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Joseph Haydn (1732-1809) - Sonata in C major, Hob. XVI: 48
Ⅰ. Andante con espressione
Ⅱ. Rondo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 Variations on a theme of Corelli, Op. 42
-Intermission-
Claude Debussy (1862-1918) - Estampes
Ⅰ. Pagodes
Ⅱ. La soiree dans Grenade
Ⅲ. Jardins sous la pluie
Frank Martin (1890-1974) - Preludes pour le piano
Ⅰ. Grave
Ⅱ . Allegretto tranquillo
Ⅲ. Tranquillo ma con moto
Ⅴ . Vivace
Ⅷ. Vivace
[출연자]
Pianist 이주연
피아니스트 이주연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수석으로 입학하였다. 대학 졸업 후 도미하여 미시간 대학(The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피아노연주 석사 및 음악교육학 석사를 마치고 귀국하여 피아노연주와 음악교육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이 후 다시 도미하여 맨해튼 음악 대학(Manhattan School of Music) 음악예술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졸업을 앞두고 귀국하였다.
국내에서 양준자, 이민숙, 이경숙, 김형배 교수를 국외에서 문용희, Louis Nagel, Philip Kawin 교수를 사사한 그녀는, ISCM World Music Days(세계음악제), 부암아트홀 초청 독주회, Ann Arbor에서의 독주회,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독주회, 이원문화센터 초청 연주회, 그리고 New York에서의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 등 다수의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경험을 가졌다.
월간음악 콩쿨 입상, 이화경향 음악콩쿨 입상, 한국 청소년 실내악 콩쿨 입상 등 일찍이 그 재능을 인정받았던 피아니스트 이주연은 서울 시립교향악단 협연 및 Jeuness Ensemble 미주 순회연주로 연주경험을 쌓았다.
또한, 국제적으로 Aspen Music Festival, Accademia Musicale Chigiana(Siena, Italy), Piano Summer at New Paltz, New York 등에 참가하여 피아니스트로서의 발전을 지속해 나갔다. 이처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무대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아 폭넓은 음악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이주연은 교육자로서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상명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의 학교에서 피아노 실기 강사를 역임하여 후학 양성에 힘을 쓰고 있다.
그녀의 음악세계는 피아노 연주실기뿐만 아니라 음악의 이론 분야의 연구도 함께 하는데, University of Michigan 재학시절 음악교육학에 관심을 가져 49th & 50th Annual Midwestern Conference on School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에 참가하여 미국의 음악교육 현장을 직접 경험하였고, MSBOA 5th Annual Music Technology Conferen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음악수업에 관한 논문, 'Multimedia Music Education Project: Ahrirang'을 발표하여 현지 음악교육자들의 큰 관심 및 호응을 얻었다. 국내에서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의 교과서 개정 작업에 참여하였고, 음악교육학회의 회원으로 음악 교육현장의 현실에 발을 내딛기도 했다.
피아노실기 교육 외에도 인지도를 가진 그녀는 한양대학교(음악심리학), 서울예술고등학교(시창청음, 피아노문헌), 인천교육대학교(음악교육학), 안양대학교(피아노문헌), 상명대학교(음악의 이해, 피아노문헌), 성균관대학교(음악의 이해) 등에서 다양한 영역의 음악을 전하는 일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맨해튼 음악대학에서 더욱 폭넓고 진지한 음악세계를 구축하고 최근 귀국한 이주연은 현재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상명대학교를 출강하고 있다. 또한 마리아칼라스 홀의 ‘해설이 있는 음악회’의 기획, 연주 및 해설로 큰 호응을 받으며 클래식 연주의 대중적 보급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이주연 피아노 독주회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