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들에게는 오케스트라 편성에서 가장 저음역을 맡는 악기이자 재즈음악에서의 반주악기로만 알려져 있는 콘트라바쓰는 그 자체만으로도 독특한 음색과 매력을 지닌 악기이지만 독주악기로는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이동혁 Kontrabass Recital Series에서는 다양한 레퍼토리와 참신하고 새로운 시도들로 이루어진 무대를 기획하여 대중들에게 콘트라바쓰 음악의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합니다. 2012년 여덟 번째 무대를 맞아 아직까지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콘트라바쓰의 후기 낭만음악 작품들과 더불어 현재 국내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국 작곡가의 창작곡을 통해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콘트라바쓰의 세계를 선보임과 동시에 국내 창작계의 활성화를 이루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G. Bottesini - Elegie in D Major
C. Franck - Sonata in A Major for Kontrabass and Piano
윤이상 - Together for Violin and Kontrabass
임현경 - Between Light and Dark
김남국 - 超초人인 (솔로 콘트라바쓰와 아쟁병창을 위한 2인 음악극)
[출연자]
콘트라바쓰 이동혁
진취적이고 창의적이며 학구적인 자세를 잃지 않는 연주자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콘트라바씨스트 이동혁은 독일 뷔르츠부르크 국립음대(Hochschule fur Musik W?rzburg)에서 Vordiplom, Diplom, Konzertdiplom을 Prof. Michinori Bunya의 지도아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더불어 독일 유학시절 Schuleswig-Holstein Musik Festival와 Haus Mateau등 다수의 Meisterkurs에 참가함으로 음악적 교류를 통해 다각도로 음악을 바라보는 안목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좀 더 깊이 있고 완숙한 연주를 위한 열정을 아끼지 않았다.
카메라타서울앙상블과 경기도문화의전당 썸머 페스티벌에서의 협연으로 청중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은 그는 참신하고도 새로운 시도들과 다양한 레퍼토리로 관객들에게 콘트라바쓰라는 악기의 매력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 2009년부터 그는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과 원주백운아트홀에서의 귀국 독주회를 효시로 하여, 2010년 KAG아트홀 멋진연주자 시리즈 독주회, 금호아트홀, 대전충남대 정심화홀,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에서의 독주회, 독일의 Kloster Bronnbach에서 첼리스트 조영창과의 듀엣 연주, 독일 뷔르츠부르크 국립음대 첼로교수인 니클라스 에핑어와 듀오 리사이틀 등 그만의 연주신념을 담은 이동혁 콘트라바쓰 독주회 시리즈를 기획, 개최해나가고 있으며, 올해 여덟 번째 독주회를 맞아 널리 알려지지 않은 후기 낭만음악의 음악과 국내 작곡가들의 위촉 작품을 엮어 “이동혁 Kontrabass Recital Series Op. 8”의 무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실내악 분야에도 관심이 깊은 그는 스위스 힌데미트재단의 초청으로 스위스와 독일에서 순회연주를 비롯해 독일의 유명한 음악축제인 Schuleswig-Holstein Musik Festival에서 연주한 바 있으며, 그의 연주는 독일 내 라디오방송으로 독일 전역에도 소개되었다. 더불어 그의 활동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바로 오케스트라이며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 활동을 비롯해 독일 뷔르템베르그 주립교향악단(Wurttembergische Philharmonie Reutlingen)에서 장학생단원(Praktikum)으로 선발되어 2002-2003시즌에 연주하였으며, 남서독방송교향악단(SWR)의 단원으로2003-2004시즌에 연주하였고, 다수의 방송 출연과 음반녹음작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그는 뷔르츠부르크 쳄버오케스트라(Wurzburger Kammerorchester)의 멤버로도 활동하였으며, Neue Philharmonie Frankfurt의 객원수석, 뷔르츠부르크 모차르트음악축제(Wurzburger Mozartfest) 페스티벌오케스트라의 수석주자로도 연주하였다. 귀국 후에는 원주시립교향악단의 수석주자로도 활동함으로 국내무대에서도 연주활동을 이어갔다.
2009년부터 2010년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신진예술가 집중지원사업인 아르코 영아트 프론티어에 선정되었던 콘트라바씨스트 이동혁은 현재 (사)한국페스티벌앙상블 멤버, 어바웃콘트라바쓰앙상블 리더, 다바쓰앙상블, 컨플루언스앙상블, 콜레기움무지쿰 멤버이자 화음챔버오케스트라, 팀프앙상블 객원연주자로 활동하면서 관객들과 소통하는 무대를 만들어가고자 그 음악적 열정을 다하고 있다.
피아노 왕혜인
-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수석 입학) 졸업
- 독일 뷔르츠부르크 국립음대 디플롬과정 만점 졸업(Mit Auszeichnung) 및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 심사위원 만장일치 졸업
- 음악춘추, 한국피아노학회 콩쿨 금상 외 다수 콩쿨 수상
- 독일 Havellandische Musikfestspiele 국제콩쿨 1위 및 두개의 특별상 수상
- Fischer-Flach 실내악 콩쿨,
W?rzburg Musikalische Akademie 콩쿨 두오 및 트리오 편성으로 상위 입상
- 독일, 스위스, 이태리에서 오케스트라와 협연, 독주회 개최 및 다수의 실내악 연주
바이올린 김혜정
- 예원학교 명예졸업
-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악대학, 독일 뤼벡 국립음악대학 전문연주자과정 수석 졸업
- 세계일보 콩쿨 대상, 이태리 죠반니 국제콩쿨, 오스트리아 파가니니 음악제
이태리 미켈란젤로 아바도 국제콩쿨 슬로베니아 Bled 국제 음악제 1위
- 독일 본필, 이태리 베네치아필, 오스트리아 케른트너심포니, 러시아 르네상스오케스트라
코리안심포니, 강남심포니, 경기필, 과천시향, 청주시향, 충남교향악단, 제주시향
서울바로크합주단, KT챔버, 울산USP챔버, 서울챔버 등 다수 오케스트라들과 협연
- 독일 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역임
- 현재 : 청주시향 악장, 이화여대, 숙명여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선화예중.고, 계원예고
경기예고, 인천예고, 고양예고, 충남예고 출강
작곡.아쟁 김남국
-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립음대 작곡과 졸업, 한스 첸더(Hans Zender) 사사
- 제41회 다름슈타트 국제현대음악제 "話頭(화두)" 로 작곡상 수상
- 독일 다름슈타트 국제현대음악제, 베니스 비엔날레 위촉 및 초청 연주
- 세종문화회관 독주회, 프랑스 스트라스부르크시 초청 독주회 개최
- 다름슈타트 국제현대음악제 기념음반 발매 (독일 col legno 음반사)
- 베를린 시립 오페라극장 아쟁 솔리스트 역임
- 제2회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제 폐막작 “허공의 그늘” 음악감독 및 아쟁연주
- 일본 나라현 平成 1300주년 기념, 음악극 “戒(계)” 작곡 및 아쟁연주
- 제39회 홍콩 국제 Arts Festival, “The wings Ⅲ" 작곡 및 아쟁연주
- 독일 뮌스터음악제, 위촉곡 “부벽준” 작곡 및 아쟁연주
작곡 임현경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졸업
-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졸업
- 독일 전국음악대학 콩쿨 작곡부문 1등상 수상
- 2002-03년 독일 니더작센주 후원 “슈라이얀 예술가의 집” 체류작곡가 선정
- 현재 : 국민대, 동덕여대, 연세대 출강
21세기악회, ISCM한국지부, 아시아작곡가연맹 회원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이동혁 Kontrabass Recital Series Op.8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