sonata per violoncello e pianoforte
-Intermission-
Brahms
Cello Sonata No. 1 in E minor, Op. 38
2002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우승과 함께 로코코 변주곡에 대한 해석으로 특별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주목을 받은 독일과 캐나다 이중 국적의 첼리스트 요하네스 모저는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8세 때 첼로를 시작하여 데이비드 게링거스David Geringas를 사사하였다. 고도의 화려한 예술적 기교와 격정적인 표현의 풍부함으로 일반 대중은 물론 베를리너자이퉁Berliner Zeitung, 텔레그래프The Telegraph,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 LA타임즈LA Times 등 평단의 극찬을 받고 있으며, 2014년에는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예후디 메누인Yehudi Menuhin, 안네-소피 무터Anne-Sophie Mutter 등의 수상자를 낸 최고 권위의 브람스상Brahms Prize을 수상하였다.
요하네스 모저는 한슬러클래식Hanssler Classics에서의 녹음으로 두 개의 에코클래식상Echo Klassik Award과 독일음반평론가상The Preis der deutschen Schallplattenkritik을 받았으며, 슈트트가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Stuttgart Radio Symphony Orchestra와 함께한 그의 협주곡 데뷔 음반은 클래식투데이Classics Today의 2008년 10대 음반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어 힌데미트Paul Hindemith 등의 현대 협주곡 녹음으로 다시 한 번 평단의 찬사와 함께 독일음반평론가상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피에타리 인키넨Pietari Inkinen과 WDR 심포니 오케스트라 쾰른WDR Symphony Orchestra Cologne과 함께 녹음한 브리튼과 쇼스타코비치 음반을 발매하였다.
베를린 필하모닉Berlin Philharmonic을 비롯, 뉴욕 필하모닉New York Philharmonic,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닉Los Angeles Philharmonic, 시카고 심포니Chicago Symphony, 런던 심포니London Symphony, 로열 콘서르트헤바우Royal Concertgebouw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리카르도 무티Riccardo Muti, 로린 마젤Lorin Maazel, 마리스 얀손스Mariss Jansons, 발레리 게르기예프Valery Gergiev, 주빈 메타Zubin Mehta, 블라디미르 유로스키Vladimir Jurowski, 프란츠 뵐저-뫼스트Franz Welser-M?st, 만프레드 호넥Manfred Honeck, 크리스티안 틸레만Christian Thielemann,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 파보 예르비Paavo Jarvi, 구스타보 두다멜Gustavo Dudamel 등 세계적 지휘자와 협연해온 그는, 올해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Boston Symphony Orchestra, BBC 필하모닉BBC Philharmonic 등과의 데뷔와 미국 투어를 앞두고 있는 한편, 현대음악과 실내악에 대한 열정으로 다양한 연주를 소화해내고 있다.
피아니스트 윤홍천 Pianist William Youn
'특유의 서정을 타고난 진정한 피아노의 시인' - 아틸라 샴피, 스테레오플레이
'a very special lyrical talent, a genuine poet' - Attila Csampai, Streoplay
'우리는 그가 동년배인 랑랑과 윤디리에 버금가는 큰 성공을 하리라 의심치 않는다.' - 스위스, 루가노 Corriere del Ticino 신문
'갈망과 애틋함이 묻어나는 손놀림...피아노로 시를 쓰는 아티스트' - 동아일보 조이영 기자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난 윤홍천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에서 임종필 교수를 사사하였다. 95년 예원학교에 수석 입학한 후 다음해 도미, 보스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와 월넛힐 예술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2001년 독일 하노버 대학교에 입학하였고 이후 소수 정예 선발로 까다롭기로 유명하고 저명한 피아니스트들을 다수 배출한 이탈리아 코모 아카데미에서 교과 과정을 마무리하였다. 2012년 빌헬름 켐프 재단의 최연소 최초 동양인 이사진으로 선출되며 더 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14년 12월에는 세계적인 마에스트로 故 로린 마젤에게 생전에 직접 발탁되어 뮌헨필하모니오케스트라와 네 차례 성공적으로 협연, 새로운 젊은 거장의 출현을 알렸으며, 같은 해 독일 하이델베르크극장의 상주 피아니스트가 되어 2015년부터 활동할 예정이다. 음반활동으로 2004년, 2006년에 쇼팽 협주곡 전곡과 슈만 협주곡을 녹음(Sony BMG)하였고, 2010년에는 첫 독주음반 (쇼팽, 슈만, 볼프의 기념음반)을 발매, 룩셈부르크의 Pizzicato 잡지에서 선정하는 이달의 음반상 “Excellentia”를 수여 받았으며, 2011년 슈베르트의 후기작품으로 현지 발매한 독주 음반은 프랑스의 저명한 잡지 “디아파종“에서도 '5 Diapason' 음반으로 이름을 올렸다.
작곡가 류재준 Composer Jeajoon Ryu
'류재준의 음악은 네오 바로크시즘이라는 장르의 시발점으로 볼 수 있는 특별한 성과' - 마리안 보르코프스키 교수, 쇼팽 음악원
'낙소스 음반의 작품들이 증명하듯 한국의 작곡가 류재준은 오늘날 가장 흥미로운 오케스트라 작곡가 중 한 명이다.' - 조슈아 메기, 사이클릭 디프로스트
'South Korean composer Jeajoon Ryu is among today’s most exciting orchestral composers, as the works on this new disc on Naxos attest.' - Joshua Meggitt, Cyclic Defrost
“그의 음악은 진정한 독창성과 빼어난 형식을 지녔다.” - 엉클 데이브 루이스, 올뮤직닷컴
“His some moments of genuinely novel and beautiful writing” - Uncle Dave Lewis, Allmusic.com
“류재준의 음악은 나를 경악시키고, 동시에 음악적 희열로 고조시키며 넋을 잃게 만들었다.” - 마크 L 레만, 아메리칸 레코드 가이드
“Ryu held me spell-bound, at once aghast and uplifted” Mark L Lehman, American Record Guide
“유려하게 흐르는 그의 음악은 작곡가로서의 무궁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아테 텐카넨, 투룬 사노멧
“music was floating forward and promised a lot about the composer” - Atte Tenkanen, Turun Sanomat
“젊은 예술감독인 작곡가 류재준이 이끄는 축제는 새로운 시대의 상징과 같다. 유럽의 전통과 그 발전
“류재준은 작품을 통해 구조적인 온전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끊임없이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인 새로운 내용을 소개하는 비범한 능력을 가졌다.” - 밥 맥퀴스톤, 클래식 로스트앤파운드
“Ryu’s ability to continually introduce pithy new material,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structural integrity throughout the work, is extraordinary.” Bob McQuiston, Classical Lost and Found
작곡가 류재준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크라코프 음악원을 졸업했으며 작곡가 강석희와 크쉬스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다. 류재준은 2010년 핀란드 난탈리 페스티벌과 독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에 상주 작곡가로 초청되었으며, 2009/2010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 2011/2012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작곡가를 역임하였다. 그의 작품 중 '교향곡 1번, 진혼교향곡’(2007)과 바이올린협주곡(2006)은 낙소스 인터내셔널(NAXOS, 2009, 전세계 발매)에서 그리고 바이올린 소나타 '봄’(2008)은 텔로스(Telos Music, 2010, 유럽발매)에서 출반되었다. 그의 곡은 아르토 노라스, 리웨이, 상하이 콰르텟, 랄프 고도니, 제랄드 뿔레, 백주영, 김소옥, 일리야 그린골츠, 닝 펑 등의 음악가가 초연하였으며, 그의 곡은 세계의 주요 연주장에서 영국 로얄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랑스 칸 오케스트라, 헬싱키 필하모닉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방송교향악단 등의 탑클래스 오케스트라 및 음악단체에 의해 연주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생존 작곡가 최초로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지휘 구자범) 정기연주회에서 그의 작품으로만 연주하며 집중 조명하였다. 현재 앙상블 오푸스의 음악감독과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 Prades Casals Festival in Korea의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주자 영상]
* 요하네스 모저
- Shostakovich Cello Concerto No. 1 in E-flat major, Op. 107
http://youtu.be/swLmylgIN_4
- 슈만 첼로 협주곡 / 지휘: 주빈 메타, 첼로: 요하네스 모저, 오케스트라: 베를린 필하모닉
http://www.youtube.com/watch?v=9c5oAhSmT34&x-yt-ts=1421914688&x-yt-cl=84503534
- 바흐 Cello-Suite (Sarabande)
http://www.youtube.com/watch?v=dvRCw3OPWiM
* 윤홍천
- Mozart - Piano Concerto No. 20 in D minor, K. 466
http://youtu.be/EMSYQC4ecuc
* 류재준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첼로: 심준호, 피아노: 허원숙
http://youtu.be/CrMGTzVQ3O4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요하네스 모저와 윤홍천 듀오 콘서트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